• 최종편집 2024-05-16(목)
  • 전체메뉴보기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 울릉도와 독도에서 자생하는 신규 생물 8종이  추가 발견되었다. 

 

새로 발견된 생물 8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이석래)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 등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회원기관과 공동으로 추진한 2022년 공동학술조사 결과보고서 '경상북도 울릉군(울릉도·독도) 일대의 생물다양성'을 통해 알려졌다. 


1.jpg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공동학술조사 단체사진(동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울릉도·독도 일대에는 곤충 259종, 식물 216종, 조류 74종, 어류 10종, 버섯 50종, 해양생물 144종, 거미 및 날개응애류 107종 등 661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울릉도 태하령에서 날개응애류의 신종후보종 2종과 한국미기록종 6종이 국내 최초로 발견되었다. 날개응애류는 거미강(Arachnida) 날개응애목(Oribatida)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유기물과 곰팡이, 선충류와 절지동물, 환형동물 등 작은 동물이나 그 사체를 먹어 토양형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적으로 12만 여 종, 그리고 국내에는 436종이 있는 것으로 공식 보고되었는데, 이번 조사를 통해 울릉도 태하령에서 신종후보종 2종과 한국미기록종 6종이 추가로 발견된 것이다.

 

33.jpg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공동학술조사 연혁

 

02_신종후보종 Cultroribula sp. nov..jpg
신종후보종 Cultroribula sp. nov..


02_신종후보종
신종후보종 Humerobates sp. nov

 

02_한국미기록종
한국미기록종 Humerobates rostrolamellatus Grandjean, 1936

 

02_한국미기록종
한국미기록종 Nanhermannia dorsalis (Banks, 1896)


02_한국미기록종 Trichogalumna boninensis Hagino, Bayartogtokh & Shimano, 2017.jpg
한국미기록종 Trichogalumna boninensis Hagino, Bayartogtokh & Shimano, 2017

 

03_울릉국화_특산식물, 희귀식물.jpg
울릉국화_특산식물, 희귀식물

 

03_울릉장구채_특산식물.jpg
울릉장구채_특산식물

 

 

새로 발견된 신종후보종은 ① Humerobates sp. nov., ② Cultroribula sp. nov.이고 한국미기록종 6가지는 ① Nanhermannia dorsalis, ② Acrotritia ardua americana, ③ Damaeus (Damaeus) gracilipes, ④ Humerobates rostrolamellatus, ⑤ Trichogalumna, ⑥ boninensis Trichogalumna ohkuboi 이다. 

 

05_검정꾹저구_울릉도내 첫 출현 기록.jpg
검정꾹저구_울릉도내 첫 출현 기록

 

05_참갈겨니
참갈겨니_울릉도내 첫 출현 기록

 

06_혓바늘목이
혓바늘목이_울릉도내 첫 출현 기록

 

06_흰갈대버섯
흰갈대버섯_독도내 첫 출현 기록

 

버섯은 이번 조사에서는 총 26과 41속 50종(공생성 47.3%, 부생성 52.7%)이 관찰되었다. 현재까지 울릉군에 발생하는 버섯은 299종이 보고되어 있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갈색자루접시버섯, 배꼽컵주발버섯, 흰갈대버섯, 혓바늘목이 등 20종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어류는 울릉도에서 보고된 적이 없는 참갈겨니(Zacco koreanus)와 검정꾹저구(Gymnogobius petschiliensis)를 비롯한 총 4과 5종이 관찰되었다. 이중 참갈겨니는 이전 미꾸리와 동사리의 사례처럼 내륙으로부터의 인위적 유입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울릉도와 독도는 난류(暖流)와 한류(寒流)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다양하고 독특한 생태계가 구축되어 있다. 또한 대륙과 분리된 섬이 아닌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화산섬으로 육지와의 거리가 멀고 동해의 수심이 깊어 외부 유입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까닭으로 울릉도는 대륙 생물종과의 차이나 신규 종의 침입, 정착과정, 진화와 천이(遷移) 과정 등을 연구하기에 적합하고, 울릉군 일대의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연구가 필요한 이유다. 

 

04_흑비둘기
흑비둘기 _멸종위기야생생물2급, 천연기념물 제215호

 

이번 조사에는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수목원, 국립생태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22개 유관기관 소속 108명의 생물다양성 전문가가 참여했다.


이석래 관장은 “이번 공동학술조사를 통해 한반도 및 울릉도?독도 일대의 분류, 계통 및 생물지리학적 연구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주기적인 조사·관찰을 통해 생물상 변화 추이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DB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영태 원장은 “국가 생물다양성을 연구하는 기관들의 연합체인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은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온전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연구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이하, ‘기관연합’)은 국내 생물다양성 정보의 지속적인 발굴·확보와 체계적인 보존·관리 및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지난 2007년 국립중앙과학관을 중심으로 16개 국립 및 공사립 회원기관이 참여하여 조직한 국내 생물다양성 유관기관 간의 연합체이다. 2023년 4월까지 참여기관의 수는 총 61개 기관이 되었다. 


기관연합은 매년 공동학술조사를 진행하는데, 전국을 10개의 권역으로 나눠 장기적인 생물다양성의 변화상을 조사한다. 이번에 발간한 보고서는 2022년 5월과 8월 경상북도 울릉군(울릉도/독도) 일대에서 진행한 기관연합의 공동학술조사 결과를 담은 연구 성과이다.

 

77.jpg
경상북도 울릉군 일대의 생물다양성 보고서 표지

 

[자료/사진 출처=국립수목원]

.

BEST 뉴스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울릉도·독도 자생 신규 생물 8종 추가 발견...총 661종 동·식물 서식하는 보물섬 재확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