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여행 주요 기사

여행종합
함양의 숨결, 일두고택과 남계서원에서 역사의 향기를 느끼다
함양의 숨결, 일두고택과 남계서원에서 역사의 향기를 느끼다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경상남도 함양에 위치한 일두고택,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이 고택은 성리학 대가 정여창의 유산이 깊게 배어 있는 이 고택은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 쉬는 곳이다. 정여창은 동방오현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 유학자이며, 그의 집은 세월을 거쳐 오늘날까지 그 가치를 전하고 있다. 이번 특집에서는 일두고택을 중심으로 함양의 역사적 매력과 주변 맛집, 관광지를 탐방한다. 함양 일두고택 (사진=문체부) 일두고택은 정여창이 세상을 떠난 후 약 1세기가 지나 건축된 고택이다.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곳으로, 정여창 가문의 역사와 전통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 고택의 입구에는 정여창 가문이 나라로부터 받은 정려 5개가 자리 잡고 있다. 고택의 솟을대문, 사랑채, 안채 등 곳곳에는 조선 시대의 건축 양식과 가문의 역사가 녹아 있다. 특히, 마당에 조성된 석가산 풍경과 천장 모서리의 탁청재 편액은 방문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남계서원(사진=함양군) 사랑채에는 정여창의 후손이 거주함을 알리는 문헌세가 편액이 걸려 있으며, 충효절의의 가치를 상징하는 종이가 방문 위에 부착되어 있다. 누마루에서 바라보는 석가산 풍경은 이곳의 아름다움을 더한다. 천장 모서리에 걸린 탁청재 편액은 '탁한 마음을 깨끗이 씻는 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일두고택에서 가까운 함양의 역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함양박물관도 빼놓을 수 없는 방문지다. 이 곳에 있는 함양군의 역사와 유물을 통해 지역의 문화적 풍부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함양 청계서원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남계서원은 정여창을 기리는 지역 선비들의 노력이 담긴 곳으로, 역사적 가치가 높다. 청계서원에서 유생이 머물던 역가재(사진=한국관광공사) 또한 일두고택 주변에는 다양한 맛집과 관광지가 존재한다. 개평마을의 '고택향기'는 종가 비빔밥으로 유명하며, 일두고택의 막내 따님이 운영하는 이곳은 전통적인 맛과 분위기를 자랑한다. 또한, 중앙여자고등학교와 한들고등학교 학생들이 참여하는 '문화야! 펀펀하게 놀자' 행사는 청소년들에게 문화적 힐링을 제공한다. 고택향기 종가 비빔밥 (사진=함양군) 함양 문화재 관리자는 "일두고택과 남계서원은 함양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장소"라며, "이곳을 방문하는 이들에게 성리학과 지역의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함양의 일두고택과 남계서원은 성리학의 정신과 함양의 역사를 오늘날에도 전하며, 방문객들에게 깊은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체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역사적 장소들은 함양의 문화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더욱 빛내고 있다. 이곳을 방문하는 이들은 고택의 역사적 가치와 함께 함양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함양의 숨결을 느끼고 싶다면, 일두고택으로의 여행을 계획해보는 것은 어떨까?
여행종합
[울산시] 남구, 꽃과 푸름의 도시화...정원 도시로의 화려한 변신
[울산시] 남구, 꽃과 푸름의 도시화...정원 도시로의 화려한 변신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울산시 남구가 도심 곳곳에 꽃동산과 특이한 녹지공간을 조성하며 '정원도시'로의 멋진 변신을 꾀하고 있다. 장생포 수국 동산, 태화강 그라스 정원과 맨발 황톳길, 그리고 독특한 디자인의 어린이공원 등이 이 변화의 중심에 있다. 장생포 근린공원 수국(사진=울산시) 2015년부터 시작된 장생포 근린공원의 수국 조성은 이제 울산의 대표 정원 관광지로 자리매김했다. 엔드리스 썸머 등 35개 품종의 수국이 만개하는 이 공원은 제1회 수국 페스티벌을 개최하며 관광객들의 발길을 끌었다. 올해 제2회 축제에는 무려 4만 명이 방문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남구는 장생포 근린공원을 사계절 꽃 관광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겹벚꽃, 서부해당화, 국화 등을 추가로 심을 계획이다. 또한, 태화강 남쪽 둔치에는 길게 조성된 그라스 정원과 맨발 황톳길이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 이 그라스 정원은 최신 정원 트렌드를 반영한 바람결에 흔들리는 얇고 긴 풀로 조성되었다. 남구는 맨발 황톳길을 주민 건강증진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 길은 주말과 휴일에 하루 2천여 명이 찾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최근에는 이 길을 더 편안하고 안전하게 걸을 수 있도록 개선 작업을 진행했다. 울산시 남구 맨발 황톳길(사진=울산시 남구) 어린이공원 리모델링 사업도 주목할 만하다. 남구는 79곳의 어린이공원을 색다른 디자인으로 변모시키고 있으며, 이는 지역 상권 활성화와 실제 주민과 어린이들의 휴식 공간으로의 역할 강화를 목표로 한다. 서동욱 남구청장은 "꽃과 푸른 식물이 넘치는 정원 도시 남구를 만들고 있다"며, "도시가 자연의 색깔로 바뀌면 주민들의 삶의 질과 품위도 더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현했다. 이러한 변화는 울산 남구를 도심 속 자연의 오아시스로 만들어가고 있다.
여행종합
강원 동해안 해중공원 활성화...또 다른 지구 체험
강원 동해안 해중공원 활성화...또 다른 지구 체험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리드: 강원 동해안의 해양레저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지역의 바닷속에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는 해중공원 조성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동해안의 관광 트렌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강릉 해중공원 가을 풍경(사진=강릉시) 강릉시는 2013년부터 2021년까지 80억 원을 투입해 경포해변 북쪽 사근진 해안에서 3km 떨어진 곳에 113ha 규모의 해중공원을 조성했다. 이곳에는 육상전망대, 접안시설, 수중에는 폐선박과 폐군수품, 인공어초 등이 설치되어 다양한 해중경관을 제공한다. 이러한 노력으로 강릉 해중공원은 연간 1만∼2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며 지역 관광의 새로운 명소로 자리 잡았다. 한 다이빙 리조트 관계자는 "해중공원은 다양한 볼거리와 풍부한 어종 덕분에 겨울 비수기에도 많은 다이버들이 찾는다"고 전했다. 강릉에 이어 고성군과 양양군에서도 해중공원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고성군은 410억 원을 투입해 오호리 연안에 해중공원을 조성 중이며, 양양군 죽도지구에도 해중 생태관광단지 조성을 위한 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동해안의 수중레저 거점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지역 관광산업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고 있다. 강원 동해안의 해중공원 조성은 지역 관광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동해안을 해양레저의 중심지로 변모시키며,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경험과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여행종합
[김포시] 빛나는 야간명소, 라베니체 '대한민국 밤밤곡곡 100선' 영예
[김포시] 빛나는 야간명소, 라베니체 '대한민국 밤밤곡곡 100선' 영예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김포시의 빛나는 야간 명소, 라베니체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대한민국 밤밤곡곡 100선'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국의 야간 관광 자원을 발굴하고 홍보하는 대한민국 밤밤곡곡 브랜드의 일환으로, 라베니체는 그 중에서도 특별한 인정을 받게 되었다. 김포 라베니체 야간풍경(사진=김포시) 라베니체는 2003년 한강신도시 개발계획에 따라 조성된 대한민국 최초의 수로도시다. 금빛수로와 수상레저시설, 음악분수, 산책로, 휴식공간, 공연장 등 다양한 친수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그 아름다운 경관으로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과 아시아 도시경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특히, 지난 10월에는 미디어 파사드와 LED를 활용한 경관시설과 수상불꽃공연 축제로 큰 호평을 받았다. 김포시 관광진흥과의 한 관계자는 "라베니체만의 독특한 브랜드와 다양한 관광상품 개발을 통해 이곳을 명품수변거리로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는 라베니체가 지역 관광의 새로운 명소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대한민국 밤밤곡곡 100선'에는 경기도에서 라베니체를 포함해 총 6곳이 선정되었다. 이는 경기도의 야간 관광 자원이 다양하고 풍부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앞으로도 많은 관광객들에게 아름다운 밤의 추억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행종합
산청 한 달 살기, 여행의 새로운 장을 열다: 'Wellnessmate, 산청' 모집...12월 15일 마감
산청 한 달 살기, 여행의 새로운 장을 열다: 'Wellnessmate, 산청' 모집...12월 15일 마감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리드: 경남 산청군이 'Wellnessmate, 산청' 프로젝트의 4차 참가자 모집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경남도와 산청군이 협력하여 관광객들이 한 달 동안 산청에서 여유롭게 시간을 보내며 지역의 매력을 깊이 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Wellnessmate, 산청'은 관광객들이 산청의 아름다움을 오랜 기간 동안 체험하고, 이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경남지역 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며, 만 19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참여 신청이 가능하다. 특히, 개인의 공개된 SNS 계정을 통해 산청의 관광자원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20팀(팀당 1∼2명)을 우대하여 선정할 예정이다. 참가자들은 12월 15일까지 산청군의 다양한 관광자원을 직접 여행하며 홍보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산청군은 참가자들에게 최소 2박부터 최대 29박 동안의 숙박비(팀당 1일 5만원 이내)와 입장료·체험비(1인당 총 5∼8만원 이내)를 지원한다. 이는 참가자들이 산청의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를 더욱 풍부하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산청군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산청의 숨겨진 매력을 널리 알리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자세한 사항과 참가 신청은 산청군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Wellnessmate, 산청' 프로젝트는 여행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새로운 경험과 기회를 제공하며, 산청의 아름다움을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여행종합
[더헤븐] 대부도 바다의 풍경, 그린의 유혹: 더 헤븐 리조트에서 펼쳐지는 꿈같은 여행
[더헤븐] 대부도 바다의 풍경, 그린의 유혹: 더 헤븐 리조트에서 펼쳐지는 꿈같은 여행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살아가면서 우리는 천국을 꿈꿀 때가 있다. 세기의 역작을 마주했을 때, 오랫동안 바라던 꿈을 이루었을때, 숙명처럼 이상형을 만났을때, 꿈에 그리던 가족을 만났을때, 경이로운 풍경을 보았을때, 로또와 같이 천운을 얻었을때 등등 일상에서 체험하기 힘든 일을 경험한 경우 천국을 떠올린다. THE HEAVEN은 골프와 바다를 좋아하는 이들에게 천국같은 조건을 제공한다.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에 위치한 더 헤븐 리조트는 고급스러운 레지던스 시설과 함께 골프와 바다를 즐길 수 있는가족 여행의 최적지로 손꼽는다. 또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아름다운 기업이다. 더 헤븐 골프리조트 전경(사진=더 헤븐) 더 헤븐 복합리조트 더 헤븐 리조트는 만남, 가치, 럭셔리, 네이처 프라이빗이라는 네 가지 가치를 실천하며, 고객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한다. 프라이빗한 테라스에서 바라보는 푸른 잔디와 아름다운 서해바다는 어디에서도 느낄 수 없는 탁트인 해방감과 여유를 선사한다. 모든 객실에서는 서해바다의 조망이 가능하며, 노을이 질 때 빛나는 바다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다. 제부도 노을 (사진=픽사베이) 객실-스위트 (사진=더 헤븐) 더 헤븐 객실 - 수퍼펜트 (사진=더 헤븐) 풀 & 트윈 (실내수영장) 더 헤븐 리조트는 서울에서 1시간 거리에 위치해 접근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레저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골프코스, 에스더하우스, 스크린골프, 사우나, 네일, 헤어, 수영장, 피트니스, 키즈존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더 헤븐 리조트는 가족 여행의 베이스캠프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으며, 내년 봄에는 어린이를 위한 키즈 프로그램과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는 실내 테니스장을 마련할 계획이다. 카페 조식(사진=더 헤븐 웰니스 (사진=더 헤븐) 김민정 총괄기획이사는 "더 헤븐 리조트는 고객의 행복한 추억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가치 위에 머무르다'라는 슬로건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이사는 또한 "내년 봄에는 가족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시설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더 헤븐 리조트는 서울에서 단 1시간 거리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다. 이곳은 중년층에게 특별한 휴식과 골프의 즐거움을 제공하며, 가족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완벽한 여행지다. 더 헤븐 리조트에서는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여유와 휴식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여행종합
월영교와 선성현, 안동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떠오르다: 2024년 열린 관광지로 선정
월영교와 선성현, 안동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떠오르다: 2024년 열린 관광지로 선정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경북 안동시의 월영교와 선성현문화단지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2024년도 열린 관광지' 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었다는 소식이 12일 전해졌다. 이번 선정은 전국 공모와 심사, 현장평가를 거쳐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12개 지자체의 30곳이 새로운 열린 관광지로 이름을 올렸다. 안동 선성현문화단지 (사진=안동시) '열린 관광지' 사업은 관광객의 이동 불편을 해소하고, 장애 유형별로 맞춤형 체험 콘텐츠를 개발하여 모든 이가 제약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관광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안동시는 이번 선정을 통해 월영교의 보행로와 화장실을 개선하고, 데크를 보수하는 등의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벚꽃길 맨발 체험 프로그램과 안동댐 일원에서의 전기차 운영 등 다양한 관광 프로그램을 선보일 계획이다. 안동 월영교 야경(사진=안동시) 선성현문화단지에서는 주차장 정비와 경사로 설치, 영유아를 위한 예절학당 운영, 도예공방 체험프로그램 등을 진행하여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소외 계층 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관광환경을 조성하여 월영교와 선성현문화단지를 대한민국의 대표 열린관광지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번 '열린 관광지' 사업의 선정은 안동시에 새로운 관광의 장을 열고, 더 많은 사람들이 문화와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행종합
옛 장흥교도소, 예술의 자유를 품다: '프리즈날레와 프리즈놀래
옛 장흥교도소, 예술의 자유를 품다: '프리즈날레와 프리즈놀래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장흥의 옛 교도소가 예술과 문화의 새로운 무대로 변신을 꾀한다. 장흥군은 40년의 교정 역사를 품은 이곳을 문화예술의 온기로 채우는 시범사업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교도소 톺아보기: 프리즈날레 그리고 프리즈놀래'라는 가을 한정 이벤트를 통해, 이색적인 공간을 활용한 현대미술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프리즈놀래'는 참여자들이 수감자가 되어 교도소 곳곳을 탐험하며 퀴즈를 풀고, 이야기를 따라가는 상황극이다. '프리즈날레'는 이수빈, 김규민, 최인호 작가가 협업하여 교도소의 어두운 공간을 예술적으로 재해석한 현대미술 전시로, 교도소의 역사적 특성을 보존하며 새로운 미학적 색채를 더한다. 체험 프로그램은 14일부터 18일까지 총 4회에 걸쳐 운영되며, 전시는 22일부터 12월 3일까지 관람 가능하다. 참여를 원하는 이들은 사전 예약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장흥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영현 사업단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장흥군의 문화자원과 지역 예술가들이 연결되는 과정을 기록하고, 지역문화 생태계 조성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이곳을 '갱생문화발신지'로서 사색하고 치유받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군민과의 고민을 약속했다. 옛 장흥교도소는 국내 유일의 교도소 실물 촬영지로서, 문화체육관광부의 '유휴공간 문화재생사업'에 선정되어 내년 개장을 목표로 새로운 변화를 준비 중이다.
여행종합
"경기옛길 봉화길 개통!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쉬는 138km의 여행로"
"경기옛길 봉화길 개통!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쉬는 138km의 여행로"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 경기옛길센터가 다가오는 11월 11일, 광주시 청석공원에서 '경기옛길 봉화길'의 개통식을 열 예정이다. 이 길은 조선시대 김정호가 편찬한 '대동지지'를 기반으로, 하남에서 이천까지 이어지는 역사와 문화가 물씬 풍기는 탐방로다. 이 길은 조선시대에 한양에서 광주, 이천, 충주를 지나 태백산 사고가 있던 경상도 봉화 지방까지 이어졌던 봉화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노선은 하남, 광주, 여주, 이천을 지나며 총 길이는 138km에 달한다. 광주향교, 남한산성, 이천 의병전적비, 설봉공원, 영릉, 설성산성 등 다양한 명소를 경유한다. '경기옛길 봉화길 개통식 및 걷기 축제' 참가 접수는 11월 1일부터 6일까지 경기옛길 누리집(ggcr.kr)에서 진행된다. 이로써 경기도 전역에는 총 687.4㎞의 대형 탐방로가 조성되게 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봉화길에는 문화유산 이야기와 민담, 설화 등을 조사하여 탐방객 중심의 재미 요소를 구현하려 했다"며 "이 길을 통해 도민들이 역사와 문화를 더 깊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처럼 '경기옛길 봉화길'은 역사와 문화, 그리고 아름다운 풍경까지 한 번에 느낄 수 있는 길로, 다가오는 개통식을 통해 더 많은 이들이 이 길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길을 걸으며 경기도의 아름다움과 역사를 체험해보는 것은 어떨까?
여행종합
곡성군, 2023 그린우드워킹 캠프 운영...11월 3일~5일, 인원100명
곡성군, 2023 그린우드워킹 캠프 운영...11월 3일~5일, 인원100명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이번 11월 3일부터 5일까지, 곡성군은 도림사 오토캠핑장에서'그린우드워킹 캠프'를 개최한다. 이 행사는 지난 2020년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애(愛)올래' 사업 선정 이후, 지역의 다양한 농촌 관광 콘텐츠를 발굴하고 운영하는 곡성군의 또 다른 노력이다. 캠프는 그린우드워킹 워크숍과 대나무 워크숍 두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가자들은 볶음주걱, 옷걸이, 나무접시 등 다양한 작은 물건부터 등받이 조립의자 같은 가구까지 직접 만들어보며 체험할 수 있다. 대나무 워크숍에서는 대나무 달걀바구니, 대나무 짜임액자, 한산모시빗자루 등을 만들어보는 체험도 진행된다. 뿐만 아니라, 우드워킹 도구 전시, 나무 작업물 전시, 나무놀이 체험, 곡성 로컬 밀키트 콘테스트, 영화 상영 및 작은 음악회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준비되어 있어 온 가족이 함께 즐기는 기회도 갖는다. 참가비는 1박 2일은 2인 11만 2000원, 2박 3일은 2인 13만 2000원으로, 농림축산식품부와 곡성군의 지원을 받아 합리적인 비용으로 참여할 수 있다. 캠프는 10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하며, 31일까지 '그리곡성'의 네이버 예약 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이번 캠프는 곡성에 소재한 여러 협동조합이 함께 모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전체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은 협동조합 그리곡성과 나무발전소 협동조합이 주도하며, 나무놀이연구소 협동조합과 대숲사랑 협동조합이 협력 단체로 참여한다. 이렇게 다양한 협동조합들이 모여 지역 경제의 선순환을 이끌어내는 농촌 관광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여행종합
"워킹메이트 통해 제주올레길을 걷다! 전 세계 도보 여행자들이 모이는 이유는?"
"워킹메이트 통해 제주올레길을 걷다! 전 세계 도보 여행자들이 모이는 이유는?"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제주올레길은 유럽부터 미주, 아시아까지 전 세계 도보 여행자들의 발걸음을 계속해서 이끌고 있다. 이는 제주도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단법인 제주올레는 올해 4월부터 '워킹메이트'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외국어에 능통한 자원봉사자들이 외국인과 무료로 함께 제주올레길을 걷는다. 현재까지 총 109명의 외국인이 이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호주 홈 컴포츠 하이킹팀, 제주올레 길 기념사진 [사진=제주올레] 워킹메이트 프로그램에 참여한 외국인들은 영국, 스페인, 멕시코 등 다양한 19개 국가에서 왔다. 호주의 트레킹 전문 여행사 홈 컴포츠 하이킹의 대표 마커스 루드릭스는 최근 13명의 트레킹 애호가와 함께 제주를 찾았다. 이들은 '길동무'라는 유료 프로그램을 통해 제주올레길의 여러 코스를 걸으며 제주의 자연과 해녀 문화를 체험했다. 안은주 제주올레 대표는 "제주올레가 수출한 규슈올레, 미야기올레, 몽골올레 등 '자매의 길'과 해외 트레일 등이 협력해 공동 홍보하는 '우정의 길'을 통해 제주올레길이 널리 알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제주올레는 11월 2일부터 4일까지 제13회 제주올레 걷기 축제를 개최할 예정이다. 축제 전날에는 '글로벌 패밀리 나이트'라는 행사를 통해 다양한 국가의 도보 여행자들과 교류할 계획이다. 제주올레는 2007년에 설립된 사단법인으로,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를 주최하고 있다. 제주올레길은 총 26개의 메인 코스와 5개의 연결 코스, 그리고 1개의 알파 코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길들은 제주의 다양한 지형과 문화를 경험할 수 있게 해주며, 많은 도보 여행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이렇게 제주올레길은 전 세계 도보 여행자들에게 다양한 매력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매력은 제주도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제 제주올레길은 단순히 제주도민들의 산책로가 아니라, 전 세계 여행자들이 꼭 경험해보고 싶은 '머스트 비짓' 명소로 자리 잡았다.
여행종합
국립세종수목원, 가을의 향연 '꽃길만 걷게 해줄게' 축제로 초대
국립세종수목원, 가을의 향연 '꽃길만 걷게 해줄게' 축제로 초대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가을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10월, 국립세종수목원에서는 10월 21일부터 11월 5일까지 가을꽃 축제 '꽃길만 걷게 해줄게'를 개최한다. 이 축제는 다양한 가을 대표 식물들과 함께 탄소중립 실천을 통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제안한다. 이번 축제는 지역농가와 협력하여 지역상생을 실현하고, 국화, 아스터, 참억새 등 가을의 대표 식물들로 정원을 빛내 줄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문화행사, 특별전시, 교육·체험 프로그램, 정원장터 등 다양한 행사가 함께 진행된다. 주목할 만한 행사로는 수목원 개원 3주년을 기리는 '가을 음악회', 국민 참여형 문화행사 'ESG(Earth, Song, Garden) 페스타', 청년예술가들의 풍류대결 '청춘마이크', 그리고 반려식물 동호회와 함께하는 '반려식물 문화페스타' 등이 있다. 국립세종수목원장 신창호는 "이번 축제를 통해 탄소중립과 지역상생을 실천하면서 아름다운 가을꽃과 함께 소중한 추억을 만들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가을, 국립세종수목원의 '꽃길만 걷게 해줄게' 축제에서는 자연과 문화, 그리고 지역사회가 하나되는 아름다운 순간을 경험할 수 있다. 가을의 풍경을 느끼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어보자.
여행종합
익산시 왕궁보석테마관광지, '보석·공룡' 테마로 전북의 새로운 관광 명소로 떠오르다"
익산시 왕궁보석테마관광지, '보석·공룡' 테마로 전북의 새로운 관광 명소로 떠오르다"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익산시의 왕궁보석테마관광지가 전북의 새로운 관광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곳은 '보석과 공룡'이라는 이색 테마로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으며, 올해만 16만 7천여 명이 찾았다. 특히 이들 중 87%가 타지에서 온 관광객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왕궁보석테마관광지는 국내 최대의 보석박물관과 주얼팰리스를 비롯해 다이노키즈월드와 익스트림슬라이드타워 등 다양한 놀이 체험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곳에서는 '보고, 즐기고, 쇼핑하는 오감만족 관광코스'를 제공하며, 특히 황금연휴와 계절별 여행 집중기에 맞춘 전략적 홍보가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달 1일부터 3일까지 개천절 연휴에는 '대체불가쇼' 공연이 열려 전년 대비 31% 증가한 5858명의 관광객이 찾았고, 한글날 연휴기간에도 전년 대비 53% 증가한 6172명의 관광객이 이곳을 찾았다. 또한, 다양한 이벤트와 프로모션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특히, '다이노키즈월드 1+1 행사'는 실내 체험시설 이용객에게 야외 체험시설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달 14일부터 29일까지는 가을 '가족소풍'과 18일부터 29일까지는 '보석축제'가 열릴 예정이다. 익산시 관계자는 "외지 관광객 수도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1+1 행사를 통해 가족 관광객에서 청소년과 연인들까지 이용객의 수요층이 늘어나고 있다"라며 "익산시 관광 활성화는 물론 보석산업을 알리고 지역 경기침체를 극복하는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처럼 왕궁보석테마관광지는 다양한 이벤트와 시설로 관광객을 매료시키며 전북 익산시의 새로운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행종합
[장성군] 세계 무대로! 서울국제음식영화제와 협약 체결로 미래 먹거리 확보
[장성군] 세계 무대로! 서울국제음식영화제와 협약 체결로 미래 먹거리 확보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장성군이 음식문화 개발을 통한 지역발전을 위해 서울국제음식영화제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장성군의 미식관광을 국제적으로 알릴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11일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서울국제음식영화제 정우정 집행위원장과 장성먹거리통합지원센터 이사장 김명신 장성부군수, 이강노 센터장 등 1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 협약은 장성군과 서울국제음식영화제가 지난 봄부터 맺어진 인연을 더욱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장성군 지역 먹거리(로컬푸드)의 소비 촉진과 남도미식관광 홍보자원 발굴이다. 장성먹거리통합지원센터는 서울국제음식영화제 활성화를 위해 다각도로 협력할 계획이다. 김한종 장성군수는 "이번 협약이 장성 고유의 음식과 문화자원을 널리 알리고, 세계인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장성군은 '1000만 관광시대'를 목표로,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백양사 정관스님의 사찰음식과 백종원 대표의 더본코리아와의 업무협약, 그리고 '5대 맛거리 조성사업' 등을 통해 지역 소득을 높이고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고 있다. 장성군은 이미 영화와도 깊은 인연이 있다. 한국영화의 거장 임권택 감독의 출생지로, 장성호 관광지에 임권택시네마테크가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영화'와 '음식'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장성군의 미래가 더욱 밝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여행종합
"2023 군산 짬뽕 페스티벌, 매출 4배 증가로 성황"
"2023 군산 짬뽕 페스티벌, 매출 4배 증가로 성황"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10월 7일부터 8일까지 이틀 동안 군산짬뽕특화거리에서 열린 '2023년 제3회 군산 짬뽕 페스티벌'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행사는 홍등 거리 조성을 통해 뉴트로 감성을 불어넣어 시민과 관광객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했다. 전국 짬뽕 마니아들은 세계 이색 짬뽕부터 다양한 짬뽕의 맛과 멋을 느끼며 흥과 힐링의 여행을 즐겼다. 가족 단위의 관광객들은 짬뽕 쿠킹 클래스, 수타면 놀이 체험, 네일아트 및 페이스페인팅 아트체험 등을 통해 새로운 체험을 가졌다. 개그맨 이봉원과 짬뽕의 대가 여운방의 재치 있는 입담은 축제의 분위기를 한층 더 끌어올렸다. 음식특화거리 행사로서, 군산지역 내 짬뽕 맛집 5개소를 포함한 총 9개의 입점업소가 참여해 더욱 풍성한 먹거리를 선사했다. 이들 업소는 음식 할인 이벤트와 위생 수준 향상 활동을 통해 거리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결과적으로, 특화 거리 내 업소들의 매출은 종전보다 4배 이상 증가했다. 축제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뿐만 아니라, 짬뽕푸드마켓에서는 군산지역 특산품인 울외장아찌, 짬뽕빵, 김, 생선 밀키트, 누룽지 등도 판매됐다. 이로써 지역 골목상권이 활성화되고, 신규 상점들의 입점 및 짬뽕특화거리 관광 연계 추진 등으로 군산이 관광명소로 떠오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지역민들의 적극 참여로 더욱 풍성한 페스티벌이 되어 앞으로의 군산짬뽕이 더욱 유명세를 탈 것으로 보인다.
여행종합
"샘고을 정읍, 샘나는 여행" - 농뚜레일로 느끼는 정읍의 가을
"샘고을 정읍, 샘나는 여행" - 농뚜레일로 느끼는 정읍의 가을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정읍시 농업기술센터가 주최한 농촌체험여행 농뚜레일 '샘고을 정읍, 샘나는 여행'이 지난 9일에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철도공사의 온라인 플랫폼 '렛츠코레일'을 통해 모집된 25명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코스인 '알로에사랑' 농촌체험농장에서는 참가자들이 알로에로 만든 웰컴티를 즐기고, 알로에 보습제를 직접 만드는 체험을 했다. 이어서 구절초 꽃축제장을 방문해 꽃길을 거닐며 가을의 정취를 만끽했다. 다양한 전시부스와 농특산물 구매의 기회도 있었다. 마지막 코스로는 정읍9경 중 하나인 쌍화차 거리에서 참가자들이 쌍화차를 맛보며 오감을 만족시키는 여행을 마무리했다. 한 참가자는 "여행코스가 당일코스로 알차게 구성돼 있어 정읍의 새로운 매력을 알게 됐다"고 호평했다. 전정기 소장은 "농뚜레일 상품을 지속적으로 홍보해 농촌자원 소득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농뚜레일은 농촌진흥청, 한국철도공사,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농촌과 철도의 연결을 의미하는 단어의 조합이다. 이번 행사를 통해 정읍시는 농촌과 철도, 그리고 관광이 어우러진 새로운 형태의 지역 활성화 모델을 선보였다. 다가오는 가을, '샘고을 정읍, 샘나는 여행'은 당신의 가을 여행지로서 빼놓을 수 없는 명소가 될 것이다.
여행종합
"밤에도 문화유산을 걷다, 영덕 문화유산 야행 2024년 선정"
"밤에도 문화유산을 걷다, 영덕 문화유산 야행 2024년 선정"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경북 영덕군이 2024년 문화재청 문화유산 활용 공모사업에 '영덕 문화유산 야행' 프로그램으로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영덕군 영해면 장터거리 근대역사문화공간을 중심으로, 내년 10월에 '영해 1924 그날 밤을 거닐다'라는 부제로 진행될 예정이다. 영덕 영해장터거리 근대역사문화공간에 있는 건물(사진=영덕군) 지역 문화, 관광,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근대 건축물과 역사적 사건이 일어난 이곳에서 여덟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야간 특화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영덕 문화유산 야행은 단순한 야간 투어가 아니다. 이것은 지역 문화, 관광, 경제를 한 번에 활성화하는 야간 특화 프로그램이다. 내년 10월에는 '영해 1924 그날 밤을 거닐다'란 부제로, 영해면 장터거리 근대역사문화공간에서 살았던 면민들의 이야기를 '8야(夜)'란 여덟 가지 프로그램으로 풀어낸다. 영해면 성내리에 위치한 영해장터거리 근대역사공간은 근대 한국인의 장터거리 생활상이 잘 남아있어 2019년에 국가등록문화재에 올랐다. 여기에는 영덕 구 영해금융조합, 영덕 영해양조장 및 사택 등 10곳이 별도로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이곳은 또한 1871년 농민운동인 이필제 영해동학혁명, 평민의병장 신돌석 장군의 항일투쟁, 1919년 3월 18일 3천여명이 참여한 만세운동 등이 일어난 역사적인 장소다. 김광열 영덕군수는 "영해 장터거리 근대역사 공간은 그 역사성과 가치를 인정받아 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곳"이라며, "3년 연속 공모에 선정된 만큼 주민과 함께 새로운 문화와 미래를 열 수 있는 행사를 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여행종합
2023 강원세계산림엑스포, 푸른지구관 대형 미디어아트 영상 인기몰이
2023 강원세계산림엑스포, 푸른지구관 대형 미디어아트 영상 인기몰이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2023 강원세계산림엑스포의 푸른지구관에서 상영되는 대형 미디어아트 영상이 관람객들로부터 폭발적인 호응을 얻고 있다. 강원세계산림엑스포 푸른지구관에서 상영 중인 대형 미디어아트 (사진=산림엑스포 조직위원회) 강원세계산림엑스포 푸른지구관에서 상영 중인 대형 미디어아트 (사진=산림엑스포 조직위원회) 1일 산림엑스포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이 영상은 높이 6m, 길이 70m의 대형 스크린을 활용해 정면, 양옆, 바닥까지 아우르는 프로젝트 매핑기법을 적용했다. 주제 영상에서는 '탄소 1t=나무 360그루'라는 메시지를 강조하며, 서브 영상에서는 '대한민국은 경제성장과 산림복원을 동시에 이룬 유일한 국가'라고 알린다. 이러한 메시지는 화려하고 웅장한 영상과 음향이 결합되어 관람객에게 깊은 몰입감을 선사한다. 두 영상 사이를 이어주는 패턴 영상에서는 아름다운 숲과 꽃들을 이미지화해 대형 스크린 곳곳이 포토존으로 변한다. 이로 인해 푸른지구관의 관람객 수는 급증, 전날까지 3만6천354명을 기록했다. 지난달 22일 개막 이후 매일 3천명 안팎의 관람객이 찾았던 푸른지구관에는 29일 6천398명, 30일 8천821명으로 급증했다. 푸른지구관을 포함해 전체 누적 입장객 수는 이날 낮 12시 현재 28만4천754명이다. "이 영상은 단순한 미디어아트를 넘어, 사람들에게 환경과 산림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 교육적 요소도 갖추고 있다." 고 산림엑스포 조직위원회 관계자가 말했다. 산림엑스포는 '세계, 인류의 미래, 산림에서 찾는다'를 주제로 10월 22일까지 열린다.
여행종합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에서 가을의 밤을 빛내다...노을부터 야경까지, 순천의 모든 것을 즐기자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에서 가을의 밤을 빛내다...노을부터 야경까지, 순천의 모든 것을 즐기자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순천에서는 2023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개최한다. 이 기간 동안, 선선한 가을 날씨와 순천만국가정원의 밤 풍경은 더없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순천만국가정원권역 관광지와 야경(사진=순천시) 행사장은 크게 순천만국가정원권역, 순천만습지권역, 도심권역으로 나뉜다. 순천만국가정원권역에서는 국가정원식물원과 시크릿가든이 방문객들에게 인기다. "국가정원식물원에서 구경을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시크릿가든으로 이어진다. 두 곳을 둘러보고 나오면, 순천호수정원 주변의 야경이 눈에 담긴다."고 조직위원회 홍보담당자가 설명한다. 도심권역에는 오천그린광장과 그린아일랜드, 물위의정원이 있는데, 이곳의 밤 풍경도 순천호수정원 못지않게 멋지다. "오천그린광장의 야경은 정말로 숨겨진 보석 같아요," 라고 여행자 김지현 씨가 말한다. 9월과 10월에는 순천만국가정원권역의 운영 시간이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다. 오후 5시부터 입장하는 야간권의 입장료는 어른 8000원, 청소년 6000원, 어린이 4000원이다. 그리고 순천에는 그림책 전문 도서관인 순천시립그림책도서관이 있다. 이곳은 순천시 행동 문화의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그림책 원화와 관련 전문자료 등을 전시하고 있다. 주변에는 옥천서원이라는 전남문화재자료도 있어 함께 구경할 만하다. 매주 금요일 오후 5시부터 10시까지는 순천시티 야경투어가 운행된다. 코스는 순천역부터 시작해 오천그린광장&출렁다리를 거쳐 순천만국가정원(정원드림호는 선택)을 방문한 뒤 다시 순천역으로 돌아온다. 박람회 조직위원회 위원장인 김영록 전남도지는 "가을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즐기기에 가장 좋은 계절입니다. 특히 늦은 오후부터 저녁에 걸쳐 펼쳐지는 노을과 야경은 정말로 아름답습니다." 라고 소개했다. 이번 추석에 가족과 함께 순천에 내려온 이민지 씨(서울 은평구)는 "순천역에서 도보로 10여 분 거리에 위치한 동천테라스나루터에서는 박람회 행사장 내 호수정원나루터까지 12인승 보트와 20인승 선박이 운항해요. 늦은 오후에 배를 타고 노을을 보는 건 정말로 감동적이었어요." 라고 말했다. 순천은 가을에 더욱 빛나는 도시다.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는 그 중심에서 더욱 화려한 빛을 발한다. 이 가을, 순천에서 노을과 야경, 그리고 다양한 문화와 자연을 만나보면 어떨까.
여행종합
[고흥군] 추석 명절, 고흥 녹동항에서 펼쳐지는 드론쇼와 전통 민속놀이의 환상적 조화
[고흥군] 추석 명절, 고흥 녹동항에서 펼쳐지는 드론쇼와 전통 민속놀이의 환상적 조화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추석 명절을 앞두고 전남 고흥군이 준비한 특별한 선물이 있습니다. 고흥군(군수 공영민)은 전남 최초로 매주 토요일에 상설 공연으로 진행 중인 '2023 고흥 녹동항 드론쇼'를 명절을 맞이해 토요일과 일요일에 특별 정기공연으로 선보인다고 밝혔습니다. 9월 30일 토요일 저녁 9시에는 500대의 드론을 활용해 '제기차기, 그네타기, 강강술래' 등의 3D 콘텐츠와 불꽃을 결합, 녹동항 밤하늘을 아름답게 수놓을 예정입니다. 이어서 10월 1일 일요일 저녁 8시에는 지난 공연에서 관람객들의 열렬한 환호와 사랑을 받았던 베스트 컷을 500대의 드론으로 다시 한번 연출합니다. 이외에도 드론쇼를 기다리는 동안, 관람객들은 도양읍 인공섬 녹동 바다정원 중앙에서 흥겨운 버스킹 공연과 전통 민속놀이 체험 공간에서 제기차기, 투호 던지기, 딱지치기 등을 즐길 수 있습니다. 이는 고흥군이 추석 명절의 특별한 분위기를 더욱 높이기 위해 마련한 프로그램입니다. 군 관계자는 "녹동항 드론쇼에 지속적으로 보여주신 뜨거운 관심과 큰 사랑에 감사드린다. 추석 명절을 맞이해 많은 관람객의 방문이 예상되는 만큼, 안전관리에 철저히 준비하여 추억에 남을 멋진 공연을 선보이겠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특별 정기공연은 고흥 녹동항 드론쇼가 지역 문화와 예술, 그리고 과학기술이 어우러져 새로운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며, 추석 명절을 더욱 특별하게 보내고 싶은 분들에게 강력히 추천됩니다.
여행종합
궁중의 맛과 멋 '수라간 시식공감'으로 가을을 더 특별하게...10월 20일부터 28일
궁중의 맛과 멋 '수라간 시식공감'으로 가을을 더 특별하게...10월 20일부터 28일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경복궁에서 느끼는 궁중의 맛과 멋 '수라간 시식공감' 하반기 행사가 차원이 다른 체험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와 한국문화재재단이 10월 20일부터 28일까지 8일간 경복궁 소주방에서 '수라간 시식공감' 하반기 행사를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행사는 궁중음식과 전통공연, 놀이 등 다양한 체험을 경복궁의 부엌, 소주방에서 할 수 있는 궁중문화 복합 체험 프로그램입니다. 행사는 궁중음식 시식과 자유 체험 프로그램으로 나뉩니다. 궁중음식 시식 프로그램에서는 '밤의 생과방'과 '식도락'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밤의 생과방'에서는 전통 국악 공연을 감상하며 궁중다과를 즐길 수 있고, '식도락'에서는 '타락죽'에 관한 연극을 보며 궁중음식을 맛볼 수 있습니다. 하루에 120명이 참여할 수 있으며, 1일 4회 운영됩니다. 자유 체험 프로그램에서는 율란과 곶감오림 만들기, 국궁 쏘기 등의 전통체험을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주방골목'에서는 여섯 가지 다양한 골목 간식을 맛볼 수 있습니다. 이번 행사부터는 '우선예매권 추첨 방식'을 도입해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티켓은 10월 4일부터 9일까지 티켓링크에서 응모 가능하며, 당첨자 발표는 10월 10일에 이루어집니다. 참가비는 2만 5,000원이며, 만 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 예매도 가능합니다. 이번 '수라간 시식공감' 행사를 통해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관람객들이 궁궐에서 전통 음식과 문화를 즐기며 특별한 추억을 만들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행사는 단순한 관람을 넘어 실제로 궁중문화를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이번 가을, 경복궁에서 특별한 문화 여행을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요?
여행종합
[정선] '치유의 축제: 2023 한국 치유관광 페스타 10월7일~31일까지
[정선] '치유의 축제: 2023 한국 치유관광 페스타 10월7일~31일까지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 그리고 '올해의 웰니스관광 도시'로 선정된 정선군이 손잡고 준비한 '2023 한국 치유관광 페스타'가 10월 7일부터 31일까지 개최된다. 이 행사는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외 관광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페스타 개막식은 10월 7일 오후 2시, 정선군의 가리왕산 케이블카 숙암역 일대에서 열린다. 개막식에서는 가수 양희은과 방송인 박미선의 '힐링 토크콘서트', 명상 음악가 정수지의 '소리치유(사운드테라피)' 공연이 펼쳐진다. 강원도를 비롯한 5개 지자체가 홍보부스를 운영하며, 추천 치유관광지 특별 할인캠페인, 정선군 이색 1일 체험 강좌, 무료 체험강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특히, '여기 어때' 앱을 통해 전국 39개 추천 치유관광지의 130여 개 관광상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 문체부 용호성 관광산업정책관은 "코로나19 이후 몸과 마음의 건강을 추구하는 치유관광 활동에 대한 여행객들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새로운 관광 흐름을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해 행사를 준비한 만큼, 국내외 관광객들이 치유관광을 즐기고 치유 관광산업이 활성화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2023 한국 치유관광 페스타'는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몸과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 행사를 통해 치유관광 산업이 한 단계 더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행종합
"홍콩 사이클로톤: 페달을 밟고 스카이라인을 넘어!"
"홍콩 사이클로톤: 페달을 밟고 스카이라인을 넘어!"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10월 22일, 홍콩의 침사추이 지역에서는 무엇보다도 특별한 경험이 펼쳐진다. 홍콩관광청 주최와 선훙카이 후원으로 열리는 '홍콩 사이클로톤'이라는 이 대회는 홍콩의 아름다운 스카이라인과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사이클링을 즐기는 국제적인 행사다. 홍콩 사이클로톤 50km 경기 [사진=홍콩관광청] 홍콩 사이클로톤은 해외 동호인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이는 홍콩의 독특한 경치와 함께 사이클링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대회에는 5천명이 참가할 예정이며, 개인 참가자들은 30km와 50km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족 단위로 참여할 수 있는 '패밀리 펀 라이드' 코스도 준비되어 있다. 특히 이번 대회는 국제사이클연맹(UCI) 1.1 등급 로드 레이스에 10여 개의 UCI 월드투어 팀 등 100명의 프로 선수도 출전해 관람객들에게 멋진 경기를 선사할 예정이다. 홍콩관광청 한국지사 관계자는 "마라톤과 해안 사이클링 등 가을에서 겨울까지 아웃도어 액티비티가 많이 계획돼 있다"며 "홍콩의 겨울은 평균 섭씨 15∼20도 정도로, 한국의 가을과 비슷한 날씨여서 하이킹, 트레킹과 같은 야외 활동에 이상적"이라고 말했다. 이 대회는 홍콩의 아름다운 경치와 스포츠의 열정을 결합하여 참가자와 관람객 모두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홍콩 사이클로톤에서는 페달을 밟고 홍콩의 아름다운 스카이라인을 넘어 새로운 경험을 즐겨보자.
여행종합
"푸른 하늘 아래 '맘껏 뛰어놀개': 금천구에서 반려견과 함께하는 특별한 하루!"
"푸른 하늘 아래 '맘껏 뛰어놀개': 금천구에서 반려견과 함께하는 특별한 하루!"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금천구에서 반려견과 그들의 사랑스러운 보호자들을 위한 특별한 이벤트가 펼쳐집니다! 구청장 유성훈이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9월 23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시흥동 금천녹색광장에서 열립니다. 이 특별한 날, 반려견과 반려인들이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이동식 놀이터 '맘껏 뛰어놀개'가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당일 현장에서 접수를 받으며, 놀이터는 안전한 울타리와 다양한 스포츠 장비가 갖춰져 있어, 반려견들이 목줄 없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습니다. 또한, 반려인들을 위한 휴식 공간도 마련되어 있어, 파라솔 아래에서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참여를 희망하는 반려견은 동물등록이 완료되고 광견병 예방접종을 받은 경우에만 가능하며, 안전을 위해 중·소형 견과 대형 견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단, 맹견의 출입은 허용되지 않으며, 각 공간에는 최대 20마리의 반려견만 동시에 입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유기 동물 입양 홍보와 반려동물 공공 예절에 대한 캠페인, 그리고 1:1 행동 교정 상담도 진행됩니다. 유성훈 구청장은 "반려인들의 놀이터 설치에 대한 꾸준한 요구를 반영해 내년 7월에는 상설 반려견 놀이터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동물복지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전했습니다. 이 특별한 행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금천구청 지역경제과(02-2627-2592)로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안내 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려견과 함께하는 즐거운 하루, '맘껏 뛰어놀개'에서 만나요!
여행종합
신안군, 힐링과 미식의 향연...천일염 바다에서 홍어 바다까지
신안군, 힐링과 미식의 향연...천일염 바다에서 홍어 바다까지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여러분, 이번 주말 어디로 떠나볼까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면, 지금 바로 신안군으로 힐링 여행을 계획해보세요! 신안군은 풍부한 특산물과 아름다운 자연이 어우러진 곳으로, 여러분의 마음까지 치유해 줄 수 있는 완벽한 여행지랍니다. 첫 번째로 방문할 곳은 천일염 체험장이에요. 여기서는 바다에서 채취한 해수를 햇볕에 말려 얻는 천일염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어요. 천일염은 미네랄이 풍부해서 건강에 좋고, 음식의 맛을 더욱 진하게 해준답니다. 체험 후에는 천일염으로 만든 다양한 제품들을 구입할 수 있는 시간도 가질 수 있어요. 태평염전 소금밭 염전체험(사진=신안군) 천일염 힐링캠프 주요내용 : 천일염의 생성과정을 눈으로 보고 직접 체험해보는 가족형 체험 프로그램 : 소금박물관 관람 → 염전체험 → 수차돌리기 → 염생식물원 포함상품 : 기념품(1kg소금) + 소금아이스크림 이용가격 : 대인 12,000원, 소인 10,500원 체험시간 : 4월~10월 / 11시, 15시 2회 체험(사전 예약) 우 천 시 : 소금비누만들기 체험 대체 문의전화 : 소금박물관 061) 275-0829 증도갯벌생태전시관 스탬프 인증 시 10%할인 소금박물관 문의전화 : 061-275-0829 운영시간 : 09:00~18:00 유료입장 : 성인 3,000원, 소인 2,000원 무료입장 : (증빙서류제출) 함초자연체험 문의전화 : 061-275-0829 운영시간 : 11월 ~ 3월, 09:00~18:00 체험비 : 성인 15,000원, 소인 14,000원 소금동굴힐링체험 문의전화 : 061-261-2266 운영시간 : 매시간 정시 시작, 45분간 이용 이용가격 : 성인 10,000원, 소인 5,000원 / 최대 40 천일염 부양욕체험 (4만원, 1인실 2개실) 천일염 찜질체험 (2만원, 1인실 2개실) 증도갯벌생태전시관 스탬프 인증 시 20%할인 다음으로는 흑산도로 떠나볼까요? 흑산도에서는 신선하고 특유의 맛이 있는 홍어를 맛볼 수 있어요. 홍어전문점에서는 이 홍어를 활용한 다양한 요리를 맛볼 수 있답니다. 특히 홍어회는 그 독특한 맛과 진한 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메뉴 중 하나에요. 흑산도 홍어 삼합(사진=흑산도 홍어 명품) 이어서 비금도에 위치한 섬초 체험장을 방문해볼까요? 섬초는 그 지역만의 특별한 풍미와 영양이 풍부해서 많은 사람들이 찾는 특산물이에요. 섬초무침은 그 신선함과 씁쓸한 맛이 인기랍니다. 그 다음 목적지는 신안 대파 농장이에요. 여기서는 특유의 단맛과 향이 뛰어난 신안 대파를 직접 수확해 볼 수 있어요. 대파는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곤 하는데, 특히 김치나 찌개, 무침 등에 사용하면 그 맛이 더욱 돋보인답니다. 뻘낙지 체험도 빼놓을 수 없죠. 신선하고 탱글탱글한 식감이 특징인 뻘낙지는 낙지볶음이나 낙지전 등 다양한 요리로 즐길 수 있어요. 신안뻘낙지 (사진=신안군) 마지막으로는 신안 곱창김과 민어 건정을 구입할 수 있는 시장을 방문해볼까요? 곱창김은 그 특유의 고소함과 바삭바삭한 식감으로, 민어 건정은 특유의 맛과 향이 있는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곤 해요. 신안 곱창김(사진=신안군) 이렇게 신안군에서는 힐링과 미식이 어우러진 완벽한 여행을 경험할 수 있어요. 여러분도 신안군에서 특별한 주말을 보내보세요!
여행종합
"신안군, 갯벌의 숨은 보석들을 찾아서"
"신안군, 갯벌의 숨은 보석들을 찾아서"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전라남도 신안군은 갯벌의 보물창고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생태계와 함께 풍부한 해양 자원을 만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신안군의 몇몇 유명한 갯벌 여행지를 소개 합니다. 갯벌 풍경(사진=픽사베이) 먼저, 내양리 갯벌 A는 참도 선착장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나문재와 민챙이, 농게 등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농게와 칠게를 어획하는 유명한 곳이지만, 주 수입원은 아닙니다. 농경지와 밀접하게 위치해 있어, 비료 등의 영양염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지만, 해수는 상대적으로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내양리 갯벌 B는 내양염전 사이에 자리잡고 있으며, 자연성이 많이 훼손된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서는 계절에 따라 다양한 어종이 어획되지만, 낙지는 잡히지 않습니다. 봉리 갯벌은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자랑하며, 방조제와 논경지가 인접해 있어 담수가 갯벌로 유입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부류식 김양식어장이 갯벌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어획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감정리 갯벌은 염전과 소나무 군락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합니다. 갯잔디 군락이 발달된 일부 지역은 특히 방문객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솔섬 갯벌은 신규로 조성된 방조제가 특징이며, 어획 활동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룡 갯벌은 깨끗한 상태의 갯벌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게류와 갯지렁이류가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신안군에는 태천리 갯벌 A, 태천리 갯벌 B, 내동 갯벌 등 다양한 갯벌 지역이 있습니다. 이곳들은 각각의 특색과 다양한 생물상을 자랑하며, 방문객들에게 새로운 경험과 지식을 제공합니다. 신안군의 갯벌은 생태계의 보물창고이자, 생태 관광의 새로운 명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번 주말, 가족들과 함께 신안군의 갯벌을 찾아 특별한 경험을 만들어 보세요!
여행종합
"강릉 거리가 무대다...'지금 여기, 강릉 버스킹'"
"강릉 거리가 무대다...'지금 여기, 강릉 버스킹'"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강릉시가 새로운 문화 트렌드를 선도하며 지역 곳곳의 관광 명소를 낭만적인 문화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지금 여기, 강릉 버스킹' 프로젝트를 통해 강릉만의 특색이 담긴 다양한 장소가 거리공연의 무대로 거듭나게 된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공연이 아니라, 관객과의 직접적인 소통과 음악을 즐기는 버스킹의 본연의 취지를 살리고 있다. 강릉시는 이를 통해 시민과 국내외 관광객 누구나 자유롭게 공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강릉의 문화적 풍요를 더욱 끌어올린다. 강릉월화거리, 강릉역, 강릉터미널, 안목커피거리, 경포중앙광장, 주문진 도깨비방파제 등 강릉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 6곳이 기본 무대로 선정되었으며, 이 외에도 협의를 통해 다양한 곳에서 공연이 가능하다.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예정되어 있으며, 모든 세대가 즐길 수 있는 공연이 기대된다. 단, 불쾌감을 주거나 지나친 소음이 발생하는 공연은 제한된다. 참가자들에게는 최소한의 공연 장비와 함께 드립커피와 텀블러로 구성된 소정의 기념품이 제공된다. 신청은 강릉시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며, 네이버폼 양식 작성이나 QR코드 스캔을 통해 손쉽게 참여할 수 있다. 이화정 문화예술과장은 "강릉의 평범한 장소가 버스킹의 선율로 채워져 특별한 무대로 바뀌는 경험을 할 수 있는 '지금 여기, 강릉 버스킹'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강릉의 거리가 한층 더 풍요로운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여행종합
"합천읍 핫들생태공원, 맨발황토길로 건강과 행복을 찾다!"
"합천읍 핫들생태공원, 맨발황토길로 건강과 행복을 찾다!"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합천읍이 군민들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특별한 선물을 준비했다. 핫들생태공원에 새롭게 조성된 맨발황토길이 13일에 문을 열었다. 이곳에서는 자연과 함께 건강을 찾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맨발황토길 (사진=합천군) 지난 5월부터 준비해온 이 프로젝트는 현대인들이 건강을 중요시하는 만큼, 군민들이 산책로를 통해 건강을 증진하고 일상의 활력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 2개월여의 공사기간을 거쳐 이제 군민들에게 개방되었으며, 맨발로 황토길을 걷는 것이 소화기능 개선, 두통 해소, 피로 회복, 혈액순환 개선 등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오미화 합천읍장은 "황토는 몸의 독성을 제거하고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으며, 이와 맨발걷기의 효과가 결합되어 군민들의 건강과 생활활력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군민들의 건강 증진과 정주여건 개선에 큰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군 관계자는 "산책로를 이용하는 군민들의 반응을 살펴보며, 앞으로도 군민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설을 계속 조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합천읍 핫들생태공원의 맨발황토길에서 건강과 행복을 찾는 새로운 여행을 시작해보자. 자연과 함께하는 특별한 시간이 될 것이다.
여행종합
장흥 탐진강변에서 펼쳐지는 문화의 축제 '탐진강 힐링 콘서트'
장흥 탐진강변에서 펼쳐지는 문화의 축제 '탐진강 힐링 콘서트'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아름다운 탐진강의 풍경을 배경으로 하는 음악, 독서, 마켓, 그리고 체험의 화합! 9월 16일, 장흥군이 주최하는 '탐진강 힐링 콘서트'에서 모든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순간을 기대해 보자. 장흥군이 청년의 날을 맞이하여 오는 9월 16일, 아름다운 탐진강변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특별한 '탐진강 힐링 콘서트'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행사의 눈길을 끄는 메인 프로그램, 탐진강 작은 콘서트에서는 플룻 & 보컬, 트럼펫 솔로, 중창, 대중가요와 같은 다양한 음악 공연이 관객들을 매료시킬 예정이다. 특히, BOOK크닉은 참가자들이 그늘막 아래에서 독서를 즐길 수 있는 신선한 프로그램으로 준비되었으며, '책책빵빵 책버스'도 현장에서 책을 빌려볼 수 있다. 플프마켓에는 30개의 판매, 체험, 먹거리 부스들이 준비되어 있어, 콘서트뿐만 아니라 쇼핑과 먹거리로도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그 밖에 어린이들을 위한 손인형극, 석고방향제 만들기, 생약초뷰티테라피 체험, 뜨개질 체험과 같은 다채로운 체험 프로그램도 기대되는 부분 중 하나다. 김성 장흥군수는 이번 행사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며, "아름다운 탐진강 풍경 속에서 음악, 책, 마켓, 체험을 함께 즐기며 화합의 시간을 가져보자"는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이번 '탐진강 힐링 콘서트'는 모든 세대가 함께 어울려 즐길 수 있는 문화의 축제로, 아름다운 탐진강변에서 즐거운 추억을 만들기 위한 최적의 장소가 될 것이다.
여행종합
[김포시] 분단과 전쟁의 상징 '철책'을 문화기념품으로 재탄생
[김포시] 분단과 전쟁의 상징 '철책'을 문화기념품으로 재탄생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김포시(시장 김병수)는 폐기될 위기에 처한 철책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철거 철책 활용 기념품 제작 사업'을 론칭했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한강 철책 제거사업 당시 생겨난 철책을 단순 폐기로 끝내지 않고, 그립톡, 무드등 등으로 재활용하는 사업이다. 흔한 물품에 담긴 무거운 역사 이 사업은 단순히 폐기될 물품을 활용하는 차원을 넘어, 한반도의 아픈 역사와 상징적 의미를 담아내는 것이 큰 목적이다. 김포시는 이러한 기념품의 디자인권과 상표권을 출원해, 상품의 가치와 상징성을 더욱 강화했다. 문화와 관광, 그리고 역사까지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상품 제작을 넘어, 지역 문화와 관광 홍보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이집트 잼버리 대원들에게 이 기념품이 증정되며 그 의미가 널리 알려졌고, 관광진흥과 관계자는 "다양한 관광 상품 개발 및 시정 홍보에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가격과 판매 정보 기념품은 김포시 공식 웹사이트 및 지역 명소에서 판매될 예정이다. 가격과 판매 일정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김포시의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재활용'을 넘어 '재해석'과 '재창조'로 이어지며, 물질적 가치 뿐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적 가치까지 높이고 있다. 철책 하나에서 시작된 이 작은 변화가 어떻게 지역사회와 더 나아가 전국적으로 퍼져나갈지 기대가 된다.
여행종합
[박물관여행] 우리옛돌박물관...세계에서 유일한 석조유물 전시관
[박물관여행] 우리옛돌박물관...세계에서 유일한 석조유물 전시관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아이들과 함께 주말 나들이를 할 계획이라면 박물관 여행은 어떨까? 우리나라는 전국에 다양한 박물관들이 세워져 있다. 그중 우리옛돌박물관은 천신일 세중그룹 회장(현 재단법인 옛돌문화재단 이사장)국내외로 흩어져있던 한국석조유물을 한자리에 모아 건립한 세계에서 하나밖에 없는 석조전문박물관이다. 우리옛돌박물관 전경 (사진=우리옛돌박물관) 우리옛돌박물관은 2000년 경기도 용인에 개관한 국내최초의 석조유물 전문박물관인 세중옛돌박물관에서 출발한다. 석조유물, 자수, 근현대미술작품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을 소개하기위해 2015년 북악산과 한양도성 사이에 자리한 성북동 언덕에 우리옛돌박물관으로 재개관 했다. 전체 부지면적 5500평과 건물 연면적 1000평 규모의 공간에 석조유물 1250점, 자수작품 280여점, 근현대회화 100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박물관은 환수유물관, 동자관, 벅수관, 자수관, 근현대회관 그리고 야외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도 환수유물관은 일본으로부터 환수한 문화재를 전시하는 곳으로, 다양한 유물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동자관, 벅수관, 자수관, 근현대회관에서는 문인석, 장군석, 동자석, 벅수, 석탑, 불상 등 다양한 돌조각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야외에 조성된 환수유물관(환수유물관에 전시된 문인석은 장군석, 석수石獸와 함께 능묘를 지키기 위해 세워진 조각이다.) 우리옛돌박물관은 석조유물 뿐만 아니라, 규방문화의 결정체인 전통 자수작품과 한국을 대표하는 근현대작가의 회화작품도 함께 전시하며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우리옛돌박물관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전통 자수작품 (사진=우리옛돌박물관) 옛 돌조각을 사찰의 장식이나 묘제석물로만 여기던 전통적인 시각을 넘어, 그 안에 담긴 선인들의 삶의 철학과 지혜를 현재 우리의 시선으로 바라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긴 세월 우리 땅에 있어온 돌과 사람의 이야기를 공유하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삶의 가치, 수복강녕을 향한 선인들의 간절한 바람을 느낄 수 있게 구성했다. 더불어, 우리 문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한 학술교류·연구의 장으로, 미래문화를 풍성하게 만드는 열린 박물관으로 거듭나고자 노력하고 있다. 동자관에 전시된 동자석 16세기-18세기 중반까지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왕실가족과 사대부 묘역에 조성된 석물이다.(사진=우리옛돌박물관) 이렇게 우리옛돌박물관은 국내 유일의 석조유물 전문 박물관이자 우리의 전통문화를 살펴 볼 수 있는 공간으로서, 대한민국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전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더욱 다양한 전시물과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행종합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멋진 프러포즈 장소 BEST 10...1. 노르웨이 송네피오르와 뤼세피오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멋진 프러포즈 장소 BEST 10...1. 노르웨이 송네피오르와 뤼세피오르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프러포즈. 평생 한 번 뿐인 프러포즈는 어디에서 하느냐가 중요합니다. 한 결혼정보회사에서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선호하는 프러포즈 장소를 묻자 여성들의 경우 51.6%가 둘만의 평생 잊지 못할 곳을 프러포즈 장소로 답했습니다. 그만큼 분위기 있고 특별하고 멋진 배경을 가진 장소가 프러포즈 하기 좋은 명소입니다. 사랑하는 여인을 위해 해외 명소를 배경으로 무릎을 꿇고 청혼하는 순간 평생 잊지 못할 둘만의 추억을 만들어 줄 것입니다. 이렇게 로맨틱한 프러포즈는 사랑에 빠진 모든 커플의 꿈입니다. 특히 해외 여행지에서의 프러포즈는 이색적인 장소가 주는 남다른 분위기로 인해 소중한 추억을 선물 할 것입니다. 사랑하는 연인을 위해 세상에서 가장 멋진 로맨틱한 프러포즈 장소 10곳을 소개합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특별한 분위기로 성공적인 프러포즈를 위해 완벽한 상황을 연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1. 노르웨이 피오르...세계 두 번째로 길고 높은 절벽 위에서 아찔한 고백 어떠세요? 노르웨이의 피오르 절벽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함께 짜릿하고 로맨틱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아주 특별한 장소입니다. 그 아름다운 피오르를 배경으로 특별한 서프라이즈를 준비해 볼까요. 노르웨이의 피오르는 수많은 이들의 눈과 마음을 사로잡을만큼 놀라운 아름다움으로 가득하며, 그 중에서도 송네피오르는 명성에 걸맞게 노르웨이에서 가장 길고 수심이 깊은 피오르입니다. 송네피오르 (사진=픽사베이) 그 곳에 도착한 순간 황홀한 아름다움에 멈춰서고 마는 놀라움이 있습니다. 송네피오르의 길이는 204km에 이르며 최대 수심은 1308m로, 전 세계에서도 두 번째로 긴 피오르입니다. 이런 크기의 피오르를 마주하면 누구라도 자연의 위대함과 아름다움에 감탄과 경외심을 느끼게 될 겁니다. 여기에 더해 송네피오르는 평균 1000m에 이르는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 놀라운 높이는 마치 63빌딩 4.7개를 수직으로 세운 것과도 같다고 하니 당신을 위한 프러포즈에 최적의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랑하는 연인과 함께 송네피오르 절벽 끝에서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멋지고 스릴 넘치는 고백을 해보세요. 사랑하는 사람에게 이 아름다운 자연 풍경 속에서 둘만의 약속을 깊이 심어주고, 영원한 사랑을 다짐하는 순간을 함께 한다면 평생 기억 속에 각인 될 것입니다. 두 사람의 미래를 함께할 송네피오르에서의 프러포즈는 사랑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마치 피오르의 깊이만큼이나 사랑도 깊이 있고, 피오르의 길이만큼이나 사랑도 오래 갈 것이기때문입니다. 송네피오르의 아름답고 짜릿한 프러포즈의 시간이 사랑의 시작을 알립니다. 송네피오르에서 연인과 함께하는 날,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풍경을 바라보며 사랑이 단단하기를 소원해 보세요. 최고의 프러포즈를 통해 영원한 사랑의 시작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뤼세피오르...제단 바위에서 감상하는 아찔하고 멋진 풍경 노르웨이에서 가장 핫한 곳으로 불리는 뤼세피오르 역시 해마다 수많은 해외 여행자들이 찾는 곳입니다. 총 길이 46㎞의 뤼세(Lyse) 피오르드는 노르웨이 남부 도시 스타방에르(Stavanger) 동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다른 피오르보다 규모는 작지만 아기자기한 매력 때문에 매년 약 3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합니다. 뤼세피오르 (사진=노르웨이 관광청) 뤼세피오르 (사진=노르웨이 관광청) 이곳에서 많은 여행객은 뤼세피오르의 명물인 프레이케스톨렌(Preikestolen) 하이킹을 합니다. 뤼세피오르의 상징인 프레이케스톨렌은 604m의 높이의 절벽으로 꼭대기에는 사람이 깎은 듯 8평 정도의 평평한 지형이 있습니다. 모양이 교회 설교단 같이 보인다고 해서 '제단바위(Pulpit Rock)'로도 불립니다. 이곳에 오르면 뤼세피오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것은 물론 간담을 서늘하게 하는 아찔함까지 느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연인들이 프러포즈를 하기 위해 이 곳을 방문 합니다.
여행종합
광복절 명소...근현대사기념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백범 김구기념관
광복절 명소...근현대사기념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백범 김구기념관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2023년 8월 15일은 대한민국 78주년 광복절입니다. 대한민국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날로 꼽히는 이 날은 일본으로부터 광복되었고,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날이기도 하죠. 이러한 의미로 광복절에 가면 더욱 뜻깊은 장소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광복절 명소를 소개합니다. 근현대사기념관 (사진=홈페이지 갈무리) 가장 먼저 안내할 곳은 근현대사기념관입니다. 북한산 자락에 위치한 이 기념관은 동학농민운동부터 4·19혁명까지의 중요한 역사를 관람할 수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은 한국 근현대사의 현장이라는 의미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습니다. 헌법에 담긴 '자유', '평등', '민주'의 이념이 선열들이 피땀 흘려 체득하고 축적한 소중한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감동적인 서사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대한민국의 미래상에 대한 감동을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서대문 형무소역사관 (사진=픽사베이) 또한, 광복절에 방문할 수 있는 다른 장소들도 추천합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은 한국의 독립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 곳으로, 1908년 10월에 문을 열어 1987년 11월에 폐쇄될 때까지 80년 동안 감옥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옥사는 붉은 벽돌로 지어졌고 수감자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원형 감옥 형태인 패놉티콘 구조로 만들어졌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식민 지배에 맞섰던 많은 항일 독립운동가들이 갇혔으며, 해방 후에는 독재 정권과 군사 정권에 저항했던 민주화 운동가들이 갇혔던 역사의 현장입니다. 이후 서대문구에서 현장을 보존하고 역사의 교훈으로 삼고자 1998년 11월 5일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관하였습니다. 과거의 역사를 교훈으로 삼고 독립운동가와 민주화운동가의 자유와 평화를 향한 신념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박물관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천안 독립기념관은 유관순 열사를 비롯해 한국의 독립 운동에 큰 희생을 바친 분들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곳입니다. 백범 김구 기념관 (사진=홈페이지 갈무리) 백범 김구 기념관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무령을 지낸 백범 김구의 생애와 공헌을 기리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 공원 안에 있는 백범 김구 선생의 묘역과 그 옆에 백범 김구 선생의 삶을 고스란히 담아낸 백범김구기념관이 세워져 있습니다. 백범김구기념관 2층에 오르면 창밖으로 백범 김구 선생의 묘역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데, 유리창 앞에 의자가 설치돼 있어 누구나 걸음을 잠시 멈추고 백범 김구 선생과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전쟁기념관, 안중근 의사 기념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도산 안창호 기념관 등을 찾아가 보시기 바랍니다.
여행종합
서울 데이트 명소 BEST 5+1...하늘공원, 서촌마을, 익선동 한옥마을, 낙산공원, 항동철길, 세빛둥둥섬
서울 데이트 명소 BEST 5+1...하늘공원, 서촌마을, 익선동 한옥마을, 낙산공원, 항동철길, 세빛둥둥섬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서울에서 주말에 데이트 하기 좋은 장소는 너무나 많습니다. 그 중 6곳을 엄선해서 소개합니다. 이색적이고 낭만적인 데이트 장소를 찾고 있는 중이라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하늘공원...억새, 핑크뮬리, 일몰 명소 하늘공원 야경 (사진=서울시) 서울에 위치한 하늘공원은 2022년 월드컵 개최를 기념하여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을 복원한 곳으로, 월드컵 경기장 일대 5대 공원 중 하나입니다. 그 이름처럼 하늘에 위치한 공원으로, 300개가 넘는 계단을 통해 올라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즌에는 맹꽁이 버스를 이용하여 편안하게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하늘공원은 가을 억새풀 축제로 유명하며, 가을에는 많은 사람들이 찾는 인기 명소입니다. 최근에는 핑크뮬리로도 알려져 있어, 그 아름다운 꽃으로 사랑하는 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기에 좋은 장소입니다. 특히 저녁에 방문하면 멋진 일몰을 감상할 수 있어 로맨틱한 분위기를 더해줍니다. 또한, 지리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여 멋진 경치를 내려다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올라갈 때는 약간의 힘과 숨이 차도록 힘들게 올라가지만, 그 보람은 충분히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하늘공원은 데이트를 즐기기에 적합한 장소로, 사랑하는 이와 함께 어울리며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2. 서촌마을...대오서점, 통인시장, 이색카페, 한복체험 대오서점 (사진=서울시) 주말에 데이트하기 좋은 장소로는 서촌 마을을 추천합니다. 이곳은 3호선 경복궁역에서 도보로 5분 거리에 위치해 있어 만나기에 아주 편리한 장소입니다. 서촌 마을은 90년대의 느낌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곳으로, 많은 낮은 기와를 가진 건물들이 있어 도시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감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옛날 느낌만 있는 것은 아니며, 골목마다 트렌디한 상점들이 자리잡고 있어 이색적인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가장 힙한 곳 중 하나로 꼽히는 곳입니다. 이곳에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장소들도 많이 있습니다. 대오서점은 1951년부터 자리를 지키며 오늘까지 운영되고 있는 서점으로, 고유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공간입니다. 또한, 1941년에 설립된 전통시장인 통인시장도 이곳에 위치해 있으며, 일제 강점기부터 지금까지 장사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오래된 장소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특별한 정서를 느낄 수 있습니다. 서촌 마을은 연인들에게 기회를 주는 다양한 활동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명한 카페를 탐방하거나 맛있는 음식을 즐길 수 있는 많은 레스토랑들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촌에서는 한복을 체험할 수 있는 장소들도 많이 있어, 연인들이 함께 한복을 입고 사진을 찍을 수도 있습니다. 느리게 산책하면서 분위기 있는 데이트를 원한다면, 서촌 마을이 안성맞춤 입니다. 서촌 마을은 과거와 현대적인 분위기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어, 연인들이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특별한 장소입니다. 주말에는 서촌 마을을 방문하여 낭만적이고 특별한 데이트를 즐겨보세요. 3. 익선동 한옥마을...1920년대 한옥, 도깨비 촬영장소, 역사와 현대의 만남 익선동 한옥마을 (사진=서울시) 한옥을 현대적으로 개조한 이곳은 종로3가역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익선동 한옥마을은 주말이 되면 젊은 사람들로 북적거리는 분위기입니다. 한옥이 촘촘하게 붙어있어서 좁은 골목을 따라 걸어가다 보면 예쁘게 꾸며놓은 카페와 소품 가게들이 나타납니다. 이곳의 카페들은 한옥의 원형은 보존하면서도 트렌디한 인테리어로 장식하여 독특한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1920년대에 지어진 한옥들을 감상할 수 있는 곡몰길은 이곳에서 더욱 매력적인 모습으로 변신하였습니다. 한옥마을은 유명 드라마 도깨비의 촬영장소로 사용된 카페도 있어 팬들에게는 특별한 의미를 지닐 수 있습니다. 또한, 방송에 소개된 유명한 맛집도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고즈넉한 옛날 감성과 개화기의 모던한 분위기를 동시에 느낄 수 있는 특별한 매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주말에 데이트를 즐기기에 안성맞춤인 익선동 한옥마을은 예쁜 카페와 가게들로 가득 차 있어 눈을 즐길 수 있으며, 한옥과 현대적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어 특별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역사와 현대의 만남을 경험할 수 있고, 단락 시간을 보내기에 이상적인 장소입니다. 4. 낙산공원...야경 명소, 낙산타워 산책로 인기 낙산공원 야경(사진=서울시) 낙산공원은 낮에도 예쁜 곳이지만, 저녁이 되면 그 매력이 배가 됩니다. 특히 주말에는 연인들로 붐비는 곳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야경을 보러 오시면 반드시 사랑하는 이와 함께 보면 더욱 로맨틱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낙산공원에는 다양한 루트로 야경을 즐길 수 있는데, 가장 인기 있는 루트는 낙산타워까지 올라가는 길입니다. 약 20분 정도 오르막길을 걸으며 성벽을 따라 올라갈 수 있습니다. 오르막길이긴 하지만 매우 아름다운 경치와 함께 방문객들을 맞이하니 부담스럽지 않을 거예요.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서울의 야경은 정말 멋지답니다. 하지만 언덕길을 오르기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도 계실 수 있습니다. 그럴 때는 공원 내에 운행되는 버스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버스는 주말에 한시간에 한 번씩 운행되며, 낙산공원 정류장에서 탑승할 수 있습니다. 버스를 이용하면 좀 더 편하게 야경을 구경할 수 있습니다. 낙산공원은 데이트하기에 딱 좋은 장소입니다. 연극이나 영화를 관람한 뒤에 야경을 보러 가거나, 산책을 하면서 서울의 야경을 감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죠. 간단한 피크닉을 즐기기에도 수용성이 좋은 곳이니 이번 주말에는 낙산공원으로 데이트를 계획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사랑하는 이와 함께하면 분명 좋은 추억이 될 것입니다. 5. 항동철길...구로구에 있는 공원철길, 흑백사진 같은 풍경 항동철길 풍경(사진=서울시) 서울에서도 철로를 따라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곳이 있다? 그곳은 바로 항동철길입니다. 주택가를 관통하며 자연과 공존하는 항동철길은 독특한 분위기를 자랑합니다. 항동철길은 과거 자가용이 귀하던 시절의 풍경을 그대로 보존한 흑백사진처럼 아련한 추억을 자아내는 곳입니다. 이 곳은 아직도 철길을 따라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항동철길은 길이 4.5km로서 구로구 오류동에서 경기도 부천시 옥길동까지 이어져 이곳을 방문한 사람들은 옛 기찻길을 메마르고 닿을 듯한 향수를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항동철길은 지금도 그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며, 그곳을 걷는 시민들에게 새로운 곳으로의 모험이라는 희망을 심어줍니다. 항동철길은 특히 커플들에게 데이트하기 좋은 장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구로구 주변에는 다양한 음식점과 카페가 있어 데이트 후 식사나 커피를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철길을 따라 걷는 동안 연인들은 서로의 손을 잡고 대화를 나누며 로맨틱한 분위기를 즐길 수 있습니다. 항동철길(사진=서울시) 항동철길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지하철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7호선 천왕역 3번 출구로 나와서 5분 정도 걸으면 항동철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접하는 1단계에서는 주택가 사이로 철길이 지나가며 오른쪽을 따라 나무들이 심어져 있습니다. 편안한 길을 따라 걸으면 항동철길을 안내하는 간판을 볼 수 있습니다. 그곳부터 진짜 철길의 분위기가 물씬 풍겨오며, 서울에서 색다른 기찻길 체험을 즐길 수 있습니다. 2단계에서는 풀들이 옹기종기 모여 풍경을 이끌어 준다. 풀과 자갈이 통설되어 있는 철로 위에서 산책을 즐길 수 있습니다. 무심하게 걷다가 풀과 자갈을 밟으면서 사진을 찍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이곳에서 찍은 사진을 남기면 사람들이 어디인지 추측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만큼 항동철길은 독보적인 풍경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항동철길을 이용할 때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햇빛을 피할 곳이 없고 매점도 없으므로, 햇빛이 강할 때는 반드시 양산을 챙기고 개인이 마실 음료를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산책 코스에는 휴지통이 없으므로 개인 쓰레기는 스스로 처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항동철길은 서울에서도 산책 경험의 새로운 지점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연과 함께 걷는 기분을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서울에서 다소 특별한 경험을 원한다면, 항동철길을 선택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6. 세빛섬...4개의 인공섬, 요트투어, 화려한 야경, 어벤저스2 촬영지 세빛섬 야경 (사진=서울시) 세빛섬 야경 (사진=세빛섬) 세빛섬은 주말에 데이트하기에 최적의 장소입니다. 2006년에 사람의 손으로 만들어진 이 섬은 가빛섬, 채빛섬, 솔빛섬, 예빛섬 네 개의 인공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웨딩컨벤션, 레스토랑, 카페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습니다. 세빛섬은 화려한 한강의 야경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놀거리로 유명합니다.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으로, 특히 연인들은 요트를 타고 강 한가운데에서 로맨틱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 많이 찾는 곳입니다. 또한, 이곳은 여러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로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어벤져스2에서는 유전자 연구소로 사용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던 곳입니다. 요트 투어를 하기 위해서는 약 2만원 이상의 비용이 들지만, 서울 한강의 한복판에서 이런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렇게 비싸게 느껴지지 않을 것입니다. 주말에 데이트를 계획 중이라면 세빛섬을 선호할 만한 이유가 많습니다. 화려한 야경과 풍성한 즐길거리를 즐길 수 있는 이곳에서 로맨틱한 시간을 만끽하실 수 있습니다.
여행종합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 베스트5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 베스트5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세계 어느 곳에 가더라도 그 곳에서 가장 높은 장소 혹은 건물이 있습니다. 하늘을 찌를듯이 높이 솟은 건물을 마천루라고 하는데요. 건물 최상층에서 보는 풍경은 올라가서 직접 보기 전에는 모릅니다. 지상에서 보던 풍경도 하늘에서 보는 느낌은 다를 것입니다. 비행기를 타지않더라도 건물이 150m 이상 되는 높이라면 충분히 도시의 전망을 즐길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죽기전에 가봐야 할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 5곳을 소개합니다. 놀라운 사실은 전세계 최고층 빌딩 1위와 5위를 대한민국에서 지었다는 것입니다. 1. 부르즈 칼리파 (Burj Khalifa) - 아랍 에미리트 두바이에 위치한 초고층 빌딩으로, 지상 163층이며 높이는 첨탑을 포함하면 829.8m입니다. 건설사는 대한민국 삼성물산. 부르즈 칼리파 (사진=픽사베이) 완공 이전 이름은 부르즈 두바이(Burj Dubai)로,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인 할리파 빈 자이드 알나하얀의 이름을 본따 부르즈 두바이에서 부르즈 할리파로 개칭되었습니다. 2009년 10월 1일에 완공되었으며, 2010년 1월 4일 개장하였습니다. 2021년 현재까지 완성된 마천루 중에서 가장 높아 지상층에서 최고층까지 초고속 엘리베이터로 약 1분이 걸리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인공 구조물입니다. 사무실, 주거, 호텔용으로 건설했으며 내부에 상업 시설, 거주 시설, 오락 시설 등을 포함한 대규모 복합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2. 상하이 타워 (Shanghai Tower) -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건물로, 632m의 높이와 128층으로 부르즈 칼리파 다음으로 높은 건물입니다. 상하이 타워(사진=픽사베이) 상하이 타워(중국어: 上海中心大厦, 병음: Shànghǎi Zhōngxīn Dàshà, 영어: Shanghai Tower) 혹은 상하이 센터 빌딩은 중국 상하이 푸둥 신구에 있는 초고층 마천루입니다. 2008년 11월 29일 착공하여 2014년에 완공하였습니다. 건설사는 미국 겐슬러 입니다. 상하이 타워는 9개의 원통형 공간을 겹겹이 쌓아둔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1층 로비에서부터 꼭대기 121층까지 약 360도 가까이 비틀어서 올라가는 건물 형태는 비상하는 '용'(龍)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지하 2층에서 지상 119층 전망대를 연결하는 전망대용 엘리베이터 3대가 설치되었습니다. 전망대용 엘리베이터 3대는 속도가 1080m/min(분속 1080m)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엘리베이터입니다. 3. 아브라즈 알 바이트(아랍어: ابراج البيت)-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위치한 마천루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넓은 건물이며 제일 높은 시계탑이기도 합니다. 아브라즈 알 바이트 높이는 시계탑을 포함할 경우 601m, 최상층의 높이는 494m로, 지상 120층의 건물입니다. 호텔 타워, 하자르, 잠잠, 마카, 사라 등의 총 7개 건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이 이슬람 성지 순례자들을 수용할 의무가 있다며, 호텔을 주목적으로 알베이트 타워를 건설했습니다. 별칭은 메카 클락 로얄 타워 호텔입니다. 4. 핑안 파이낸스 센터(중국어: 平安金融中心, 영어: Ping'an Finance Centre) 혹은 핑안 국제금융센터- 중화인민공화국 선전시 푸톈 구에 있는 마천루입니다. 핑안 파이낸스센터 (사진=핑안 파이낸스센터) 지상 115층, 599.1m짜리 1동과 66층, 320m짜리 2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동은 현재 선전 시에서 제일 높은 빌딩입니다. 핑안 국제생명보험의 사옥으로 건설된 이 빌딩에는 전망대와 오피스 등을 갖췄습니다. 약칭은 PAFC. 건설사는 중국건축공정총공사. 2017년에 완공 된 핑안 파이낸스 센터는 현재 심천에서 가장 높은 빌딩으로 중국에서 두 번째로 높으며, 세계에서 네 번째로 높습니다. 핑안 파이낸스 센터는 도심의 눈에 띄는 위치에서 솟아 있으며 인근 상업 및 주거용 건물과 주강 삼각주의 고속 철도 회랑과 원활하게 연결됩니다. 5위 롯데 월드타워 (Lotte World Tower) - 대한민국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건물로, 554.5m의 높이를 가지며 2022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최고층 건물이자 세계에서 5번째로 높은 건물입니다. 롯데월드타워 (사진=픽사베이) 2010년에 착공을 시작하여 2016년 12월 22일에 완공된 후 2017년 4월 3일에 개장하였습니다. 건설사는 대한민국 롯데건설.
여행종합
울산명소 '강동 사랑길'...산과 바다 모두 즐기면서 데이트 할 수 있는 녹색명품길
울산명소 '강동 사랑길'...산과 바다 모두 즐기면서 데이트 할 수 있는 녹색명품길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지금 사랑에 빠졌거나 곧 결혼 계획이 있거나 혹은 연인과 특별한 휴가 계획이 필요하다면 울산에 가보자. 울산 북구 강동사랑길을 걸으며 둘 만의 오붓한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강동 사랑길의 테마는 '사랑'이다. 구간마다 사랑이 깔려 있는 일곱 개의 하트모양의 구간은 산과 들, 바다를 모두 즐길 수 있어 연인이 함께 걸으면 더없이 좋은 코스이다. 정자해변을 중심으로 문화유적과 작은 포구를 잇는 둘레길을 연결해 총 27.7km에 이르는 강동사랑길 구간은 산과 들, 바다를 모두 만끽할 수 있는 녹색명품길이기도 하다. 정자항 ~ 제전항 ~ 우가항 ~ 당사항 ~ 옥녀봉 ~ 유포석보 등으로 이어지는 강동사랑길은 총 7개 구간이 서로 맞물려 '8자'처럼 이어져 있고, 경우에 따라 2개 구간 이상을 연결하여 가장자리를 돌 수도 있다. 강동사랑길 풍경(사진=울산시) 강동사랑길 코스에서 볼 수 있는 풍경 (사진=울산시) 강동사랑길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길마다 얽혀 있는 이야기이다. 구간 곳곳의 볼거리에는 문화와 역사가 어울리는 이야기들이 담겨 있어 부부나 연인이 함께 걷기 더없이 좋다. 아래에 있는 8개 구간의 8가지 이야기를 마음으로 되새기며 길을 걷다 보면 어느덧 마지막 코스에 도착해 있을 것이다. 제1코스 ㅣ 거리 3.0㎞ 소요시간 : 1시간 20분 믿음의 사랑길 : 정자항 귀신고래등대 ↔ 강동119안전센터 ↔ 정자교회 ↔ 울산인성교육센터 ↔ 유포석보 ↔ 벅제상발선처 ↔ 정자항 제2코스 ㅣ 거리 2.6㎞ 소요시간 : 1시간 20분 윤회의 사랑길 : 판지항 ↔ 3구간 합류점 ↔ 원오사 ↔ 3구간 갈림길 ↔ 깔비체험길 ↔ 다래길 ↔ 강동해수온천 ↔ 수로낭 ↔ 곽암 ↔ 큰끗, 장끗 ↔ 판지항 제3코스 ㅣ 거리 4.7㎞ 소요시간 : 2시간 10분 연인의 사랑길 : 제전항 ↔ 제전마을 입구 ↔ 강쇠길 ↔ 옥녀길 ↔ 4구간 갈림길 ↔ 일심전망대 ↔ 천이궁 ↔ 옥녀봉 ↔ 2구간 합류점 ↔ 원오사 ↔ 정자오피스텔(2구간 갈림길) ↔ 복성마을 ↔ 제전항 제4코스 ㅣ 거리 5.9㎞ 소요시간 : 2시간 30분 부부의 사랑길 : 제전항(3구간 갈림길) ↔ 초병의 길 ↔ 금실정 ↔ 정우와 할매집 ↔ 우가항 ↔ 해녀의 집 ↔ 5구간 합류점 ↔ 5구간 갈림길 ↔ 까치전망대 ↔ 3구간 합류점 ↔ 옹녀나무 ↔ 강쇠나무 ↔ 제전마을 입구 ↔ 제전항 제5코스 ㅣ 거리 2.9㎞ 소요시간 : 1시간 30분 배움의 사랑길 : 당사항 ↔ 500살 된 느티나무 ↔ 강동축구장 ↔ 4구간 합류점 ↔ 임도갈림길 ↔ 산해로 입구(4구간 갈림길) ↔ 산해로 ↔ 산해로 출구 ↔ 부대 입구 ↔ 당사항 제6코스 ㅣ 거리 2.5㎞ 소요시간 : 1시간 사색의 사랑길 : 당사항 ↔ 해양경찰 당사출장소 ↔ 당사해양낚시공원 ↔ 용바위 ↔ 추억의학교 ↔ 7구간 합류점 ↔ 까치골 ↔ 7구간 갈림길 ↔ 5구간 합류점 ↔ 당사항 제7코스 ㅣ 거리 3.4㎞ 소요시간 : 1시간 40분 소망의 사랑길 A코스 : 금천아름마을 ↔ 까치골 ↔ 복골 ↔ 대승사 ↔ 누운소나무(B구간 합류점) ↔ 금천아름마을 제8코스 ㅣ 거리 2.7㎞ 소요시간 : 1시간 20분 소망의 사랑길 B코스 : 금천교 ↔ 어물천벽화 ↔ 누운소나무 ↔ A구간 갈림점 ↔ 108번뇌계단 ↔ 어물동마애여래좌상 ↔ 금천교
여행종합
무궁화 대표 명소는 어디?...무궁화 100리길, 무궁화동산 등 무궁화 성지
무궁화 대표 명소는 어디?...무궁화 100리길, 무궁화동산 등 무궁화 성지
[트래블아이=문소지 기자] 완주군의 국내 최장 무궁화 100리길(17번국도)을 비롯한 관내 가로변과 무궁화동산에 나라꽃 무궁화의 개화가 시작돼 지역주민과 완주를 찾은 관광객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무궁화는 여름에 피는 대표적인 꽃으로, 100일 동안 개화해 단심계를 비롯해 배달계, 아사달계 등 다양한 품종의 무궁화를 만나 볼 수 있다. 완주군은 최근 무궁화의 아름답고 건강한 생육을 위해 전지 및 고사목 제거, 비료주기, 잡목제거 등의 정비작업을 완료했다. 무궁화 품종은 꽃의 색깔로 구분한다. 중심부에 단심(붉은색)이 없는 순백색의 꽃은 배달계, 중심부에 단심이 있는 꽃은 단심계, 꽃잎 가장자리에 붉은색무늬가 있는 꽃은 아사달계이다. 무궁화는 7월부터 10월까지 새로 나온 가지의 잎겨드랑이 쪽에 꽃봉오리를 맺으며 꽃의 수명은 대개 12∼15시간 정도로 아침에 피고 저녁에 진다. 특히, 완주군은 무궁화 대표 명소로 손꼽힌다. 나라꽃 무궁화 조성·관리 평가에서 전국 나라꽃 무궁화명소 우수기관으로 3회, 나라꽃 무궁화선양 대표도시로 선정돼 대통령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나라꽃 무궁화선양을 위해 무궁화 전국축제를 13회 연속(2011∼2023) 유치·개최하고 있으며, 오는 8월 12일부터 고산문화공원 일원에서 제13회 나라꽃 무궁화 전국축제를 연다. 또한 무궁화동산은 공모선정으로 자치단체 중 최다 보유(3개소 2만8천본 식재)하고 있으며, 무궁화전시관 운영, 전국 최초·최대 무궁화 테마식물원 조성(183종 보유), 무궁화 100리길 조성(1만5천본), 해외(일본, 중국) 무궁화선양활동 및 보급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강신영 산림녹지과장은 "무궁화를 나라꽃의 위상에 맞게 관리하고 홍보해 국민들로부터 친근하고 아름다운 꽃으로 인식되고 일상에서 사랑받는 꽃이 될 수 있도록 관리와 보급에 적극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여행종합
[충북] 청주 상당산성...호서지방 보루, 산성일주 코스 주변 풍광 일품
[충북] 청주 상당산성...호서지방 보루, 산성일주 코스 주변 풍광 일품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충청북도 청주 상당산성(사적)은 지금도 걷는 사람들이 많다. 천년고도의 위용을 드러내고 있는 이 산성은 조선 시대 군사적 요충지로, 재난이 일어날 때마다 호서 지방을 지켜준 소중한 보루이자 요새다. 상당산성은 청주의 랜드마크 같은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멀리서 보아도 상당산이 머리에 띠를 두른 듯 또렷하게 보이는 성벽은 위기 때마다 청주 사람들의 울타리가 되어준 파수꾼이다. 상당산 능선을 따라 이어진 성벽은 산을 돌아가며 둘레 4.2km, 높이 4~5m의 성곽이다. 임진왜란 때에 일부 고쳤으며 숙종 42년(1716)에 네모나게 다듬은 화강암으로 석성을 쌓았다. 성 안에는 5개의 연못과 3개의 사찰, 관청건물, 창고 등이 있었다. 현재 상당산성에는 공남문(남문)과 미호문(서문), 진동문(동문) 3개의 문과 2개의 암문, 치성 3곳과 수구 3개소가 있다. 조선군이 훈련하던 동장대는 1992년에 복원해 옛 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성을 한 바퀴 돌고 내려오면 성안에는 전통한옥마을이 조성되어 있는데 전통마을에서 맛보는 전통주와 빈대떡은 산성을 돌고 난 후의 고단함을 풀어준다. 대규모 포곡식 석축 산성인 만큼 산성에 오르면 상당산의 수려한 산세와 더불어 청주 일대의 아름다운 풍경을 만날 수 있다. 초여름의 싱그러운 햇살 아래 상당산성을 한 바퀴 걸어보자. ‘산성 일주 코스’는 약 4km정도이며, 저수지에서 출발해 남문을 지나 서남암문과 서문, 동북암문, 동문, 동장대를 거쳐 다시 저수지로 내려오는 원점 회귀 코스이다. 상당산 능선 성곽을 따라 걷는 동안 성문 3개와 암문 2개, 치성과 수구 3곳을 둘러볼 수 있다. 상당산성 일주의 백미는 정상부에 해당하는 남문-서문 성곽이 아닐까? 이 구간을 걷는 동안 눈에 들어오는 주변 풍광이 일품이다. 상당산성이 과거 이 지역에서 어떤 무게와 의미를 차지하는지 저절로 알 수 있다. 상당산성과 더불어 이 일대에 자리한 명소도 둘러보자. 청주에서 가장 큰 저수지를 품은 명암유원지, 청주의 감성 여행 1번지 수암골벽화마을, 건축가 고 김수근이 설계한 국립청주박물관은 청주가 과거부터 얼마나 중요한 입지를 차지한 땅이었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상당산성 옛길 번잡함을 피하려면 옛길을 추천한다. 상당산성 옛길코스는 명암약수터에서 시작해 상당산성으로 연결되는 힐링숲길이다. 몸과 마음의 치유를 위한 힐링길로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 회생길이기도 하다. 그리고 지역성의 회복, 흔적길을 예쁜 야생화를 보며 산책할 수 있다. 정상 출렁다리에서 상당산성 또는 상봉재 옛길, 봉수대, 활공장 등산로가 연결된다.
여행종합
[경기] 광양시, 7월 광양야경시티투어 주말(금~일) 상시 운행
[경기] 광양시, 7월 광양야경시티투어 주말(금~일) 상시 운행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낮과 밤이 빛나는 광양시티투어가 화려하게 반짝이는 야경으로 뜨거운 7월 주말에도 시원하게 달릴예정이다. 광양시가 7월 한 달간 주말(금∼일요일) 오후 3시, 순천만국가정원에서 예약 없이 탑승할 수 있는 특별한 광양야경시티투어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야경시티투어는 순천만국가정원(오후 3시), 광양읍 버스터미널(오후 3시 30분)에서 탑승해 시원한 광양와인동굴에서 낭만을 즐기고 광양불고기특화거리에서 저녁을 먹는다. 이어 구봉산전망대, 이순신대교, 해오름육교 등 은은한 광양만의 야경에 빠지고 광양읍 버스터미널(저녁 9시), 순천만국가정원(저녁 9시 30분)에서 일정을 마무리한다. 수요일에는 광양의 정신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역사코스를 마련해 선택권을 늘리고, 야경과 역사 중 예약현황 등 운영 요건을 먼저 충족한 테마로 운영할 계획이다. 역사코스는 순천역(10시 10분), 광양읍터미널(10시 45분)에서 탑승해 전남도립미술관, 광양예술창고, 인서리공원, 광양역사문화관, 광양장도박물관, 광양궁시전수교육관 등을 탐방하고 광양읍터미널(오후 5시 5분)을 경유해 순천역(오후 5시 40분)에 도착한다. 그 밖에 15인 이상 단체가 자유로운 코스로 단독 투어를 떠날 수 있는 월, 화, 목 단체코스도 지속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단체코스는 15명 이상의 단체가 관광지 4곳, 식사 1식 이상, 5시간 이상 일정 등을 두루 충족해야만 가능하다. 주말야경코스는 예약 없이 바로 탑승할 수 있으며, 그 밖의 투어는 3일 전까지 5명 이상 예약 시에만 운행한다. 단, 단체는 7일 전까지 예약해야 한다. 이용요금은 ▲일반 5천원 ▲군인, 경로, 학생 4천원 ▲장애인, 미취학아동 3천원이며, 입장료와 여행자보험, 식비 등은 별도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광양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관광안내'의 '시티투어' 코너를 참고하면 된다. 정구영 관광과장은 "7월 광양시티투어는 뜨거운 여름 태양을 피하고 광양만의 특별한 야경을 즐길 수 있도록 마련됐다"면서 "순천만국가정원에서 출발하는 주말야경코스는 예약 없이 바로 탑승할 수 있는 만큼 남도를 찾은 관광객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여행종합
서울관광재단,  EXO 수호의 1박 2일 서울 지하철 여행 시리즈 '수호선' 소개
서울관광재단, EXO 수호의 1박 2일 서울 지하철 여행 시리즈 '수호선' 소개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대표이사 길기연)은 6월 22일 EXO 수호의 1박2일 서울 지하철 여행 시리즈 '수호선'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6.22.(목) 13시 비짓서울TV 유튜브에 공개예정인 수호선 1화 썸네일(사진=서울관광재단) '수호선' 시리즈는 그룹 엑소(EXO)의 리더인 수호의 이름을 따 ‘수호선(SUHO Line)’이라 지었으며. 수호가 직접 계획하고 추천하는 서울 여행 코스를 소개한다. '수호선'은 지난 6월 15일 공개된 예고편이 비짓서울TV 유튜브 채널에서조회수 35만 회를 기록하는 등 본편 공개 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예고편 영상에서 케이팝 팬들과 구독자들은 사진찍기와 패션에 관심이 많은 수호의 개성이 담긴 서울 여행은 어떨지 기대된다며 수천 건의 댓글과 기대 평을 남기며 환영했다. 특히 7월 10일 EXO의 새 정규앨범 'EXIST' 발매 및 컴백을 앞두고 활발한 활동을 기다리고 있던 글로벌 팬덤은 이번 <수호선> 캠페인에 열렬한 응원과 지지를 보내며 빨리 서울에 방문하고 싶다는 반응을 보였다. '수호선' 시리즈는 6월 22일 오후 1시부터 7월 13일까지 매주 목요일 총 4개 에피소드를 비짓서울TV 유튜브에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영상은 JTBC 협업으로 진행되며, 외국인뿐만 아니라 내국인들도 재미있게시청할 수 있도록 시민들과 소통하며 미션을 수행해 나가는 웹 예능형식으로기획하였다. 서울관광 공식 유튜브 채널인 VisitSeoulTV (www.youtube.com/visitseoul)와JTBC 디지털 콘텐츠 채널인 ‘스튜디오 훜’에서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글로벌 시청자들을 위해 영문 및 중국어 자막(웨이보 채널 首尔旅游局)도 제공된다. '수호선'은 개별외국인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교통수단인 지하철을 타고 즐기는 서울 여행 콘셉트로, 기존에 잘 알려진 관광명소뿐만 아니라 수호의 추천 맛집, 수호가 평소 체험해 보고 싶었던 놀거리, 요즘 핫한 즐길 거리등이 다양하게 담겨있다. '수호선' 코스는 수호의 소속사인 SM엔터테인먼트가 위치한 서울숲역에서 시작하여,뚝섬역 성수동 거리와 뚝섬한강공원, 압구정역 도산공원을 거쳐 잠실역 석촌호수, 롯데월드타워 전망대를 방문한 후, 송리단길 루프탑 와인바에서 끝나는 일정으로 구성되었다. 서울의 주요 여행지 외에도맨발체험 전시(섬세이 테라리움), 스케이트보드 강습(뚝섬 X 게임장), 압구정 호캉스(안다즈 서울 강남), 셀프 스튜디오 사진촬영(셀픽스),빈티지 샵및 패션 아이템 쇼핑(옴니피플갤러리, 젠틀몬스터 하우스도산), 베이커리 카페에서 즐기는 브런치(런던베이글뮤지엄) 등 MZ세대들에게 인기 있는 서울의 핫플레이스들이 담겨있다. 또한 길거리 시민 인터뷰를 통해 수호가 직접 ‘30초 안에 인생샷 찍어주기’ 미션을 수행하며 시민 그리고 팬들과 소통하는 모습 함께 만나볼 수 있다. '수호선' 캠페인은 유튜브 채널과 함께 비짓서울 4개 어권별(영/일/중간체/중번체)12개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해 송출하고, 온라인 참여형 이벤트를 통해콘텐츠를 재확산하고, 서울 여행의 매력을 전 세계에 홍보할 계획이다. '수호선' 캠페인 기간 중 소셜미디어 참여형 이벤트(7.7~7.16)는 비짓서울릴스 템플릿을 활용해 ‘나의 서울여행 릴스 만들기’를 인스타그램에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추첨을 통해 '수호선' 여행 중 수호가 사인한 특별한 선물들을 참여자 경품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관광재단 김은미 스마트관광팀장은 “ '수호선'캠페인은글로벌아티스트수호가 직접 계획하고 추천하는 여행콘텐츠인 만큼 MZ세대를 타깃으로 서울의 라이프 스타일을 생생하게 보여주기 위해 기획된 프로젝트”라며,“콘텐츠의 지속적인 확산을 위해 7월 말까지 유튜브와 소셜미디어에서연계 이벤트를 진행하고, '수호선 여행코스 안내'콘텐츠는 비짓서울 홈페이지(visitseoul.net)를 통해 소개하는 등 통합 브랜드 마케팅을 전개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여행종합
남해군, '미조 북항, 해질녘의 버스킹' 개최...매주 토요일 오후 7시, 북항 등대공원 일원
남해군, '미조 북항, 해질녘의 버스킹' 개최...매주 토요일 오후 7시, 북항 등대공원 일원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미조면주민자치회와 미조마을회가 주관하고 미조면행정복지센터가 후원하는 '해질녘의 버스킹'이 오는 24일부터 매주 토요일 오후 7시, 북항 등대공원 일원에서 열린다. 해질녘의 버스킹'은 관내 음악인들의 재능기부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특별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주민자치회는 미조 북항이 간직한 천혜의 자연경관과 버스킹이 어우러지게 함으로써 새로운 관광명소로 가꾸어 간다는 계획이다. 미조등대공원 일원에서는 지난달 '바다는 삶, 주민은 빛'이라는 주제로 플리마켓이 성황리에 열린 바 있으며 지역민과 학생들의 난타공연과 밴드공연 등이 펼쳐져 큰 인기를 모았다. 버스킹 공연이 펼쳐질 미조북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29호인 미조리 상록수림과 야간조명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으며 여기에 음악까지 곁들여지면서 미조항 특유의 해질녘 정취는 더욱 돋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미조면 관계자는 "6월 24일 첫 공연을 시작으로 7월 한 달간 매주 토요일 오후 7시부터 8시까지 버스킹을 계획하고 있다"며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어우러져 상권 활성화에서도 기여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여행종합
[경남]하동군, 천년 하동의 재발견 생생문화재 운영...원정대 모집
[경남]하동군, 천년 하동의 재발견 생생문화재 운영...원정대 모집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경남 하동군은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으로 추진하는 2023 천년 하동의 재발견 생생문화재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문화재청이 주최하고 하동군이 주관하며 별별솔루션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하동 고유의 문화재와 명소를 활용해 특별한 여행상품으로 기획됐다. 하동생태해설사회를 비롯해 하동주민공정여행 놀루와, 하동요 등 지역단체와 함께 문화재의 가치와 의미를 널리 알리고 하동의 매력적인 문화·관광자원을 경험하도록 구성한 프로그램이다. 세부 프로그램으로는 ▲하동 솔숲의 생생이야기 '솔씨의 모험!'(6월) ▲고고학여행 in 하동 '성돌의 귀환'(7월) ▲길 위의 이야기 콘서트 '하동에서 온 편지'(10월)가 운영된다. 그 중 고고학여행 in 하동 '성돌의 귀환'은 '2023 천년 하동의 재발견'의 대표프로그램으로 1박 2일의 여정을 연극적 스토리텔링으로 엮어 하동의 역사와 문화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아웃도어형 역사체험 프로그램으로 현재 원정대를 모집 중이다. 대상 문화재인 '하동읍성'에서 다수 출토된 유물(막사발)과 인물(사기장)의 역사를 토대로 시간의 문을 통해 조선시대에서 현대로 빨려들어 온 사기장 구출작전이라는 미션을 통해 하동의 역사와 문화를 흥미롭게 만나볼 수 있도록 고고학여행 콘셉트로 구성했다. 전문연기자를 통해 극적 재미를 높이고 하동의 힐링 명소도 함께 만나보는 이 프로그램은 온기 가득한 악양면 매계마을에 조성된 마을호텔(호텔매계)과 연계해 숙박하고, 하동에서 기른 식재료로 마을주민이 직접 만든 시골밥상도 맛볼 수 있다. 그 외에도 하동에서 직접 만든 건강한 간식을 꾸러미로 만들어 제공하는 등 지역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양질의 프로그램을 기획해 참가자들의 만족도를 한층 더 높일 계획이다. 일정은 6월 30일∼7월 2일, 7월 7일∼7월 9일 총 4번이며, 초등학교 3~6학년을 둔 가족을 대상으로 네이버예약으로 신청하면 된다. 관련 문의는 별별솔루션을 통해 가능하다. 군 관계자는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을 통해 문화유산의 경직된 이미지를 개선함과 동시에 하동의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홍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인 만큼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여행종합
[광주]'광주 도심 여름나들이 지도'제작...주요 명소 담아
[광주]'광주 도심 여름나들이 지도'제작...주요 명소 담아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광주시와 광주관광재단이 시원한 여름을 즐길 수 있도록 '광주 도심 여름나들이 지도'를 선보인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지난 5월 10일부터 이벤트를 통해 광주시민이 추천한 여름꽃 명소와 시원하게 여름나기 좋은 장소, 여름축제 등을 파악해 '여름나들이 지도'를 제작했다. 지도에는 ▲연꽃(압촌제, 양산호수공원, 전평제 근린공원) ▲능소화(월봉서원 너브실마을, 각화제) ▲해바라기(광주천 둔치, 양산호수공원) ▲배롱나무(국립광주박물관, 지산재, 수춘제) ▲맥문동(문화근린공원) ▲수국(동적골 수국동산) 등 여름꽃 주요 명소가 담겼다. 지도는 광주광역시와 광주관광재단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으며, 오매광주 및 광주관광재단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또 광주시는 푸른 숲길과 시원한 호수공원을 가족이 함께하기 좋은 여름 여행지로 추천했다. 북적이지 않은 도심공원에서 가볍게 산책하며 아름다운 여름꽃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자연 속에서 힐링하며 마음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다. 이 밖에 ▲전국 최대 규모 스트리트 댄스 경연대회 '배틀라인업'을 축제로 브랜딩한 '스트릿컬처 페스타'(6월 9~11일) ▲맥주와 DJ공연을 함께하는 도심 속 바캉스 '비어페스트 광주'(8월 9~12일) ▲해외 뮤지션이 참여해 세계 음악 다양성을 선보이는 'ACC 월드뮤직 페스티벌'(8월 25~27일) 등 다양한 축제가 차례로 운영, 여름밤을 달군다. 김성배 관광도시과장은 "녹음이 짙은 여름, 광주에서 싱그러운 꽃의 정취를 느끼며 더위를 날리길 바란다"며 "도심에서 특별한 시간을 보내기 좋은 여행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여행종합
서울의 특별한 역사교훈여행코스 3선...서대문코스, 청계천코스, 용산코스
서울의 특별한 역사교훈여행코스 3선...서대문코스, 청계천코스, 용산코스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서울관광재단(대표이사 길기연)은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서울의 특별한 역사여행코스를 선정해 소개했다. 용산공원 부분개방 부지 (사진=서울관광재단) 재단은 6월 중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등의 상흔이 남은 서울 역사교훈여행(다크투어리즘) 코스를 지정하며 호국보훈의 의미를 되살리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역사교훈여행(다크투어리즘)이란, 일반 여행과 다르게 재난이나 역사적으로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났던 곳을 찾아가 직접 체험함으로서 역사적 의미를 되짚어 보고 교훈을 얻는 여행을 말한다. 서울은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 조선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수도 역할을 해왔다. 특히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등을 거치며 서울에는 많은 역사의 상흔들이 남았다. 서대문과 청계천, 그리고 용산 일대의 역사교훈여행 코스를 소개한다. 서대문코스① – 서대문형무소역사관과 독립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역사교훈여행 장소로, 일제강점기 시절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어 고초를 겪었던 아픈 역사가 남아 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옥사 (사진=서울관광재단) 역사관 입구는 옛 감옥의 정문과 담장의 원형을 보존하고 있다. 붉은 벽돌로 이루어진 형무소 내부로 들어가면 감옥에서 고초를 겪은 독립운동가의 수형 기록표 5천여 장을 모아 놓은 전시실이 나온다. 수형 기록표에는 학생부터 노인까지 독립운동하며 순국한 수많은 열사를 만날 수 있다. 옥사에는 징벌방인 ‘먹방’도 볼 수 있다. 수형자에게 벌을 주기 위해 사용했던 먹방은 1평도 되지 않은 작은 공간에 빛을 차단하여 낮과 밤을 구분할 수 없게 만든 독방이다. 방 안이 ‘먹처럼 깜깜하다’고 하여 먹방이라 불렸다. 부채꼴 모양으로 이어진 원형 감옥은 3.1운동으로 잡혀 온 수감자가 늘어나면서 증축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앞에는 열강들의 한반도 침략이 본격화되던 1897년, 홀로 설 수 있는 주권 국가가 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세운 독립문이 있다. 독립협회는 청나라 사신을 영접하던 영은문을 허물고 유럽 개선문 양식의 독립문을 세웠다. 청나라와 조선의 관계를 재정립하자는 의미로 독립협회가 모금을 주도하여 1897년에 문을 완공하였다. 독립문의 독립은 열강들의 한반도 침략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식민지로부터 해방’이 아니라 ‘홀로 설 수 있는 주권 국가’라는 의미 담아 세웠다. 서대문코스② –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과 약현성당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은 지상의 서소문 공원에서 경사로를 따라 지하에 있는 박물관으로 연결되도록 설계했으며, 길을 따라 내려가면 과거의 기억이 묻혀 있는 땅속으로 여행을 떠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서소문 역사공원 지하에 ‘서소문 네거리’에서 일어난 천주교 박해의 역사성을 담고 있는 서소문 성지 역사박물관을 조성했다. 박물관은 곳곳에 경사로를 설치하고 빛과 그림자를 이용하여 공간을 구성했다. 어둠이 주는 무거움보다는 적절한 빛과 그림자를 통해 추모 공간의 중후한 분위기가 자연스레 묻어나도록 한 감각적인 공간 배치가 돋보인다. 종교인이 아니더라도 부담스럽지 않게 전시실을 관람할 수 있도록 했다.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을 둘러본 후에는 서소문 역사공원을 가볍게 산책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망나니가 사형을 집행한 후 칼을 씻었다는 뚜께우물, 얇은 담요를 덮고 잠을 청하는 노숙자의 모습을 동상으로 만들어 가장 낮은 곳부터 사랑을 실천했던 예수를 기리는 노숙자 예수, 서소문 밖 네거리에서 처형당한 천주교 순교자를 기리는 헌양탑까지 다양한 공간들을 만날 수 있다. 서소문 역사공원 옆에는 최초의 천주교 성당인 중림동 약현성당이 있다. 천주교는 조선 후기부터 박해받았으며 1886년이 돼서야 조불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면서 신앙의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서소문 성지가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순교자들의 넋을 기리고 그 정신을 본받기 위해 약현성당을 세웠다. 성당의 규모가 웅장하거나 화려한 편은 아니지만, 검소하고 정갈하게 꾸며져 있어 편안한 분위기가 난다. 청계천 코스 – 광통교, 전태일기념관, 청계천 판잣집 테마촌 청계천은 오래전부터 서울에 흘렀던 자연 상태의 하천으로, 조선시대에는 청계천을 생활 하천으로 규정하고 조선왕조 500년 동안 하수도로서 기능했다. 청계천 풍경(사진=서울관광재단) 청계광장 근처에 있는 광통교에는 태종 이방원에 대한 이야기가 남아 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막내아들인 이방석에게 넘겨주려고 하자 다섯째 아들이었던 이방원은 왕자의 난을 일으켜 이방석을 죽이고 정권을 잡았다. 이방원은 왕위에 올라 청계천을 보수하면서 광통교를 돌다리로 다시 지었다. 다리를 만들 때 사용했던 돌의 일부는 이방석의 어머니였던 계모 신덕왕후의 능을 파헤쳐서 가져왔다. 심지어 일부 돌은 거꾸로 꽂아 놓았으니, 신덕왕후에게 맺힌 이방원의 원한이 얼마나 깊은지 짐작게 한다. 이방원의 이야기가 남아 있는 광통교 (사진=서울관광재단)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이후의 청계천은 판자촌이 생기면서 식민지와 전쟁을 겪은 나라의 가난한 온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슬럼가였다. 청계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천에 덮개 구조물을 씌우는 복개 방식으로 정비하여 하천 위에 도로를 놓고, 판자촌은 헐어서 현대식 상가건물을 세웠다.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청계고가를 허물고 청계천을 복원하여 시민들에게 휴식과 여유의 공간이 되었다. 현재 청계천은 종로의 청계광장부터 시작하여 청계역사길, 청계활력길, 청계휴식길로 이어지는 코스를 따라 성동구까지 이어진다. 광통교에서 청계천을 따라 종로3가 쪽으로 걸어가다 보면 전태일 열사를 기리기 위해 지어진 전태일기념관이 나온다. 1960년대 노동자의 인권은 무시된 채 열악한 작업 환경과 밤샘 작업으로 많은 노동자가 질병에 시달렸다. 전태일은 이와 같은 노동 현실 개선을 위해 본격적으로 노동운동에 참여했으며, 1970년 노동 현실 개선을 외치며 분신하여 22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전태일의 희생 이후 노동자들의 열악한 현실이 조명되면서 노동조합이 생겨나고 노동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전태일기념관 (사진=서울관광재단) 전태일기념관에는 전태일의 어린시절, 전태일의 눈, 전태일의 실천, 전태일의 꿈이라는 주제로 전태일의 일생을 살펴볼 수 있는 상설 전시가 열린다. 청계천을 따라 성동구까지 오면 청계천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청계천 박물관과 청계천 판잣집 테마존이 나온다. 청계천 판잣집 테마존은 60~70년대 청계천의 생활사를 전시하는 공간이었다가 2022년에 자연생태 휴식 공간으로 새롭게 단장했다. 하얀 벽면에는 청계천에 서식하는 동물 100여 종을 삽화로 그려 넣었다. 건물 아래쪽으로 너른 창문 앞에 배치된 의자에 앉으면 발아래로 유유히 흐르는 청계천이 내려다보인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하천을 바라보며 여유를 즐길 수 있는 이른바 ‘물멍존’이다. 서울 판잣집 테마존(사진=서울관광재단) 청계천 판잣집 테마존 바로 앞에는 청계천 박물관이 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청계천의 역사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전시가 구성되어 있다. 용산 코스 -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와 전쟁기념관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 내 미군장교숙소는 빨간 벽돌로 이루어진 건물이 반듯하게 늘어서 있어 마치 미국 여행을 온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색다른 감성을 자극한다. 용산공원 (사진=서울관광재단) 전쟁기념관 (사진=서울관광재단)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는 한국전쟁 이후 현재까지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의 아픈 역사를 보여주는 공간이다. 용산기지가 2016년에 평택으로 이전되고 부지가 반환되면서 이 일대를 공원으로 조성하기 시작했다. 용산공원에 발을 내디디면 마치 미국으로 여행을 온 것 같은 착각이 든다. 빨간 벽돌로 이어지는 평화로운 주택단지와 건물 사이사이에 커다란 나무가 뿜어내는 싱그러운 초록빛이 부지를 가득 채우면서 서정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용산 전쟁기념관은 한국전쟁, 임진왜란 등 우리 역사 속 전쟁을 기념하고, 순국한 선조들의 호국정신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박물관이다. 전쟁기념관은 주요 전시실은 6.25 한국전쟁의 발발부터 휴전협정이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6.25 전쟁실이다. 6.25. 전쟁실은 총 3개의 전시실로 구성돼 있으며, 다양한 유물과 장비들을 전시장에 배치하여 전쟁의 참상을 느끼고 배울 수 있도록 꾸며져 있다.
여행종합
[전남] 곡성군, '곡·성·상·회 찾기' 게임이벤트...6월 3일~17일
[전남] 곡성군, '곡·성·상·회 찾기' 게임이벤트...6월 3일~17일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곡성군(군수 이상철) 섬진강기차마을에서는 6월 3일부터 17일까지 주말, 공휴일 6일간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게임 이벤트를 운영한다. 게임 제목은 '곡·성·상·회 찾기'로 지난달 20일 개장한 곡성 섬진강기차마을 공식 기념품판매점 '곡성상회'의 이름에서 착안했다. 게임 참여 방법은 간단하다. 2023년 상반기 새롭게 탈바꿈한 기차마을 4곳을 찾아가서 각 장소마다 비치된 낱말 '곡' '성' '상' '회' 중 한 글자를 확인하고 게임카드에 적으면 된다. 4곳에 전부 찾아가 낱말을 모두 모으면 성공이다. 게임은 13세 이하 어린이들만 참여할 수 있다. 게임 미션을 완수한 모든 어린이에게는 작지만 소정의 상품도 지급된다. 이와 함께 마술, 비눗방울 등 풍성한 공연도 함께 펼쳐진다. 공연은 주말과 공휴일 오후 1시와 3시에 중앙광장 피크닉존에서 즐길 수 있다. 상반기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기차마을 4곳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지난 18일 개장한 '기차마을 플랫폼'이다. 1층은 매표소와 대합실, 2층은 시계탑과 전망대, 바깥으로는 대규모 광장을 갖춘 공간으로 섬진강기차마을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외에도 장미 속으로 동전을 넣으면 사랑이 이뤄지고 가족과의 행복을 이뤄준다는 '사랑의 장미동전' 코너도 마련돼 있다. '중앙광장 피크닉존'은 드넓은 그늘막과 인조잔디가 갖춰져 한적한 휴식을 즐기려는 관광객들의 인기 장소다. 마지막으로 기념품 판매점인 '곡성상회'는 관광객들이 다양한 기차마을 여행을 추억할 수 있는 기념품뿐만 아니라 아기자기한 포토존을 갖췄다.
여행종합
[강릉] 자연과 빛이 하나되는 강릉솔향수목원의 밤을 즐겨요…6월부터 야간 개장
[강릉] 자연과 빛이 하나되는 강릉솔향수목원의 밤을 즐겨요…6월부터 야간 개장
[트래블아이=문소지 기자] 강원 강릉시는 사계절 체류형 관광명소를 조성해 밤이 아름다운 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야간에도 시민과 관광객들이 자연경관이 뛰어난 산책로를 즐길 수 있도록 솔향수목원 야간개장을 실시한다. 오는 6월 1일부터 강릉솔향수목원 야간개장을 통해 낮과는 다른 색다른 풍경으로 관광객을 맞이할 예정이며, 솔향수목원만의 특징이 담긴 이색경관 연출을 위한 공간을 구성했다. 수목 투사등 외 14종, 총 713개의 조명기구 등을 이용한 연출로 단조로울 수 있는 숲에 화려한 빛의 색을 입혀 생기를 불어넣고 전 세대가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경관을 선사한다. 해가 늦게 지는 하절기(3월~10월)에는 20시~23시까지, 동절기(11월~2월)에는 18시~22시까지 개장하며, 휴원일인 월요일을 제외하고 연중 운영된다. 특히 금요일은 기존과 다른 컬러풀한 조명으로 다채로운 수목원의 모습을 제공해 관람객들의 눈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한편 야간 조명과 더불어 시민들에게 힐링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다도체험, 가드닝클래스, 숲해설, 유아숲체험, 숲속결혼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 중에 있다. 강릉시 관계자는 "강릉솔향수목원이 강릉의 대표적인 야간 관광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야간개장을 통해 연간 방문객을 증가시켜 관광 및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여행종합
[인천] 부평구, '2023 4인4색 맞춤형 부평투어' 추진...매회 40명, 총 10회 진행
[인천] 부평구, '2023 4인4색 맞춤형 부평투어' 추진...매회 40명, 총 10회 진행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인천 부평구(구청장 차준택)가 25일 역사박물관을 시작으로 '2023 4인4색(4人4色) 맞춤형 부평투어'를 시작했다. 이번 투어는 지난해 군 장병 대상으로 진행했던 투어를 다문화가정, 청소년, 성인 등으로 대상을 확대해 지역의 특색있는 관광자원을 홍보하고 잠재적 관광수요자를 확보하겠다는 취지로 추진하고 있다. 투어는 매회 40여 명을 대상으로 총 10회에 걸쳐 진행된다. 먼저 군 장병 및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사전신청을 받아 5~7월 중 투어를 진행하며, 청소년 및 성인 투어는 오는 8~11월 예정돼 있다. 주요 방문지는 캠프마켓(B구역), 부평 역사박물관, 부평 아트센터, 부평숲 인천나비공원, 신촌로 공방거리, 부평 문화의거리, 부평지하상가 모두몰 등이다. 이외에도 풍물공연 관람 및 악기체험, 각종 공예품 만들기, 문화관광해설사를 동반한 역사코스 탐방 및 체험활동을 통해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또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콘서트 관람과 양조장 견학 및 막걸리 빚기 체험 등을 투어 코스에 신규로 추가해 지역 관광 사업자에게 참여 기회를 제공하며, 전통문화와 예술이 어우러지는 '문화도시 부평'을 홍보하고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일 계획이다. 구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변화된 관광트렌드를 반영하고 투여참여자의 관광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대상별 맞춤형 투어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며 "이를 통해 투어 만족도를 높이고 문화도시 부평의 지역명소와 문화 콘텐츠를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여행종합
[전남] 광양시, 6월부터 남도한바퀴로 떠나는 '광양주말여행' 여름 코스 시작
[전남] 광양시, 6월부터 남도한바퀴로 떠나는 '광양주말여행' 여름 코스 시작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광양시가 한여름 태양을 피하는 또 하나의 방법으로 남도한바퀴 여름코스 '광양주말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밝혔다. 6월부터 시작되는 남도한바퀴 여름코스는 '눈이 즐거운 행복한 하루, 광양주말여행'으로 개시 전부터 활발하게 예매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 여름코스는 광양예술창고 등 실내 문화공간에서 고품격 전시를 즐기고 서천분수, 백운산자연휴양림 등에서 시원한 분수와 신선한 피톤치드로 감성을 충전하는 여행이다. 광양주말여행은 매주 일요일 광주 유스퀘어(9시20분)를 출발해 광주송정역(9시50분)을 경유, 광양 원도심의 전남도립미술관, 광양예술창고 등을 관람한다. 이어 광양불고기특화거리에서 점심을 즐긴 후, 서천무지개분수, 백운산자연휴양림 등을 투어하고 송정역(18시 5분), 유스퀘어(18시 30분)에 도착하는 낭만코스다. 백운산자연휴양림은 울창한 원시림에 식물생태숲, 치유의 숲, 감동책방 등을 두루 갖춘 복합산림문화 공간으로 더위와 일상에 지친 심신을 치유해 주는 웰니스 공간이다. 식물생태숲은 다양한 식물을 감상할 수 있는 산책로로 폭염·미세먼지 저감장치가 설치돼 더위를 식혀주고 치유의숲은 풍욕, 탁족, 명상 요가 등 내·외부 프로그램을 두루 즐길 수 있어 바쁜 현대인들의 쉼표로 주목받고 있다. 프리미엄 버스로 운행되는 광양주말여행 이용요금은 2만4천 900원(관광지 입장료, 여행자보험, 식비 등은 별도)이며 온·오프라인에서 예약이 가능하다. 기타 자세한 안내 및 예매는 남도한바퀴 누리집, 남도한바퀴 콜센터, 남도한바퀴 카카오톡 채널 등을 이용하면 된다. 정구영 관광과장은 "남도한바퀴 여름테마 '눈이 즐거운 행복한 하루'는 광양의 수준 높은 예술공간과 백운산자연휴양림의 푸르름을 만끽할 수 있는 힐링코스"라며 "뜨거운 태양을 피하고 휴식과 감성을 충전할 수 있는 광양주말여행을 적극 추천한다"고 말했다.
여행종합
무장애 여행지 전국 베스트5..횡성숲, 산림자연연구소, 산두리 해안사구, 통영 평인일주로, 서귀포 치유의 숲
무장애 여행지 전국 베스트5..횡성숲, 산림자연연구소, 산두리 해안사구, 통영 평인일주로, 서귀포 치유의 숲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문화체육관광부가 휠체어도, 유아차도 여행하는 데 어려움 없는 무장애 여행지인 '열린관광지'를 중심으로 전국 여행지를 소개했다.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힐링 여행지를 가정의 달 5월에 찾아가보자. 1. 국립횡성숲체원 (강원) 한국관광공사 선정 ‘열린관광추천코스 20선’ 중 하나. 숲체험을 통해 자연이 주는 치유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울창한 숲길 사이로 완만한 데크길이 조성되어 있어 휠체어·유아차 이용자도 편안하게 자연을 즐길 수 있고, 맨발로 숲을 걸으며 숲과 하나 되는 편안함도 느낄 수 있다. 다채로운 탐방로와 체험장도 빠짐없이 만나보자. -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청태산로 777 *온라인 예약 필수 2. 전라남도 산림자원연구소 사계절 언제 가도 쭉 뻗은 메타세쿼이아와 향나무 길이 매력적인 모습으로 반겨주는 곳이다. 산림자원을 연구하는 곳인 만큼, 다양한 나무들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대나무숲, 숲속 맨발길, 전망데크까지, 곳곳에 조성된 다양한 자연 공간에서 지친 몸과 마음을 싱그럽게 채워보자. - 전라남도 나주시 산포면 다도로 7 · 9시~17시(3~10월), 9시~16시(11월~2월) 3. 충청남도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바닷바람을 타고 쓸려온 모래가 오랜 시간 쌓여 만들어진 드넓은 모래언덕, 마치 사막에 온 것 같은 이국적인 느낌을 줍니다. 탐방로 데크를 따라 모래언덕 사이를 걷다 보면 바람이 그려놓은 모래 물결이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초입에 있는 신두리사구센터에서 생태환경 공부부터 시작하면 좋아요! - 충청남도 태안군 신두해변길 201 · 9시~18시(3월~10월), 9시~17시(11월~2월)/매주 월요일, 설·추석 휴무 4. 경상남도 통영 평인일주로 노을길 달아공원과 함께 손꼽히는 통영의 노을 명소, 약 4.1km의 해안 도로를 따라 탁 트인 통영바다를 눈에 담으며 시원하게 드라이브를 즐기다 마주치는 해넘이는 장관이다. 나무데크로 잘 정돈된 노을 전망대는 바다 위 금빛으로 물든 섬들을 더 멋지게 만날 수 있는 포인트. - 경상남도 통영시 평인일주로 581 5. 제주 서귀포 치유의 숲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안심관광지’이자 ‘열린관광지’인 이곳! 다양한 산림의 환경요소를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특히, 평균수령 60년 이상된 전국 최고의 편백나무숲을 걷다 보면 몸도 마음도 건강하게 만들어주는 기분! 휠체어를 타고도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 산책로와 족욕탕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산록남로 2271 · 8시~16시(하절기), 9시~16시(동절기) *온라인 예약 필수
여행종합
[인천] 정서진 볼거리 다양...아라빛섬, 아라타워, 아라폭포,검암공원, 영종대교 휴게소 등
[인천] 정서진 볼거리 다양...아라빛섬, 아라타워, 아라폭포,검암공원, 영종대교 휴게소 등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경복궁 광화문을 기준으로 정서쪽에 인천 정서진이 자리한다. 정동진 일출이 희망과 새로운 출발을 의미한다면, 정서진 일몰은 낭만과 그리움을 대변한다. 해 질 무렵 정서진은 드넓은 서해가 넉넉한 품을 벌리고, 주홍빛 수평선 위로 크고 작은 섬이 그림처럼 떠 있다. 정서진 풍경 (사진=문화관광체육부) 조약돌 모양을 본뜬 ‘노을종’과 고즈넉한 아라빛섬, 아라타워 23층에 있는 전망대 등 볼거리도 풍성하다. 이국적인 경인아라뱃길을 끼고 달리는 길에 정서진의 노을까지 더해 낭만적인 드라이브 코스로 꼽힌다. 검암공원 등 언제든 자동차를 멈추고 쉬었다 갈 수 있는 공원도 많다. 경인아라뱃길을 발아래 두고 걷는 아라마루전망대와 국내 최대 규모 인공 폭포인 아라폭포가 볼만하다. 저녁이면 알록달록한 조명이 아름다운 야경을 빚어낸다. 자동차에서 바라보는 경인아라뱃길도 아름답지만, 유람선을 타고 상쾌한 강바람을 직접 느껴도 좋다. 선상에서 펼치는 다양한 공연이 재미를 더한다. 아이와 함께라면 녹갈색 유약을 발라 구워내는 녹청자의 매력을 엿보는 녹청자박물관도 추천한다. 1970년대부터 한자리를 지킨 가좌시장은 인천의 푸근한 인심을 만나는 전통 시장이다. 검암공원 드라이브를 하다 잠시 쉬고 싶다면 검암공원에 주차하자. 인천 앞바다와 한강을 연결하는 경인아라뱃길의 검암공원은 인천 검암역 뒤쪽에 위치해 있다. 운하 양쪽으로 자전거길이 조성돼 있어 한강변을 따라 자전거 타는 사람들과 산책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인기 있으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나무 평상과 그네가 있어 피크닉을 즐기는 사람들도 많이 찾는다. 운동시설로 축구장, 농구장, 배드민턴장이 있다. 저녁이 되면 시천교와 백석교의 야경이 장관을 이룬다. 주변 관광지로 시천교 수상무대, 매화 동산, 봉수 마당이 있다. 영종대교휴게소 기념관에 세워진 포춘베어 (사진=인천시) 그밖에 영종대교 휴게소는 영종대교 완공을 기념하며 2001년 건립한 기념관으로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에 전시실, 체험관, 전망대 등을 갖췄다. 영종대교와 서해가 훤히 내다보이는 전망 명소로도 유명했던 이곳은 2014년 변화를 맞는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에 휴게소가 없어 이용자들이 지속적으로 불편함을 토로하면서 영종대교기념관을 휴게소로 리모델링해 개장하게 된다. 즉 기념관과 휴게소를 겸하는 공간으로 변신한 것. 식음료 시설과 휴게 공간 등이 들어서고 기념관은 2층에 자리를 마련했다. 기념관에는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상징 구조물인 영종대교의 건설 방식과 과정, 특징을 소개하는 전시가 이뤄진다. 중앙에는 1/36 크기로 축소 재현한 영종대교 모형이 비치돼 눈길을 끈다. 세계 최초 도로·철도 병용 복층 현수교라는 영종대교 특징을 한눈에 살펴보기 좋다. 모형을 본 후 전망대로 나가 실물 영종대교를 비교 관찰하면 흥미롭다. 망원경을 이용해 자세하게 들여다볼 수 있다. 야외에 볼거리도 풍성하다. 3층 전망대에서는 갯벌과 서해가 어우러지는 풍광이 펼쳐지고 여기에 비행기가 오가며 포인트를 살린다. 영종대교휴게소의 랜드마크인 ‘포춘베어’ 조형물과 기념사진도 남겨보자. 단군신화 속 웅녀이야기를 모티브로 제작한 포춘베어는 높이가 23.57m에 달해 2014년 세계에서 가장 큰 스틸 조각 작품으로 기네스북에 정식 등재됐다.
여행종합
[부평구] '인천탁주',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 선정
[부평구] '인천탁주',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 선정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부평구(구청장 차준택)가 17일 농림축산식품부의 2023년도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에 인천탁주제조 제1공장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인천탁주제조 제1공장 (사진=부평구)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은 지역의 우수 양조장을 선정해 전통주 시음 및 만들기 체험뿐만 아니라 지역관광, 문화공간으로의 고도화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전국 지자체에서 추천한 25개 양조장을 대상으로 전문가 평가를 거쳐 인천탁주를 포함해 전국 5곳의 양조장이 선정됐다. 인천탁주는 이번 공모사업에 선정돼 4천8백만 원을 지원받아 ▲막걸리빚기 체험 확대 운영 ▲다양한 관광 체험 사업을 추진할 예정으로 구에서는 인천탁주가 지역 대표 전통주로 공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지원한다. 구 관계자는 "이번 사업 선정을 통해 2년간 맞춤형 전문 컨설팅으로 인천탁주가 관광·체험까지 연계된 복합공간으로 발전하는 기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1938년부터 3대째 이어져 온 인천탁주제조 제1공장은 HACCP 인증을 받은 위생적인 공장형 막걸리 제조장이다. 2023년 대한민국주류대상 생막걸리 부문 대상을 수상했으며 ▲인천생소성주 ▲인천소성주플러스 ▲쌀은 원래 달다 등의 상품이 있다.
여행종합
'경복궁 생과방' 체험 행사…6월 28일까지 매일 4회 진행
'경복궁 생과방' 체험 행사…6월 28일까지 매일 4회 진행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정성조)는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과 함께 '경복궁 생과방(餠菓·떡과 과자)' 상반기 행사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4월 20일부터 6월 28일까지 약 2개월 간 매일 4회씩 경복궁 소주방 권역 내 전각인 생과방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4월 11일과(1차 행사: 4.20.~5.28.)과 5월 19일(2차 행사: 5.29.~6.28.) 오후 1시부터 온라인 예매를 시작한다. ‘경복궁 생과방’은 조선 시대 왕실의 별식을 만들던 전각이자 생물방(生物房) 혹은 생것방으로도 불렸던 생과방에서 관람객들이 궁중의 약차와 병과를 직접 맛볼 수 있는 특별한 체험 프로그램이다. 특히, 정조 19년(1795)에 제작된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기록에 따라 ‘낮에 올리는 다과상’인 주다(晝茶)를 올리던 오전 10시에서 오후 5시 사이에 맞추어 행사를 진행한다. 경복궁 생과방(餠菓·떡과 과자)' 상반기 행사 장면 (사진=문화재청) 올해 행사는 '조선왕조실록', '요록' 등에 기록된 궁중병과 10종과 궁중약차 6종으로 구성되었는데, 처음 선보이는 대표 궁중병과 ‘초두점증병’은 볶은 팥, 대추, 잣으로 만든 떡이다. 이들 궁중병과와 궁중약차는 궁중잔치나 고종의 오순 축하 잔치에도 올려졌다고 '진찬의궤', '진연의궤'의 기록이 있다. 또한 대표 궁중약차 ‘경옥다음’은 옥처럼 희귀한 약을 뜻하는 ‘경옥고’를 차로 마실 수 있게 만든 것으로, 노화·만성피로·위장기능 개선 등에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어 '동의보감' 내경편의 처방에도 등장한 바 있다. 온라인 예매시 합리적인 가격에 다양한 궁중다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2가지의 묶음(세트)으로 차림표(메뉴)를 구성했다. 6종의 서로 다른 다과로 구성된 2가지 묶음(초두점증병세트, 주악세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어느 묶음을 선택하든 궁중약차는 기본으로 맛볼 수 있다. ‘초두점증병 세트(초두점증병, 약과, 참외정과, 잣박산, 매엽과, 곶감단지 + 약차 1종)’는 1만 5천 원, ‘주악 세트(주악, 쌀강정, 매엽과, 금귤정과, 사과정과, 곶감단지 + 약차 1종)’는 1만 2천 원이다. 예매는 오는 4월 11일과 5월 19일 오후 1시부터 티켓링크(http://www.ticketlink.co.kr)를 통해 온라인 선착순으로 진행된다. 1인당 2매까지 구매할 수 있으며, 만 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로 예매(☎1588-7890)할 수 있다.
여행종합
[고흥군] 2023 고흥우주항공축제...4월21일~23일, 나로우주센터일원
[고흥군] 2023 고흥우주항공축제...4월21일~23일, 나로우주센터일원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제13회 고흥우주항공축제가 4월 21일부터 23일까지 3일간 나로우주센터 일원에서 개최된다. 전남과학축전과 함께 열리는 이번 축제는 우주과학관을 비롯해 우주천문과학관, 국립청소년우주센터, 우주발사전망대 등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고흥우주항공축제 포스터 우주과학관 우주과학관 전시관 우주과학관 나로호 우주선 먼저 우주과학관은 우주에 관한 기본원리, 로켓, 인공위성, 우주탐사 등을 테마로 구성된 상설전시관으로 32종 작동체험 전시물을 포함한 총 90여종의 전시품을 갖추고있다. 상설전시관을 비롯해 기획전시실, 3D 입체영상관, 4D 돔영상관, 야외전시장 등 우주과학을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시설이 준비되어 있어 우주과학 관련 교육 및 체험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 우주공간에 있는 듯 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로켓의 역사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로켓 모형과 실제부품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우리의 자랑 나로호를 직접 발사시켜 볼 수 있다. 실제 나로호의 1/3 크기로 만들어져있는 이 전시물은 발사 전 카운트다운부터 시작해 로켓이 발사되면서 느껴지는 진동까지 경험할 수 있다. 고흥우주발사전망대 VR체험실 고흥우주발사전망대 고흥의 랜드마크 고흥우주발사전망대는 지하1층 지상7층 규모이며 나로우주센터와는 해상으로 17km 직선거리에 위치해 나로호 발사 광경을 넓은 바다와 함께 볼 수 있다. 우주도서관과 우주체험공간 등도 마련되어 있다. 국내 유일의 우주과학 분야 특성화 체험활동 기관인 국립청소년우주센터(NYSC)는 국내 유일의 우주과학 분야 특성화 체험활동 기관이다. 청소년의 ‘창의성’과 ‘감성’을 고루 향상시키려는 사명감을 가지고, 청소년지도자들이 끊임없이 탐구하고 활동하고 있다.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국립청소년우주체험센터 센터는 우주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을 일깨우기 위해, 고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당일형 체험활동은 흥미로운 이야기를 우주인 훈련에 담아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우주센터에 잠시 머무는 시간에 따라, 아래 체험 과정을 선택 할 수 있다. [선택프로그램] 1.우주유영훈련 (MMU)우주 공간에서 이동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MMU를 탑승하며 근접 우주 환경을 이해하는 활동 2.대기비행의 안정성과 폼로켓 지구 대기권 속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조건을 살펴보며, 폼로켓을 만들고 날리는 활동 3.분광경 우주에 존재하는 원소의 빛을 관찰하기 위해 분광경을 제작하고, 별의 스펙트럼을 이해하는 활동 4.SOS 체험 (Science On a Sphere)공중에 매달려있는 구 스크린으로 태양계에 존재하는 행성과 위성 그리고 태양을 관찰하는 활동 5.균형잡기와 우주인 훈련(MAT) MAT를 체험하며 급격히 회전하는 위기의 상황을 극복하는 훈련을 경험하고 이해하는 활동 6.달 표면 걷기(MW) 달 중력 적응에 도움을 주는 문워커를 체험하고, 역사적인 달 탐사 과정을 알아보는 활동 7.블랙홀 그림자 천체투영관에서 블랙홀 그림자가 관측된 과정을 되짚어보고, M87과 우리은하 블랙홀의 시뮬레이션 영상 감상 8.찾길바래, 빛의 방향 편광필름으로 빛의 성질을 이해하고, 우주에서 오는 빛이 어떤 성질을 갖는지 알아보는 활동
여행종합
[영암군] 영암기찬랜드에 가면 한국트로트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다고?
[영암군] 영암기찬랜드에 가면 한국트로트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다고?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요즘 트로트 열풍이 뜨겁다. 한때 흘러간 가요 취급을 당하기도 했지만, 지금은 전성시대라 할 만큼 국민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월출산 기찬랜드에 조성된 한구트로트가요센터와 가야금산조 테마공원 대한민국 최초로 건립된 한국 트로트 가요센터는 영암군 기찬랜드 내에 위치하여 국내 대중음악의 대표적 장르인 트로트 음악 부흥을 위해 개관했다. 1층은 대중가요의 역사와 전통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한국 트로트 역사관, 2층은 영암의 대표가수 하춘화의 60년 가수 활동을 보여주는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석 규모의 공연장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곳에 가면 1층부터 천천히 살펴보자. 193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트로트의 역사를 시대별로 전시되어 있다. 옛날 음악다방처럼 꾸민 공간에서 좋아하는 노래를 감상하거나 애창곡을 부르며 숨은 실력도 뽐낼 수 있다. 2층은 영암 출신 가수 하춘화를 기념하는 공간이다. 무대의상과 신발, 각종 시상식에서 받은 트로피 등 60년 남짓한 노래 인생의 모든 공적이 담겨 있다. 한국트로트가요센터 관람료는 어른 6000원, 청소년 4000원, 어린이 2000원이며, 50%를 영암사랑상품권으로 돌려준다.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오후 6시, 월요일과 1월 1일, 명절 당일은 휴관한다. 가야금산조테마공원은 우리 민족 고유의 가락을 즐기는 곳이다. 소뿔과 순금으로 제작한 국내 유일한 화각 가야금도 전시한다. 영암곤충박물관은 아이들과 동행하기 좋다. 세계 각지에서 수집한 곤충 표본은 물론, 살아 있는 곤충과 파충류를 관찰하고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벚꽃이 아름다운 왕인박사유적지도 봄나들이 코스로 많이 찾는다. [상세정보] 월출산 기찬랜드가 뜬다...어떤 곳이길래? 기찬랜드의 가야금동산, 공연장과 풀장, 사성교, 자연풀장, 사방댐, 등산로, 가야금전경, 황토스파 실내물놀이장의 모습 [월출산기찬랜드]는 빼어난 자태를 자랑하는 월출산 천황봉자락 맥반석에서 나오는 氣와 계곡을 흐르는 청정 자연수를 활용하여 새롭게 조성된 영암의 대표적 관광명소이다. 이 지역은 월출산의 정기를 받아 불후의 민족음악을 창시한 악성 김창조 선생을 비롯하여, 제헌국회의원 낭산 김준연 선생, 해병대사령관 해군대장 강기천 장군, 바둑의 황제 조훈현 등 탁월한 인물들이 태어난 곳이다. 월출산 기찬랜드에는 가야금테마공원을 조성하여 민족문화를 체험할 수 있으며, 산림욕장, 웰빙 기도로, 자연형 풀장, 기건강센터, 팬션, 체육시설 등을 설치하여 군민은 물론, 웰빙을 추구하는 관광객들이 즐겨 이용할 수 있다. 지상의 기(氣)를 모아 하늘로 솟구치는 형국의 월출산 기슭을 따라 조성된 월출산 웰빙氣도로는 월출산의 물(水), 숲(林), 바위(巖), 길(路)을 체험하며 심신을 단련하는 건강도로이다. 월출산 웰빙氣도로는 1단계로 천황사지구에서 왕인박사유적지까지 약 13km의 도보전용 건강도로를 개설하고 있으며, 2단계로는 학산·미암까지 총 40km의 백리길 기도로를 개설할 계획이다. 월출산의 정기를 느끼며 휴식과 신체단련을 통한 건강한 삶을 추구할 수 있는 월출산 기도로는 천황사지 입구에서 이곳 기체육공원을 거쳐 기찬랜드까지 4km와 왕인박사유적지에서 도갑사 입구까지 3km 구간이 개설되어 많은 군민과 관광객들이 이용하고 있다.
여행종합
[논산] 션샤인 랜드...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주무대,  은빛 자연휴양림, 돈암서원도 유명
[논산] 션샤인 랜드...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주무대, 은빛 자연휴양림, 돈암서원도 유명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은 tvN에서 2018년 7월 7일부터 2018년 9월 30일까지 방영된 토일 드라마이다. 방영초기부터 이병헌과 김태리의 인기를 앞세워 흥행에 성공했다. 지금도 넷플릭스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작품으로 1900년부터 1907년까지 대한제국 시대 이름없는 의병(義兵)들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미스터 션샤인'은 전국 주요 명승지에서 촬영되었지만 드라마의 일상적인 주무대는 대부분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의 션샤인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한 장면 논산 선샤인랜드는 논산시와 드라마 제작사 등이 손잡고 조성한 국내 유일한 개화기 촬영 세트장인 선샤인스튜디오, 한국전쟁 직후의 풍경을 재현한 1950스튜디오, 실내에서 사격과 VR 체험을 즐기는 밀리터리체험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면적 약 2만 ㎡에 이르는 선샤인스튜디오는 1900년대 초반 한성(서울)을 재현한 공간이다. 한성전기 사옥을 비롯한 근대 서양식 건물과 기와집, 초가집, 일본식 가옥에 1899년 운행을 시작한 전차까지 어우러져 120여 년 전 모습이 완성됐다. 이곳에서 〈미스터 션샤인〉을 대부분 촬영했고, 드라마가 인기를 끌자 논산선샤인랜드 또한 한류 관광지로 떠올랐다. 온빛자연휴양림도 새로운 한류 명소다. 2021~2022년 방영한 드라마 〈그해 우리는〉이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으며 촬영지인 온빛자연휴양림이 이름을 알리고 있다. 온빛자연휴양림에서 10km 남짓 떨어진 논산 돈암서원(사적)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서원’ 중 한 곳이다. 인근 탑정호에는 길이 600m 출렁다리가 놓여, 호수 위를 걷는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강경근대역사거리에는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옛 한일은행 강경지점과 강경중앙초등학교 강당, 옛 강경노동조합 건물 등이 남아 있다. ※밀리터리체험관은 내부 리모델링으로 2월 13일부터 휴관 예정이며, 이외 시설은 관람 및 체험 가능
여행종합
[서울] 9월 데이트하기 좋은 장소...6. 세빛섬과 반포대교 달빛무지개분수
[서울] 9월 데이트하기 좋은 장소...6. 세빛섬과 반포대교 달빛무지개분수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연인과 아름답고 특별한 추억을 만들고 싶다면 저녁 야경을 빼놓을수 없다. 세빛섬은 반포한강공원 내 위치한 물에 뜨는 부유 시스템을 가진 인공부지 위에 건물을 세운 플로팅 건축물로, 마주 보고 있는 반포대교 달빛무지개분수와 함께 서울의 로맨틱한 야경을 완성한다. LED조명이 밝혀진 세빛섬 세빛섬은 한강을 아름답게 밝혀주는 세 개의 섬(가빛섬, 채빛섬, 솔빛섬)과 다양한 영상 및 콘텐츠가 상영되는 예빛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 안에는 웨딩홀, 상점, 카페, 편의점, 음식점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세빛섬은 저녁이 되면 LED 조명이 불을 밝히며 한강으로 지는 노을과 함께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한다. 반포대교 교량에 위치한 달빛무지개분수는 2008년, 세계에서 가장 긴 교량분수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음악에 맞춰 분수가 춤을 추듯 포물선을 그리며 폭포수처럼 시원하게 쏟아진다. 총 1140m의 길이에 380개의 노즐을 통해 펌프로 한강의 물을 끌어올려 분수를 내뿜는다. 형형색색으로 물든 반포대교 무지개분수 야간에는 반포대교에 설치한 200여 개의 조명이 분수를 비추면서 마치 커다란 무지개가 한강 위에 뜬 것 같은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한다. 반포한강공원 내 잔디밭이나 벤치에 자리를 잡고 치맥을 먹으며 분수를 감상하는 친구, 연인 단위의 나들이객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해가 지고, 반짝이는 서울의 야경을 배경으로 클래식부터 K-POP까지 다양한 장르의 노래에 맞춰 춤을 추는 분수를 바라보며 치맥으로 마무리하는 것을 추천한다.
여행종합
[서울] 9월 데이트하기 좋은 장소...5. 심산기념문화센터
[서울] 9월 데이트하기 좋은 장소...5. 심산기념문화센터
[트래블아이=문소지 기자] 심산기념문화센터는 시민들의 문화예술 활동을 도모하고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서초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시설이다. 2층에 자리한 반포심산아트홀은 연주회와 음악회, 연극 등이 열리는 공연장으로 객석 405석을 갖춘 문화센터의 핵심 시설이다. 심산문화센터전경(이미지=서초문화재단) 서초문화재단은 2020년부터 <하이든 교향곡 107곡 전곡 시리즈>를 주제로 3월부터 9월까지 매달 1회씩 화요콘서트를 진행 중이다. 서초교향악단이 중심이 되어 교향곡의 아버지라 불리는 하이든의 탄생 300주년이 되는 2032년까지 공연을 지속한다. 9월 27일에는 하이든 교향곡 시리즈 15 ‘고별 FAREWELL’이 열린다. 또한, 가을 시즌에 맞춘 계절 특성화 공연 사업으로 <2022 재즈 페스타: Fall in Jazz>가 열린다. 청년 연주자들을 중심으로 라인업을 꾸려 9월 29일부터 10월 27일까지 매주 목요일마다 다양하고 개성 있는 재즈 공연으로 서초를 물들일 예정이다. 심산기념문화센터에서 매달 진행되는 화요콘서트 화요콘서트와 재즈 페스타 공연은 성인 기준 전 좌석 7,000원에 관람할 수 있으며 서초문화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회원가입 후 예매하면 된다.
여행종합
임인년 호랑이 기운을 받을 수 있는 서울 해돋이 명소...인왕산과 호암산 호압사
임인년 호랑이 기운을 받을 수 있는 서울 해돋이 명소...인왕산과 호암산 호압사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20일 앞으로 다가온 2022년은 임인년(壬寅年) 호랑이 해다. 임(壬)은 검은색, 인(寅)은 호랑이를 뜻한다.서울관광재단(대표이사 길기연)은 한 해를 마무리하고 다가오는 새해를맞이하며 호랑이의 기운을 가득 받을 수 있는 ‘서울 해돋이’ 명소 4곳을 추천한다. 한반도 전역에는 오래전부터 호랑이가 살았다.서울에도 호랑이와 관련된 다양한 사건과 전설이 깃든 명소들이있다. 올 연말, 도심 속 검은 호랑이의 기운을 받을 수 있는 해돋이명소에 방문해 힘찬 새해를 맞이해보는 것은 어떨까. 정상으로 가는 능선길에서 바라본 한양도성과 인왕산 범바위 (사진=서울관광재단) 조선시대 ‘경복궁’에는 호랑이가 출몰했다. 조선왕조실록을 들여다보면 경복궁과 창덕궁까지 호랑이가 나타났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태종실록에는 1405년에 호랑이가 경복궁 근정전 뜰까지 들어왔고, 세조실록에는 1465년에 창덕궁 후원에 호랑이가 나왔다는 말을 듣고 북악에 가서 호랑이를 잡아 돌아왔다는 기록이 있다. , 경복궁 경회루...호랑이가 이곳까지 나타났다는 기록이 조선왕조실록에 남아있다. 선조실록에는 1607년 창덕궁 안에서 어미 호랑이가 호랑이를 낳았는데 한두 마리가 아니니 이를 꼭 잡으라는 명을 내렸다고 쓰여있다. 이후 정조 때는 성균관 뒷산에서 호환이 발생했고, 고종 때는 북악산과 홍은동에서 호랑이를 잡았다. 조선 초기부터 후기까지 끊임없이 서울에 호랑이가 등장한 셈이다. 이런 호랑이 이야기를 떠올리며 경복궁을 방문한다면 색다른 시선으로 여행을 즐길 수 있다. 가장 먼저 경복궁의 정전인 근정전에 가서 호랑이상을 찾아보자. 근정전은 2층 구조로 이루어진 월대를 사방으로 두르고 있는데, 돌난간에 사신상, 십이지신상, 쌍사자상 장식을 조각해 넣었다. 그중 십이지상은 쥐, 토끼, 소, 뱀, 말, 호랑이, 양, 원숭이, 닭을 조각했다. 호랑이상은 근정전 월대 1층의 정면 계단 양쪽에 놓여있다. 무서운 호랑이의 모습이 아닌 귀엽게 앉아있는 호랑이를 감상하며 다른 동물들을 찾아보는 것도 또 다른 재미를 준다. 근정전은 정면으로 바라보는 것을 기준으로 오른쪽 끝으로 이동해 대각선 방향으로 건물의 형태를 감상하는 것이 포인트다. 근정전 왼쪽으로는 인왕산이, 오른쪽으로는 북악산이 병풍처럼 펼쳐진다. 근정전을 지나면 경복궁 북측에 있는 향원정으로 가보자. 근정전 올대에 새겨진 십이지신 호랑이상 3년에 걸친 복원 공사를 마치고 11월에 공개되었다. 복원 전과 가장 큰 차이점은 남쪽에 있던 다리를 원래의 모습대로 북쪽 건청궁과 맞닿게 옮겼고, 다리는 아치형의 흰색 나무다리로 바꾸었다. 향기가 멀리 간다는 그 이름처럼 육각 2층 정자가 내뿜는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3년 만에 복원 공사를 끝내고 모습을 드러낸 향원정과 취향교 일출시 인왕산 정상부 풍경 [경복궁] 찾아가는 길: 3호선 경복궁역에서 4번 출구에서 도보 2분 문의: 02-3700-3900(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경복궁 관리소) 입장료: 성인(만25세~만64세) 3,000원 운영시간: 11월~12월 09:00~17:00(매주 화요일 휴무) [‘인왕산’ 범바위] 역에서 20분만 걸으면 인생 일출 감상 경복궁에서 바라봤을 때 바위산의 형태가 고스란히 노출되어 있어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잘 드러난다. 한양도성길 따라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등산 초보도 산을 오르기 좋다. 인왕산 호랑이 동상 인왕산은 일출 산행으로도 인기를 끈다. 어둠 속에서 길을 나서야 하는 일출산행은 어려워 보이지만, 인왕산은 범바위까지만 가더라도멋진 해돋이를 감상할 수 있어등산 초보도 쉽게 일출 산행을 도전할 수 있다.독립문역에서 출발하면 범바위까지는 약 20분만 걸으면 도착한다. 일출 시간이 되면 저 멀리 어렴풋이 보이는 롯데타워 뒤쪽의 산 너머에서 해가 떠오른다.눈앞에 보이는N서울타워도 햇빛을 받아반짝이고 그 아래로 광화문과 을지로 일대의 고층 빌딩 또한 빛을 머금기 시작한다. 인왕산은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지형이 호랑이처럼 보인다 하여 예전부터 호랑이와 관련된 전설이 많았다. 전설에 따르면 주민들이 인왕산에 사는 호랑이 때문에 해가 저물면 사람이 문밖을 나가지 못했다고 한다. 이에 어떤 고을의 군수가 자진해서 호랑이를 잡겠다고 나섰다. 군수는 부적을 통해 늙은 스님의형상을 하고 있던 호랑이를 불러 데려와 압록강 건너로 떠나라고 말했다. 군수가 스님에게 본 모습을 보이라 하자 집채만 한 호랑이로 변하여서울을 떠났다는 이야기다. 이러한 전설을 바탕으로 황학정을 지나 인왕산으로올라오는 길에 금색으로 된 호랑이 동상을 세웠으니 하산 시에 호랑이 동상을 찾아가보자. [인왕산] 찾아가는 길: 3호선 독립문역 2번 출구에서 인왕산 출발지점까지 도보 10분 문의: 02-2148-2835(인왕산 도시자연공원) 등산코스: 독립문역 -> 인왕산 범바위 -> 인왕산 정상 일출 스폿: 인왕산 범바위(독립문역에서 범바위까지 약 20~25분 소요) [호암산-호압사] 한양 천도와 태조 이성계의 전설이 깃든 곳 호암산은 관악산 서쪽 끝에 있는 해발 393m의 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따르면금천 동쪽에 있는 산의 우뚝한 형세가 범이 움직이는것 같은 형세고,산에는 험하고 위태한 바위가 있어 호암(虎巖)이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호암산 깃대봉에서 본 일출 금천구에서는새해 첫 일출 맞이 행사를 호암산에서 진행하며 정상에 도착해관악산 너머로 떠오르는 해돋이를 감상한다.해발고도가 낮아 일출이 화려한 편은아니지만, 호암사 뒤편으로 이어진 비교적짧은등산코스를 통해 해돋이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호암산 중턱의 호압사에서 등산을 시작해 데크 계단을 따라 오르다 보면 정상으로 가는 길과 호암산성으로 가는 갈림길이 나온다. 정상을 향해 길을 잡고 암반구간을지나면호암산의 정상인 민주동산 국기봉이 나온다. 돌무더기들이 널려 있고 가장 높은바위에 세워진 국기봉에서 펄럭이는 태극기를 볼 수 있다.관악산능선에서 해가 떠오르기에일출 예정 시간보다 10여 분 정도가 지나야 해돋이를 볼 수 있다. 해돋이 감상 후 왔던 길을 따라 호압사로 내려온다. 조선 초기, 태조 이성계와 관련된 호압사 창건 유래가 전해져 온다. 궁궐을 짓는 과정에서 어둠 속에서 몸의반은 호랑이고, 나머지 반은 형체를 알 수 없는 괴물이 나타나 눈에 불을뿜으며 궁궐을 무너뜨리고 사라졌다. 해뜨기전 호압사의 새벽 풍경 그날 밤, 태조가 상심하며 침실에 들었을때 한 노인이나타나 “한양은 좋은 도읍지로다”라고 말하며 남쪽에 있는 산봉우리를 가리켰다.노인은호랑이는 꼬리를 밟히면 꼼짝 못 하니 산봉우리밑에 사찰을 지으면 그 기운을 누를 수 있을 것이라 말하고 사라졌다. 이에 태조는 무학대사에게말을 전해 호압사를 건설하고 궁궐을 완성했다는 이야기다. 사찰 마당에 있는 500년 수령의 두 그루의 보호수가 전설 같은 이야기를 입증하는 증인처럼굳건한 모습으로 사찰을 지키고 있다. [호암산&호압사] -찾아가는 길: 1호선 독산역 1번 출구에서 금천01번 버스 탑승, 호압사입구 하차 후도보 약 10분 문의: 02-803-4779(호압사) 등산코스: 호압사 -> 데크 계단 -> 민주동산 -> 깃대봉 일출 스폿: 깃대봉(호압사에서 약 1시간 소요) [개운산] 호랑이가 사는 산 개운산은 안암동과 종암동, 돈암동을 잇는 산으로 성북구의 중심부에 있다. 해발은 134m에 불과하지만,소나무가 우거져 한낮에도 빛이 들어오지않을 정도로 어두워 호랑이가 사는 산이라 불렸다. 개운산 자락 아래에는 고려대학교가뿌리를 내리고 호랑이를 상징 동물로 삼고 있어 고려대학교 생들을 안암골 호랑이라는 애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개운산에 실제 호랑이가살고 있지는 않지만, 호랑이 이야기가 우리 곁에서 머무는 공간인 셈이다. 개운산에서 바라본 일출의 모습 성북구는 개운산 입구부터 마로니에 마당까지 이르는 1km 구간을 장애인의편의와안전을 배려에 무장애 길로 만들었다. 성북구의회를 지나 산책로 안으로 들어서면 ‘산마루 북카페’가 나온다. 산림욕을 하면서 책을 읽을 수 있는 숲속 도서관 형태의 야외 공간이다. 배치된 의자나 평상에 앉아 책을보거나 잠시 눈을 감고 편안한 자세를 취하며 쉬어가기 좋다.따로정상부가 없는 산이지만 성북구의회 위쪽 높은 지대에 조성된 운동장에 가면아파트 단지 뒤로 길게 늘어선 북한산과 도봉산의 능선을 감상할 수 있다. 장애인을 위해 조성한 무장애 산책로 하산 길에는 산자락에 자리한 개운사에 들러보자. 태조 이성계의왕사였던 무학대사가 동대문 5리밖에 영도사를 지었다. 시간이 흘러 조선 후기에 와서 고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 영도사에서 자랐는데, 왕위에 오른 후 ‘운명을 여는 사찰’이라는 의미인 개운사로 절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개운산] 찾아가는 길: 6호선 고려대역 3번 출구에서 성북20번 버스 탑승, 성북구의회 정류장 하차 후 도보 약 7분 문의: 02-926-4069(개운사)
여행종합
[벨기에] 여름 플랜더스, 홈보트 글램핑 대세...15만원으로 보트 전체 이용
[벨기에] 여름 플랜더스, 홈보트 글램핑 대세...15만원으로 보트 전체 이용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지구촌 곳곳에서 다양한 캠핑이 인기를 더해가고 있다. 우리나라 캠핑 인구가 6 백만명이라는 어떤 통계가 보여주듯이 최근에 글램핑 파크가 곳곳에 세워지고, 차박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는 반면, 벨기에 플랜더스에서는 보트를 이용한 ‘홈보트 글램핑(Homeboat Glamping)’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홈보트 글램핑 (사진=플랜더스관광청) 물위에 떠있는 럭셔리 캠핑으로 불리는 ‘홈보트 글램핑’은 이름 그대로 모든 시설과 장비가 갖추어진 개별 보트와 고급스러운 야외 캠핑을 결합한 형태다.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꾸며진 보트는 대부분 2 개 이상의 객실과 거실, 욕실, 냉장고를 포함한 각종 주방시설, 에어컨과 TV, 세탁기, 와이파이는 물론 주변을 감상할 수 있는 야외 테라스 등을 갖추고 있다. 보트 규모에 따라서 바비큐 시설과 수영장까지 갖추고 있는 홈보트도 있다. 홈보트 글램핑 홈보트글램핑 홈보트는 플랜더스 주요 도시내 항구나 아름다운 자연이 펼쳐진 근교 등 접근성이 편리한 곳에 정박된 스타일의 숙박시설로, 별도의 보트 운전 면허증은 필요하지 않다. 예약자가 보트 전체를 통째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족단위 여행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사생활 보호는 물론 요즘처럼 거리두기 휴가에 완벽한 숙박시설로 인기가 높다. 차를 가지고 오는 이용객을 위해 별도의 주차 공간도 제공한다. 홈보트글램핑 (사진=플랜더스관광청) 홈보트 글램핑은 비대면 시대에 맞게 체크인도 스마트록을 이용해 셀프로 할 수 있으며, 장기로 홈보트 글램핑을 하는 사람들을 위해 보트가 정박해 있는 항구에는 투숙자 전용 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스포츠 센터 등 다양한 편의 시설도 갖추고 있다. 무엇보다도, 반려동물의 시대에 맞춰서 반려동물도 홈보트 글램핑에 승선할 수 있다. 홈보트는 규모와 내부 시설에 따라 이용 요금이 다양하며, 평균적으로 하루에 약 10-15만원 정도면 이용할 수 있어 가성비 좋은 숙박시설로도 각광받고 있다.
여행종합
[대관령] 100년 된 금강소나무 숲...걷는 것 만으로도 치유와 힐링이 되는 곳
[대관령] 100년 된 금강소나무 숲...걷는 것 만으로도 치유와 힐링이 되는 곳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코로나19로 면역력을 강화하는 건강식품과 함께 인기를 끌고 있는 관광상품이 있다. 바로 숲치유 프로그램이다. 국립대관령치유의숲은 산림청 산하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이 운영하는 산림 복지시설이다. 1920년대에 씨앗을 산에 뿌려 조성한 금강소나무 숲이 장관이다. 울창한 숲에는 성격과 난도가 다른 8개 숲길(치유데크로드 포함)이 있다. 가장 편안하고 쉬운 코스는 쉼터와 명상 공간이 있는 ‘솔향기치유숲길’(1.1km)과 목재 데크가 깔린 ‘치유데크로드’(600m)를 이어서 걷는 것. 시원하게 뻗은 소나무 사이를 산책하고 울창한 숲이 내주는 그늘에서 쉬는 것만으로 힐링이 된다. 예약하면 산림치유지도사가 함께하는 맞춤형 산림 치유 프로그램도 체험할 수 있다. 9월 말까지 토요일 밤마다 시원한 숲의 소리와 향기, 바람을 오감으로 느껴보는 프로그램 ‘대관령숲, 별이 빛나는 밤에’(체험비 1만원, 예약 필수)가 이어진다. 국내 1호 자연휴양림인 대관령자연휴양림과 도보 여행길로 인기 높은 대관령옛길이 지척에 있다. 강문해변, 순긋해변, 사천해변 등 SNS 핫 플레이스를 비롯해 동해안 최고의 드라이브 코스로 꼽히는 헌화로, 복합 문화 공간 하슬라아트월드도 함께 둘러본다. 치유의 숲은 숙박 및 식당을 운영하지 않는다. 하지만 주변에 있는 대관령자연휴양림 및 인근 숙박시설과 식당을 이용하면 된다. 반경 1km 이내에 숙박시설 10곳과 식당 5곳이 있다.
여행종합
[미국] 술 한잔으로 떠나보는 미국 여행...버번 위스키, 와인, 맥주까지
[미국] 술 한잔으로 떠나보는 미국 여행...버번 위스키, 와인, 맥주까지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코로나19로 인해 해외 여행이 어려운 요즘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여행이 있다. 바로 음식과 술 그리고 영화로 떠나는 문화여행이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2,5단계 시행으로 인파가 몰리는 곳을 피해 실내에서 소소하게 즐기는 ‘홈술’ 문화가 주요한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관광청은 집에서 미국의 문화와 감성을 느낄 수 있는 미국 대표 주류를 추천했다. 미국의 대표 증류주 켄터키 ‘버번위스키’ 미국 켄터키주 동북부의 지명인 ‘버번(Bourbon)’에서 생산되는 위스키를 바로 ‘버번위스키’라 부른다. 옥수수를 주재료로 활용해 독특한 단맛을 가진 게 특징인 이 증류주는, 타 위스키와는 달리 매년 새 오크통(참나무통) 내부를 불에 그슬려 숙성시키기 때문에 바닐라 풍미마저 선사한다. 특히, 버번에서 숙성되고 있는 오크통의 수가 켄터키 주민들보다 더 많은 만큼 버번위스키는 이 지역을 상징하는 주류이다. 켄터키 위스키 배럴 (미국관광청) 국내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세계적인 켄터키산 버번위스키 브랜드로는 ‘짐 빔(Jim Beam)’, ‘메이커스 마크(Maker’s Mark)’, ‘우드포드 리저브(Woodford Reserve)’ 등이 있으며, 켄터키주로 여행을 가면 이들의 증류소를 둘러보며 다양한 위스키를 시음할 수 있는 ‘켄터키 버번 트레일(Kentucky Bourbon Trail)’이 있다. 뿐만 아니라, ‘내셔널 버번 헤리티지의 달(National Bourbon Heritage Month)’로 지정된 9월에는 버번 페스티벌이 ‘세계 버번의 수도’라 불리우는 바즈타운에서 매년 열려 해당 시기에 맞춰 여행하는 관광객들은 이 또한 즐길 수 있다. 이외에도, 켄터키주에는 세계에서 가장 긴 동굴로 유명한 ‘매머드 동굴 국립공원(Mammoth Cave National Park)’과 미국에서 가장 큰 인공 호수인 ‘켄터키 호(Kentucky Lake)’와 ‘바클리 호(Barkley Lake)’ 등도 위치해 여행객들은 광활하게 펼쳐진 자연경관마저 감상할 수 있다. 한편, 미국 증류주의 탄생지는 1792년 분리 독립하기 전까지 켄터키주를 품고 있던 버지니아주다. 버지니아주는 1620년 첫 번째 위스키 배치(batch)를 생산하였으며, 해당 주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매 9월을 ‘버지니아 스피릿츠의 달(Virginia Spirits Month)’로 기념하고 있다. 합리적인 가격과 좋은 품질을 자랑하는 ‘와인’ 미국 주류연초세무무역국(Alcohol and Tobacco Tax and Trade Bureau; TTB) 기준 2019년 미국 전체 와인 생산량 중 약 80%를 차지하는 만큼 대다수의 방문객들은 미국 와인의 대표 생산지로 캘리포니아주를 떠올린다. 하지만 워싱턴주, 오리건주, 버지니아주 등 다양한 지역에서도 우수한 품질의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특히 워싱턴주의 와인 산업은 최근 비약적으로 발전해 캘리포니아에 이어 미국 2위 와인 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 프랑스 고급 와인 생산지인 보르도와 비슷한 위도 선상에 위치해 포도 재배에 적합한 최상의 지리학적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꼽힌다. 워싱턴주의 포도밭 워싱턴주의 ‘컬럼비아 밸리(Columbia Valley)’는 캘리포니아주의 ‘나파 밸리’를 위협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곳의 대표 와이너리인 ‘샤또 생 미셸(Chateau Ste. Michelle)’의 와인은 세계적인 와인 전문지 ‘와인 스펙테이터(Wine Spectator)’에서 발표하는 ‘올해의 100대 와인’에 다수 선정될 만큼 뛰어난 품질을 자랑한다. 워싱턴주는 우리나라에서도 잘 알려진 북서부 최대 도시인 시애틀을 품고 있다. 아시아에서 출발할 시, 최단 거리에 위치해 ‘미국의 게이트웨이(Gateway)’로 통하는 시애틀에서는 1962년 세계 박람회 유산인 높이 185.5m의 ‘스페이스 니들(Space Needle)’과 미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파머스 마켓인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Pike Place Market)’ 등을 만나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스타벅스 1호점 또한 마켓 근처에 위치해 쉽게 방문할 수 있다. 대중적인 브랜드부터 크래프트 맥주까지 취향대로 골라 마시는 ‘맥주’ 국내에서 만나볼 수 있는 대표적인 미국 맥주 브랜드로는 미주리주의 ‘버드와이저(Budweiser)’, 일리노이주의 ‘구스아일랜드(Goose Island)’ 및 ‘쿠어스(Coors)’, 하와이주의 ‘코나 브루잉(Kona Brewing)’, 매사추세츠주의 ‘사무엘 아담스(Samuel Adams)’ 등이 있다. 시카고맥주 이 중 수제 맥주 업계 역대 최단기간에 전국 주요 5대 편의점에 제품을 입점하며 국내 소비자들의 관심을 꾸준히 받고 있는 구스 아일랜드는 미국 중서부에 있는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사랑한 맥주 브랜드로도 유명하다. 뿐만 아니라 시카고에는 저칼로리 맥주 ‘밀러 라이트’, 특유의 상큼한 오렌지 향이 매력적인 ‘블루문’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글로벌 맥주 회사인 ‘몰슨 쿠어스 베버리지 컴퍼니(Molson Coors Beverage Company)’의 본사 또한 위치하고 있어 ‘맥주 덕후’들의 발길을 모으고 있다. 시카고는 다양한 즐길 거리와 먹거리로 여행객들의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국 3대 도시 중 하나이다. 대표 관광 명소로는 도심 속 공원인 ‘밀레니엄 파크(Millennium Park)’, 미국의 3대 미술관인 ’시카고 미술관(The Art Institute of Chicago)’ 등이 있으며, 다수의 미슐랭 레스토랑을 비롯해 도시의 명물인 딥디쉬 피자를 만나볼 수 있어 여행객들 사이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미국 관광청 한국사무소의 김은미 대표는 “코로나19로 인해 해외여행이 어려운 지금, 소비자들이 한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미국 주류를 소개하고자 한다”라며 “이를 통해 집에서 미국 각지의 향과 맛을 느끼며 다양한 주류의 본고장인 미국을 간접적으로라도 여행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여행종합
[제주도] 디아넥스 호텔...아라고나이트 온천여행
[제주도] 디아넥스 호텔...아라고나이트 온천여행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전세계 여행이 중단된 지금 국내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함께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태원 집단감염으로 제2의 신천지사태가 우려되면서 한동안 해외 여행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해외여행의 아쉬움을 세계적 휴양지이자 동양의 나폴리라 불리는 제주도에서 특별한 온천여행을 즐기면 어떨까? 핀크스리조트는 요즘처럼 여행이 어려운 시간에 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온천상품을 제안했다. 핀크스리조트가 운영 중인 디아넥스 호텔에서 만날 수 있는 아라고나이트 온천은 제주 유일의 고온천이다. 해발 480m높이에 건축된 디아넥스 호텔은 3층의 높이로 안정감을 극대화 했다. 디자인도 제주의 감성을 간결하게 담아낸 컨템포러리 호텔이다. 어떤 각도에서 봐도 아름다운 풍경이 펼쳐지는 이곳은 안락하면서도 기능적인 객실, 확 트인 전망을 자랑하는 수영장, 아라고나이트 고온천 스파를 비롯하여 최상의 시설을 자랑하는 컨퍼런스룸, 북카페, 스포츠홀, 편의점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호텔 입구에서부터 유명 작가들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어 마치 미술관에 온 듯한 느낌을 받는다. 특히, 아라고나이트 온천은 심신이 지친 사람들에게 그만이다. 개인이나 친구끼리 혹은 가족들이 다 함께 이용해도 후회없이 힐링할 수 있는 온천이다. 디아넥스의 다양한 편의시설 중 아라고나이트 온천은 코로나19 때문에 재충전이 필요한 사람을 위해 안성맞춤이다. 아라고나이트(Aragonite) 온천은 심도 2001.3m에서 용출되며 온도는 42.2~75도 이다. 제주대 방사능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150년전 순수한 물이 화산섬 제주의 중심으로 서서히 내려가면서 각종 미네랄을 함유한다. 이렇게 수 억년 전 형성되어 300만년 전에 모양을 갖춘 지하 화강암 위에서 심층 고온천이 된다. 주 성분은 나트륨(칼슘, 마그네슘) 탄산천으로 당 현종과 양귀비가 목욕을 즐긴 서안온천과 유사하다. 탄산수소염천에 속하며 온천 중 치유에 탁월한 효과 아라고나이트 온천이 조명 받는 이유는 나트륨(Na), 칼슘(Ca), 마그네슘(Mg)의 3종류 성분이 같게 함유 되어있는 탄산수소염천에 속하기 때문이다. 이런 성분은 신경통, 근육통, 관절통, 오십견, 타박상, 만성소화기질환, 피부미용 및 피부노화방지에 효능이 있다. 그래서 입욕 시 모세혈관의 확장으로 피부혈류를 증가시키고 신진대사가 활발해져 피로회복 및 병의 예방, 치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아라고나이트 온천은 ‘제주도에는 온천부존 가능성이 없다’라는 정설을 뒤집고 2001년 처음으로 발견된 고온천이다. 양질의 고온천으로 공식 인정을 받아 지질학계에서도 획기적인 사건으로 화제가 된 바 있다. 세계 최고의 지질학자에게 의뢰하여 분석한 결과, 아라고나이트 심층 고온천은 온천의 꽃으로써 가장 뛰어난 성질을 가진 가치 있는 온천임을 입증 받았다. 한편, 핀크스 리조트의 디아넥스 호텔은 세계적인 온라인 호텔 예약사이트인 호텔스닷컴이 2019 가장 사랑받는 호텔 어워즈(Loved by guests)에서 9.4점으로 선정했다. '가장 사랑받는 호텔 어워즈'는 약 2900만 건의 고객 평점 및 실제 이용후기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전 세계 호텔 및 숙박시설들을 엄선해 소비자들에게 소개해 오고 있다. 디아넥스는 짧은 운영기간에도 불구하고 특급호텔 수준인 9.4점으로 고객에게 가장 사랑받는 호텔로 선정 되었다. 디아넥스호텔의 THEANNEX Restaurant에서 최상급 한우로 제공되는 특선샤브샤브와 다채로운 메뉴들을 즐길 수 있다. 아름다운 제주의 풍광과 호수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레스토랑 뷰(View)가 이국적인 정취를 풍긴다. 레스토랑은 60석 규모의 홀과 소연회 모임에 적합한 프라이빗 다이닝룸 시설도 갖춰져 있다.
여행종합
[경기] 연천 전곡선사박물관...원시 생명체와 우주선을 결합한 공간
[경기] 연천 전곡선사박물관...원시 생명체와 우주선을 결합한 공간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전곡선사박물관은 동북아시아 최초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발견된 연천 전곡리 유적(사적 268호)에 위치한다. 국제 설계 공모를 거쳐 완공된 건물은 원시 생명체와 우주선을 결합한 모양새다. 전곡선사박물관은 동아시아 최초의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발견으로 세계 구석기 연구의 역사를 다시 쓰게 만들었던 역사적 현장인 전곡리 구석기유적에 건립된 유적박물관이다. 경기도는 세계적인 문화유산이자 국가사적 제268호로 지정보호 되고 있는 전곡리 유적의 영구적인 보존과 활용을 위해 오랜기간 전곡선사박물관의 건립을 추진해 왔다. 박물관은 상설전시실, 고고학체험실(인터스코프), 3D영상실 등을 갖췄고, 아이부터 어른까지 즐길 만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전곡 구석기나라 여권’을 이용해 본인의 얼굴과 선사시대 인류의 얼굴을 합성해보는 체험은 아이들의 취향을 저격한다. 상설전시실에서는 금방이라도 살아 움직일 듯 정교한 모형으로 인류의 진화 과정을 소개한다. 고고학체험실에서 고인류 VR, 냉동 미이라 ‘외찌’ 체험도 즐겨보자.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월요일과 1월 1일, 설날·추석 당일은 휴관한다. 관람료 무료. 박물관 관람 후 시간이 된다면 선사시대 유적이 많은 한탄강과 임진강 물줄기 따라 여행을 이어가면 좋다. 다양한 휴양 시설을 갖춘 한탄강관광지, 하수종말처리장을 공원으로 꾸민 임진물새롬랜드, 고구려의 독특한 축성 방식을 보여주는 연천 당포성(사적 468호), 고려조 네 왕의 제사를 지내던 연천 숭의전지(사적 223호) 등 볼거리가 풍성하다.
여행종합
[강진] 고려청자박물관...청자범종 등 유물 800여점 전시해 파란만장한 역사 담아낸 공간
[강진] 고려청자박물관...청자범종 등 유물 800여점 전시해 파란만장한 역사 담아낸 공간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고려청자박물관은 세계에서 청자를 가장 먼저 만든 중국인마저 천하제일이라 칭송한 고려청자의 파란만장한 역사를 고스란히 담아낸 공간이다. 2층 상설전시실에는 9세기 청자완, 12세기 청자상감여지문대접, 13세기 청자퇴화연국문과형주자, 상감청자가 쇠퇴해 분청사기로 변모해가는 14세기 청자상감용문매병 등이 시대별로 전시된다. 참외 모양 청자퇴화연국문과형주자는 황토와 백토를 붓에 묻혀 문양을 넣은 흔치 않은 작품이다. 청자범종과 청자인장 등 강진 고려청자 요지에서 출토된 유물 800여 점을 전시한 공간도 볼 만하다. 연꽃, 국화, 모란 등 청자가 품은 아름다운 꽃문양과 명문(銘文)이라 부르는 표식 등을 소개한 1층 특별전시실과 기획전시실도 흥미롭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도자 체험은 나만의 고려청자를 만들어보는 시간이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오후 6시, 월요일에 휴관한다. 관람료는 어른 2000원, 청소년 1500원, 어린이 1000원(1월 1일, 설날·추석 연휴 무료). 조선 민화 200여 점을 전시한 한국민화뮤지엄과 다산 정약용의 흔적이 있는 강진 정약용 유적(사적 107호)도 놓칠 수 없다. 정약용 유적에서 2km 남짓 떨어진 다산박물관은 2012년 유네스코가 세계기념인물로 꼽은 다산 정약용의 강진 유배 생활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했다. 지역: 전남 강진군 대구면 청자촌길 문의 : 고려청자박물관 061)430-3755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㉚가지산(1241m)...수려한 계곡과 폭포로 유명한 영남알프스 주봉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㉚가지산(1241m)...수려한 계곡과 폭포로 유명한 영남알프스 주봉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영남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산은 가지산이다. 산행은 가지산 단독으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운문산과 함께 하는 코스가 일반적이다. 경상남도 밀양시, 울산시 울주군과 경상북도 청도군의 경계에 있는 가지산은 서남쪽으로 천황산과 이웃해서 태백산맥과 나란히 남단으로 매듭져 있다. 대한민국 화첩산행 30번째로 가지산을 소개하기 위해 새벽부터 부지런히 움직였다. 먼저 서울에서 석남사 주차장까지 달려가서 산행을 시작했다. [가지산 개요] 가지산은 태백산맥의 남쪽 여맥에 있는 산으로서 이 산에서 크게 세 방향으로 능선이 뻗어 있다. 백두대간 남단의 중심으로 `영남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1241m의 산이다. 가지산은 영남알프스의 맹주가 되는 산으로 울주군 상북면과 밀양시 산내면 및 청도군 운문면의 경계에 위치해 있다. 낙동정맥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단석산-백운산-고헌산-가지산-능동산-간월산-신불산-영축산-천성산-원효산으로 뻗어 내려오는데 있어 그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다. 197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수량이 풍부한 폭포와 아름다운 소(沼)가 많고, 천연기념물 224호인 얼음골과 도의국사 사리탑인 `8각운당형부도(보물 제369호)'가 보존되어 있는 석남사(石南寺)가 소재하는 점 등을 고려해 100 명산에 선정되었다. 가지산은 능선 곳곳에 바위봉과 억새밭이 어우러져 있고 전망이 좋으며 자연휴양림이 있다. 밀양강의 지류인 산내천과 무적천의 발원지이며, 심심계곡, 석남사골, 쇠점골 등 계곡과 쌍폭, 구연폭포, 구룡소폭포, 호박소 등이 유명하다. 가을에는 석남고개에서 정상에 이르는 억새밭이 어우러져 운문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로 능선을 따라 종주할 수 있다. 또한 기암괴석과 쌀바위는 등산객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산행코스] 왕복 5시간 약 10km (원점회귀) 석남사주차장-중봉-가지산정상-쌀바위-상운산-귀바위-운문령 갈림길-석남사주차장 [산행기] 산행은 석남사 주차장을 들머리로 가지산 정상을 향해 등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석남사 이외에도 운무사 석골사 등이 있지만 운문사는 코스가 너무 길어 지루하고, 석골사 쪽은 경사가 급한데다 둘러볼 것이 많기때문에 하산코스로 잡는 것이 적합하다. 석남사 주차장 부근에서 길은 두 갈래이다. 왼쪽 계곡은 쌀바위 밑으로 난 주능선이다. 정상까지 빠르게 오를 수 있는 지름길이다. 하산길에는 가지산의 명물인 쌀바위와 귀바위로 내려온다. 울산의 가지산은 계절에 따라 그 경관이 아름다워, '울산12경'중의 하나로 선정되어 있다. 또한 오랫동안 비구니 도량으로 손꼽히는 석남사를 품고 있는 산이다. 석남사는 불자가 아니어도 마음의 평온을 얻어가는 곳이라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가지산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기암괴석이 많은데서 석남산으로 되어 있다. 현재의 명칭은신라 흥덕왕시대 전라남도 보림사에서 가지산서라는 중이 와서 석남사를 지었다하여 부른 것이다. 가지는 까치의 옛말 ‘가치’를 나타내는 이름으로 본다. 가지산도립공원의 내원사지구는 천성산과 원효산으로 자연경관이 빼어나다. 내원사는 두 산의 사면(斜面)이 맞닿아 이루어진 계곡 안쪽에 자리하는데, 길이 약 6km의 계곡은 기암괴석과 그 사이를 흘러내리는 맑은 물이 장관이며 활엽잡목의 울창한 숲 등이 아름답다. 가지산 도립공원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해 각각 통도사(通度寺) ·내원사(內院寺) ·석남사(石南寺) 등의 사찰을 기준으로 통도사지구 ·내원사지구 ·석남사지구로 나뉘어 각각 독립된 지구를 이룬다. 먼저 통도사지구는 통도사를 기준으로 영취산 일대 지구를 말한다. 통도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고찰로 한국 3대 거찰(巨刹)의 하나이다. 영취산 일대에는 통도사에 딸린 12개의 암자가 산재하며 비로폭포가 있다. 내원사지구는 천성산 ·원효산이 이루는 지구로 자연경관이 빼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내원사는 통도사의 여승의 절로 경내에 사적 2점이 있다. 원효산은 그 정상부에서 동해를 조망하기 좋은 산으로, 산중에 유서 깊은 원효암과 홍룡사 등이 있고, 특히 그 남서쪽 계곡에 있는 홍룡폭포는 이름난 명소로 그 경관이 뛰어나며, 계곡 입구에는 주변 조망이 훌륭한 가홍정이 있다. 석남사지구 가지산은 경북 청도군과 울산 울주군 및 경남 밀양시의 경계를 이루는 준봉으로 밀양강의 발원지이며 남쪽으로 천황산과 이웃한다. 이 산 남쪽의 밀양강 상류를 이루는 산내천 하곡부에는 한여름에도 얼음이 언다는 얼음골이 있고, 산중의 홍류폭포는 관광명소로 유명하다. 석남사는 가지산 동쪽 기슭에 있는 절로, 석남사 부도, 3층석탑 등이 있고, 단풍 ·노송 등 수림경관이 훌륭하다. 4계절 중 가을에 찾아오면 아름다운 단풍과 노송에 쌓였던 스트레스가 사라지고 마음에 여유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주차장에서 중봉을 향해 오르는 동안 가지산 119번 위치이정표와 멋진 소나무가 위치한 공터가 나온다. 여기에서 20분쯤 올라가자 조망이 트였다. 경사가 제법 있는 바윗길을 타고 오르면서 주변 조망을 감상하고 5분 정도 더 올라가자 가지산 정상으로 향하는 주능선이 나타난다. 주능선에서 오른쪽 가지산 정상 쪽으로 10분쯤 올라가자 등산로 오른쪽으로 살짝 벗어나서 석남사가 눈에 들어온다. 등산로 오른쪽 전망바위에서 석남사와 주변을 조망하고 조금 더 올라가자 조망터가 나온다. 여기서 중봉과 가지산 정상 그리고 쌀바위까지 시야에 들어온다. 가지산 쌀바위 암릉이 멋지게 보인다. 옛날에 간이 대피소가 있던 조망지점에서 5분 정도 더 올라가자 왼쪽에 대피소가 보이면서 길고 긴 나무계단이 시작된다. 지루한 나무계단을 끝까지 올라간 후 다시 등산로를 따라서 10분 정도 더 올라가면 쌀바위와 상운산, 가지산 정상이 눈앞에 나타난다. 쌀바위와 가지산 정상을 감상하고 10분쯤 더 올라가자 마침내 중봉(1165m)이다. 중봉 정상의 바위에 올라서자 바로 눈앞의 가지산을 비롯해 고현산, 신불산, 재약산과 천황산, 백운산(891m) 등 영남알프스 풍경이 시원하게 조망되었다. 중봉에서 6분 정도 안부로 내려가서 다시 20분쯤 올라가자 가지산 정상(1241m)이다. 가지산 주차장에서 시작해 가지산 정상까지 산행시간은 모두 2시간 20분 정도 소요되었다. 가지산 정상에 오르면 탁 트인 시야가 반긴다. 날씨가 좋으면 울산시내와 주변의 준봉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특히 가지산 정상 주변에는 암릉이 많다. 남쪽으로 간월산(1069), 신불산(1159), 영축산(1081), 천황산(1189), 북쪽으로 문복산(1014), 고헌산 (1034)을 포함한 영남알프스 1000m 이상 되는 영봉들이 사방으로 눈에 들어온다. 가지산 정상에는 표지석이 2개 세워져 있다. 정상에서 아래로 가지산 북봉(1125m)이 눈에 잡히고 고헌산과 오른쪽 멀리 문수산과 남암산이 보인다. 가지산 정상에는 중봉과 간월산, 신불산, 영축산이 보인다. 진행방향으로 보이는 쌀바위와 상운산도 시야에 들어온다. 정상에서 조망을 즐기고 쌀바위 방향으로 하산을 시작한다. 가지산 정상에서 13km 이정표를 따라 15분 정도 내려가서 헬기장을 지나 8분 정도 더 내려가자 쌀바위에 도착했다. 억새물결이 장관이다. 쌀바위에서 바라본 신불산도 멋진 자태를 뽐낸다. 쌀바위는 옛날에 끼니때마다 항상 한 사람 분량의 쌀이 나왔다고 해서 이름이 붙었다. 쌀바위가 시작되는 임도를 따라서 13분 정도 진행하면 임도 한가운데 헬기장과 전망대에 도착한다. 전망대에서 멀리 울산과 문수산 언양읍, 신불산을 조망하고 상운산으로 올라간다. 상운산에 올라서서 북쪽 옹강산(831), 문복산(1014)을 비롯해 멀리 경주 단석산까지 조망해 본다. 바위 절벽을 조심스럽게 타고 상운산 정상을 내려가서 다소 험한 길을 7분쯤 진행하자 귀바위 정상에 도착했다. 귀바위 꼭대기에서 16분쯤 계속 내려가자 전망대에서 보았던 임도와 다시 합류하였다. 임도에서 가파른 산길을 10분 정도 하산하자 운문령과 석남사 갈림길에 이른다. 운문령 방향의 임도에서 오른쪽으로 석남사로 35분 정도 하산하자 처음 산행을 시작한 석남사에 도착했다. 하산 후 등산을 시작하면서 지나쳤던 석남사를 둘러보며 5시간 남짓 가지산 산행을 마친다.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㉙내연산(930m)...40리 청하골이 품은 12폭포로 유명한 포항의 허파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㉙내연산(930m)...40리 청하골이 품은 12폭포로 유명한 포항의 허파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포항 내연산은 여름산행지로 적격이다. 산과 계곡, 바다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여름 등산의 3박자를 모두 갖춘 산행지이기 때문이다. 특히 청하골이 품은 12폭포 계곡산행에 화진, 월포, 칠포, 도구, 구룡포 등 5개 해수욕장이 지척이라 산행을 마치고 해수욕을 하기좋다. 하지만 나는 단풍이 들면 사람으로 하여금 가슴을 울렁이게 한다는 11월 중순에 다녀왔다. 능선에는 낙엽이 계곡에는 단풍이 남아 있었다. 서울에서 내연산까지 약 5시간이 걸리는 장거리 여행이지만 오랫동안 준비한 산행이라 저녁 11시 출발하는 산악회 버스에 몸을 실었다. 들머리 보경사주차장에 도착한 시간은 새벽 4시 30분. 아직 여명이 찾아오기 직전이라 주위는 어둠이 더 많았다. [내연산 개요] 내연산(內延山)은 경상북도 포항시와 영덕군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원래는 종남산으로 불렸다. 신라 진성여왕이 이 산에서 견훤의 난을 피한 뒤에 내연산이라 개칭한 후 오늘에 이르렀다고 한다. 동해안에 있는 산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남북으로 이어진 산줄기의 동쪽 급경사에 계곡이 만들어져 빠른 물줄기로 인해 암반이 드러나도록 깊게패인 계곡미가 절경이다. 내연산도 동해안 산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내연산의 최고봉은 향로봉(930m)으로 정상에는 표지석이 있고 넓은 공터에서의 동해 조망이 뛰어나다. 향로봉 정상에서 계곡입구 보경사까지 반달모양의 긴 능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주능선은 바위가 없는 부드러운 흙산이다. 울창한 수림 사이로 걷는 느낌이 푹신할 정도로 좋다. 영화 [가을로]의 한 장면이 12폭포 중 연산폭포에서 촬영되었다. 또한 포항의 허파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내연산은 조선 후기 산수의 아름다움을 화폭에 담았던 겸재 정선이 내연산을 찾은 후 그렸다는 3층 폭포 삼용추(三龍湫)로 유명한 곳이다. 당시 겸재는 금강산보다 더욱 아름다운 경관이라 말했다고 한다. [산행코스] 내연산군 향로봉 / 930m 보경사주차장 → 보경사 → 문수암 → 문수봉 → 삼지봉 → 향로봉 → 고메이등 → 12폭포-시명폭포 → 은폭포 → 관음폭포 → 연산폭포 → 무풍폭포 → 잠룡폭포 → 삼보폭포 → 보현폭포 → 상생폭포 → 보경사 → 보경사주차장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20.75km(8시간) 삼지봉까지 6.41km(2시간) + 향로봉까지 4.40km(1시간 30분) + 하산 9.94km(4시간 30분) 보경사주차장(04:31) → 2.69km → 문수암(05:21) → 1.34km → 문수봉(06:10) → 2.38km → 삼지봉(06:36) → 4.4km → 향로봉(08:00) → 2.09km → 시명폭포(09:18) → 2.86km → 은폭포(10:30) → 1.2km → 연산폭포(11:11) → 1.17km → 상생폭포(11:45) → 1.53km → 보경사(12:11) → 1.09km → 보경사주차장(12:30) [산행기] 보경사 주차장에서 상쾌한 새벽공기를 마시며 산행을 시작했다. 보경사는 602년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신라 지명법사가 진평왕에게 '동해안 명산에서 명당을 찾아 자신이 진나라의 도인에게 받은 팔명보경을 묻고 그 위에 불당을 세우면 왜구의 침입을 막아 이웃 나라의 침입도 받지 않으며 삼국을 통일할 것'이라고 전하였다. 그러자 진평왕은 지명법사와 함께 내연산 아래에 있는 큰 못에 팔면보경을 묻고 못을 메워 금당을 건립하고 보경사라 했다고 한다. 보경사에서 문수암까지 쉬지 않고 걸었더니 약 1시간이 채 못 걸렸다. 문수암에서 다시 문수봉(628m)까지는 40분 정도 걸리는 산행이다. 6시가 넘어서 해가 올라오는지 주위가 밝아지기 시작한다. 문수봉까지 좀 더 힘을 내서 올라갔더니 6시 10분이다. 내연산은 해안 가까이에 솟아올라 있어 내륙의 엇비슷한 높이의 산보다는 휠씬 더 높고 우뚝해 보인다. 이 내연산 자락을 굽이굽이 감돌며 40리 가량 흘러내리는 골짜기가 바로 청하골이다. 삼지봉(710m), 문수봉(628m), 향로봉(930m), 삿갓봉(718m), 천령산(775m)등의 높직한 준봉들이 반달모양으로 둘러져 있어서 청하골은 여느 심산유곡 못지않게 깊고 그윽하다. 특히 이곳에는 폭포와 소(沼)가 많기도 하거니와 이곳처럼 다양한 형태의 폭포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곳도 달리 찾기가 어렵다. 계곡 양안의 깎아지른 절벽사이로 12개의 폭포가 차례로 걸려 있는 내연산 12폭포는 경북8경의 으뜸이다. 게다가 푸른 동해와 명산 그리고 시원한 계곡과 천년고찰 보경사를 둘러볼 수 있어서 산행의 묘미가 더해진다. 계곡입구에 들어서자마자 계곡의 아름다움과 시원한 물소리가 정신을 맑게 해준다. 바위가 없어서 내연산 삼지봉을 지나 향로봉까지 걷는 동안 그러게 힘들다는 생각은 안들었다. 대부분의 명산이 그러하듯 내연산 계곡입구에도 고찰 보경사와 그 부속암자인 서운암, 문수암 등이 자리하고 있다. 보경사는 723년(신라 성덕왕 22년)에 일조대사가 인도에서 가져온 8면경을 묻고 세웠다고 전해지는 절로, 경내에 보물로 지정된 원진국사비, 5층석탑 등의 문화유적이 많다. 또한 경내에 사명대사의 금당기문과 숙종 어필의 각판이 보관되어 있다. 보경사를 지나면서 절정을 이루는 계곡은 경북의 금강산이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아름다운데, 상생폭·관음폭·연산폭 등 높이 7∼30m의 12개의 폭포와, 신선대·학소대 등 높이 50∼100m의 암벽과 깊이를 알 수 없는 수십여개의 담과 기암괴석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등산로는 계곡을 따라 정상에 이르거나, 능선을 따라 정상에 이르는 두가지 경로가 대표적이다. 능선길은 보경사를 지나 계곡을 따르다 문수암을 지나 우측으로 오르다 능선을 만나 문수봉을 경유해 계속 오르면 내연산에 도착한다. 일반적인 등산로는 내연산을 지나 좌측으로 내려서 연산폭을 경유해 보경사로 내려서는 경로이다. 산행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라면 내연산에서 능선을 타고 향로봉까지 올랐다가 급경사 계곡길로 내려서서 수많은 폭포와 담을 감상하며 하산하는 경로를 따르면 된다. 내연산은 힘들더라도 향로봉까지 오르는게 좋다. 청하골은 천년고찰 보경사(寶鏡寺)에서부터 시작된다. 제1폭포인 상생폭포는 보경사에서 등산로를 따라가면 나온다. 그리 우람하지는 않지만 두물길이 양옆으로 나란히 떨어지는 모양이 단아하기 그지없다. 이 폭포를 지나면 잇따라 보현폭포(제2폭포) 삼보폭포(제3폭포) 잠룡폭포(제4폭포) 무봉폭포(제5폭포)가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잠룡폭포 주변의 골짜기는 영화 ‘남부군’의 한 장면, 곧 지리산의 어느 골짜기에 모인 남부군 대원들이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모두 발가벗고 목욕하는 장면을 촬영한 곳이기도 하다. 청하골의 열두 폭포 가운데 가장 경관이 빼어난 곳은 관음폭포(제6폭포)와 연산폭포(제7폭포) 언저리이다. 쌍폭인 관음폭포 주변에는 선일대, 신선대, 관음대, 월영대 등의 천인단애가 장성처럼 둘러쳐져 있고, 폭포수가 만들어 놓은 못 옆에는 커다란 관음굴이 뚫려 있다. 이 굴 안쪽으로 들어가면 한쪽입구를 가린 채 떨어지는 폭포수 줄기를 볼 수 있다. 관음폭포 위에 걸린 적교(吊橋·구름다리)를 건너면 높이 30m, 길이 40m에 이르는 연산폭포의 위용이 눈에 들어온다. 이는 청하골에서 가장 규모가 큰 폭포인데, 학소대라는 깎아지른 절벽 아래로 커다란 물줄기가 쏟아지는 광경에는 탄성이 절로 나온다. 관음폭포 앞쪽 암벽의 벼룻길을 지나 다시 15분 가량 물길을 따라가면 또하나의 폭포를 만나게 된다. 이 폭포는 숨겨져 있다고 해서 은폭(隱瀑)이라 하는데, 가지런한 물줄기가 시퍼런 소(沼)로 떨어지는 모습이 사람들의 마음을 차분하게 해준다. 이곳 위쪽으로도 시명폭 제1복호폭 제2복호폭 제3복호폭이 이어지지만, 시간이 없다. 지금까지 보아온 8개의 폭포만으로도 내연산 청하골의 진면목은 충분히 실감할 수 있다. 관음폭 앞 계곡을 건너 가파른 계단을 따라 350m정도 올라가면 선일대(仙逸臺) 암봉에는 2015년 년말에 전망대가 세워졌다. 이곳은 ‘신선이 학을 타고 비하대(飛下臺)에 내려와 삼용추(三龍湫)를 완성한 후 이곳 선일대에 올라와 오랜 세월을 보냈다’고 전해지는 곳이다. 조선말엽 영조(英祖)9년인 1733년 봄부터 1735년 5월까지 청하현감을 지낸 겸재(謙齋) 정선(鄭敾)이 이곳 일대를 그림으로 남겨 진경산수(眞景山水) 화풍을 완성시킨 곳이기도 하다. 이곳에서 능선쪽으로 20m떨어진 곳에 암자 선열암(禪悅庵)이 있고 지금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내리막길이 끝나는 지점에 바로 계곡이 펼쳐진다. 계곡 길을 따라 걸으면서 일행들이 쉴 수 있는 넓고 물 좋은 곳을 찾아 아침 내내 흘린 땀을 식힌다. 장마가 일찍 끝나고 비가 오지 않아 물이 깊지 않으나 더위를 식히며 잠시 장난꾸러기 아이가 되기에는 충분하다. 그렇게 폭포와 계곡을 구경삼아 내려오다 제1 폭포인 상생폭포를 만난다. 문수봉으로 오를 때는 특별히 감흥이 없었는데 하산 길에 다시 보니 느낌이 사뭇 다르다. 두 줄기 폭포가 나란히 사이좋게 흘러내리며 그리는 풍경이 눈에 쏙 들어온다. 휴식시간 포함해 8시간이 되는 산행을 마치고 다시 보경사에 도착한다. 오르는 길에 계곡 소리로 반겼던 보경사는 하산 길에는 잘 자란 적송의 푸르름으로 마음을 즐겁게 해준다.
여행종합
[제주]  제주허브동산, 12월부터 제주도 ‘동백꽃 축제’ 개최
[제주] 제주허브동산, 12월부터 제주도 ‘동백꽃 축제’ 개최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제주도 표선면에 위치한 제주허브동산에서 12월 1일부터 2020년 1월 15일까지 동백꽃 축제를 연다. 이 기간 동안 애기동백, 사상동백, 토종동백 등 다양한 종류의 동백꽃이 제주허브동산을 붉게 물들일 예정이다. 특히 100그루 이상의 애기동백으로 조성된 애기동백숲은 다른 관광지와는 차별된 모습을 보여준다. 애기동백은 사람 키보다 약간 큰 정도로, 다른 동백나무보다 작고 아담하다. 빽빽하게 심어진 애기동백들은 타 관광지와는 다른 포토존을 만들어준다. 또한 야외에서만 관람이 가능한 다른 동백 군락지와는 달리 제주허브동산에서는 다양한 실내 공간이 존재한다. 몸을 녹일 수 있는 아로마테라피 찜질방, 6가지 허브제품을 사용하는 족욕체험, 허브차 무료 시음이 가능한 보타니카170 카페 등 추위를 피할 수 있는 부대 시설이 있어, 야외 관람으로 언 몸을 따뜻하게 녹일 수 있다. 한편 제주허브동산은 2016년 약 500만개 이상의 조명 설치로 새롭게 단장한 후 제주도 야간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운영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이며, 족욕체험은 오전 10시 20분부터 오후 6시까지 가능하다. 또한 당일에 한해 재입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낮에는 꽃구경 밤에는 야경을 즐길 수 있다.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㉗감악산(675m)...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수천년 이어져 온 전장터이자 '경기 오악'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㉗감악산(675m)...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수천년 이어져 온 전장터이자 '경기 오악'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서울에서 한시간 거리에 있는 파주 감악산은 소위 엎어지면 코 닿을만큼 가깝지만 산행을 하지 못했다. 가깝다는 핑계로 언제든지 갈 수 있을 것 같아서 차일피일 미룬 게 독이 되었다. 그러다 겨울이 오기 전에 서둘러 배낭을 메고 감악산으로 향했다. 거리는 7.57km로 산행시간은 3시간 30분 정도 걸렸다. 감악산 정상은 675m밖에 안되는 작은 산이지만 바위산으로 오르막이 험하다. 지역 주민들에게는 감박산으로 더 잘 알려져 있고 《고려사》나 《동국여지승람》에는 감악으로 표기되어 있다. 또한 감악산은 한북정맥의 한강봉과 지맥을 이루고 있고 개성의 송악산, 안양의 관악산, 포천의 운악산, 가평의 화악산과 더불어 경기 5악에 속하는 폭포, 계곡, 암벽 등을 고루 갖춘 명산으로서 정상에선 임진강과 개성의 송악산 등이 두루 눈에 들어오며, 반대편 봉우리인 임꺽정봉의 산세 또한 수려하다. [감악산 개요] 감악산(紺岳山)은 경기도 파주시, 양주시, 연천군 사이에 있는 산이다. 예부터 바위 사이로 검은빛과 푸른빛이 동시에 쏟아져 나온다하여 감악(紺岳), 즉 감색 바위산이라 불렀다. 백두대간이 금강산을 향해 달리다가 분수령에서 서남쪽으로 뻗은 것이 한북정맥이며 한북정맥 양주에서 갈라져 적성 쪽으로 뻗은 산줄기가 감악산이다. 신라시대부터 무속의 신산 중 하나로 《태조실록》에 의하면 조선시대 궁중에서 이 산에 춘추로 별기은을 지냈다고 한다. 산 중에는 폐사되어 없어진 감악사가 있었는데 삼국시대 이래로 군사적 요충지로 아래로 칠중성의 토성이 쌓여 있었다. 이곳은 삼국시대부터 한반도의 지배권을 다투던 삼국간의 혈투장이었으며, 거란침입 때도 이곳에서 피를 흘리며 싸웠으며, 한국 전쟁 때도 고랑포 전투의 주 전장이었다. 현재에도 주변에 군부대가 있다. 이 산에는 범륜사를 비롯해, 수월사, 봉암사, 미타암 등의 절이 있으며, 중부 지방에서 주요한 신앙처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감악산 밑에 자리잡은 '산머루농원' 와이너리에 들르면 머루로 만든 달콤한 와인도 시음할 수 있다. 등산이 허용된 코스는 범륜사와 신암리, 원당리 쪽이다. 범륜사로 올라가는 등산로에는 운계폭로가 있고 중간 중간에 약수터가 있지만 갈수기에는 수질이 오염되어 식수로 사용할 수 없다. [감악산비] ‘진흥왕 순수비’ 설과 ‘설인귀비’ 설 주장 엇갈려 산 정상에는 비석 글자가 마멸된 감악산비가 있는데 북한산 순수비와 형태가 흡사하다 하여 ‘진흥왕 순수비’라고 주장하는 설과 당나라 장수 설인귀가 이 고장 출신이라는 점으로 미루어 ‘설인귀비’라는 속설이 각각 전한다. 또 이곳의 장군봉 바로 아래에는 임꺽정이 관군의 추격을 피해 숨어 있었다는 임꺽정 굴도 있다. [산행코스] 원점회귀 감악산 출렁다리 주차장 → 감악산 출렁다리 → 보리암 돌탑 → 악귀봉 → 통천문 → 장군봉 → 임꺽정봉 → 감악산 → 까치봉 → 묵은밭 → 범륜사 → 운계전망대 → 운계폭포 → 감악산 출렁다리 → 감악산 출렁다리 주차장 [산행기] 들머리 감악산 출렁다리 주차장(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 산 43, 만남의 광장)에서 감악산 산행을 시작한다. 감악산 출렁다리 주차장에서 감악산 출렁다리 방향의 계단을 올라간다. 출렁거리는 감악산 출렁다리를 건너면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약간 현기증이 느껴진다. 출렁다리를 건넌 후 직진하다 갈림길이 나온다. 여기에서 오른쪽의 청산계곡, 감악능선계곡길로 올라간다. 감악능선계곡길-청산계곡길 분기점에서 보리암돌탑, 정상 방향(감악능선계곡길)으로 올라간다. 오른쪽은 청산계곡길 부도골 쉼터로 가는 길이다. 갈림길에서 감악산, 보리암, 돌탑을 다녀와도 좋다 . 보리암은 작은 암자라서 법당이 없다. 보리암 돌탑과 보리암 용궁당을 본 후 악귀봉으로 올라간다. 악귀봉 정상에서 바라본 팔각정자, 감악산 정상, 장군봉, 임꺽정봉이 차례로 눈에 들어온다. 여기서는 또 불곡산, 도봉산, 북한산이 보인다. 악귀봉에서 내려와 통천문을 지난다. 조금 더 직진하면 봉우리가 나타난다. 바로 장군봉이다. 장군봉에서 바라본 임꺽정봉과 감악산 정상 송신탑이 보인다. 감악산 임꺽정봉(매봉재, 해발 676.3m)은 정상보다 더 높다. 이 봉우리는 감악산 부도골 북쪽 에 생긴 모양이 매와 비슷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현재 봉우리 밑에는 굴이 있으며 다섯 걸음을 들어가면 구덩이가 나오는데 컴컴해서 깊이와 넓이를 추측할 수 없을 정도라고 한다. 일명 음암봉(鷹巖峰)이라고도 하는데, 적성현지(1842) 적성현지(1871)에 모두 등장한다. 한편 음암봉 밑에 있는 굴에 대해서는 설인귀굴 또는 임꺽정 굴이라고 부른다. 임꺽정봉에서는 파평산과 악귀봉, 장군봉 등이 보인다. 임꺽정봉에서 감악산 정상으로 올라가는 길에 고릴라바위를 만난다. 형태가 고릴라를 닮아서 그렇게 이름붙였다고 한다. 감악산 정상에 도착하기 전에 헬기장이 나타난다. 여기를 지나면 송신탑이있는 감악산(675m) 정상이 나온다. 감악산 정상에서 임꺽정봉과 장군봉을 바라보며 휴식을 취한다. 점심을 먹는 사람들도 많다. 나도 간단히 챙겨온 음식을 먹고 감악산 정상에서 까치봉 방향으로 내려간다. 까치봉을 지나서 묵은밭(출렁다리) 방향으로 내려간다. 숯가마터와 범륜사에 도착하면 범륜사대웅전과 극락보전 건물을 둘러 본 후 운계전망대로 가는 등산로를 따라 왼쪽 방향의 운계전망대로 내려간다. 운계전망대에서 바라본 범륜사와 운계폭포의 풍경이 멋스럽다. 운계전망대에서 바라본 감악산 출렁다리(흔들다리) 역시 멋진 풍경이다. 운계전망대에서 다시 돌아와 운계폭포와 출렁다리 방향으로 내려간다. 왼쪽 길은 범륜사에서 내려왔던 길이다. 운계폭포를 감상한 후 감악산 출렁다리에서 바라본 운계전망대, 범륜사, 그리고 범륜사 뒤쪽으로 감악산 정상 송신탑이 희미하게 보인다. 감악산 출렁다리 주차장(만남의광장)으로 다시 돌아와서 감악산 산행을 마친다.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㉑북한산(835.6m)...1억 7천만 년 전 생성된 도심 속 녹지 공간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㉑북한산(835.6m)...1억 7천만 년 전 생성된 도심 속 녹지 공간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북한산은 서울 시민들에게 최고의 선물이다. 접근성도 좋고 탐방코스도 많다. 게다가 계절마다 변화무쌍한 북한산의 풍경은 언제나 일상에 지친 도시인들의 피로를 풀어주기에 충분하다. 지금은 외국인들한테도 북한산은 인기명소가 되었다. 평일에도 혼자 혹은 아이들과 함께 북한산을 트래킹 하는 외국인을 자주 볼 수 있다. 현재 국립공원 사이트에 안내된 북한산 코스는 북한산성코스, 대남문코스, 백운대코스 등 총 13개에 달한다. 각 코스별 난이도 역시 대부분 아이들도 쉽게 오를 수 있을만큼 평이하다. 이번에 소개할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북한산 편은 숨은벽 능선을 타고 올라가는 백운대 코스이다. [북한산 개요] 북한산국립공원은 세계적으로 드문 도심 속의 자연공원으로, 수려한 자연경관을 온전히 보전하고 쾌적한 탐방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15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그 면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걸쳐 약 78.5km2, 우이령을 중심으로 남쪽의 북한산 지역과 북쪽의 도봉산 지역으로 구분된다. 공원전체가 도시지역으로 둘러싸여 도시지역에 대한 녹지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고 있다. 수도권 주민들의 자연휴식처로 애용되어 연평균 탐방객이 500만에 이르고 있어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탐방객이 찾는 국립공원'으로 기네스북에 기록되어 있다. 북한산국립공원은 거대한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주요 암봉 사이로 수십 개의 맑고 깨끗한 계곡이 형성되어 산과 물의 아름다운 조화를 빚어내고 있으며 1억 7천만 년 전에 형성되었다, 그 속에 1300여종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북한산 봉우리] 백운대835.6 : 인수봉810.5 : 만경봉800.6 : 노적봉715.5 : 용암봉 : 일출봉617 : 월출봉600 : 기룡봉588 : 반룡봉583 : 시단봉607 : 덕장봉586 : 복덕봉594 : 석가봉598 : 성덕봉631 : 화룡봉644 : 잠룡봉701 : 문수봉727 : 보현봉714 : 716봉(구 나한봉 : 715.5m 삼각측량지점) : 나한봉(구 나월봉688 : 나월봉(구 환희봉657 : 증취봉593 : 용혈봉581 : 용출봉 571 : 의상봉501.5 : 원효봉510.3 : 염초봉 662.2 : 시자봉775 : 기린봉472.1 : 장군봉431 : 등안봉463 : 귀암봉520 : 상원봉684 : 휴암봉594 : 형제봉(462.2m),족두리봉(367.3m), 응봉(332.9m) 등이 있다. [산행코스] 국사당(밤골지킴터)-밤골-숨은폭포-삼거리이정표-숨은벽능선이정표-해골바위-바위전망대-구멍바위(숨은벽암벽)-계곡이정표-샘터-V자능선안부-위문(백운봉암문)-백운대-위문-대동사-보리사-원효교-덕암사-서암문-북한산둘레길이정표-북한산성초교-주차장 이동거리: 8.9km 산행시간: 4시간 [난이도] 중 대체로 난이도는 쉬운 편이나 숨은벽 능선은 초보자도 쉽게 오를 수 있지만 양쪽이 낭떨어지라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눈이오거나 비가 오는 날 이곳을 지나갈 때는 안전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또한 정상인 백운대 역시 경사가 있는 암봉이라 쉬운 편은 아니다. [산행기] 밤골 매표소에서 출발한다. 근처에 주차장은 없지만 매표소 근처까지는 차가 진입할 수 있고 길 주변에 차를 주차 할 수 있다. 국사당을 지나 탐방로 안내도를 살펴본다. 밤골부터 백운대까지는 4.3km로 제법 길다. 백운대 정상까지 갔다가 하산할 경우 6시간은 잡아야 한다. 밤골에서 숨은벽까지 가는 코스는 비교적 완만하다. 경사가 심하지 않아서 천천히 오르면 크게 힘이 들지 않는다. 마지막에는 암릉을 타야 하지만 그렇게 길지도 않고 초보자도 쉽게 오를 수 있는 산행로이다. 오르는 길에 볼 수 있는 밖으로 드러난 나무뿌리들. 비가 오면 흙이 더 쓸려 내려가 나무를 잘 지탱해 줄까 염려가 되지만 지금까지 버텨온 것으로 봐선 자연의 힘을 믿고 싶다. 이렇게 한 시간 정도를 오르면 암릉구간이 나타난다. 여기서부터 경사가 제법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암릉은 약 30분 정도 오르막이 계속된다. 잠깐 스치듯 설악의 공룡 능선이 오버랩 되는 풍경이다. 이제부터 인수봉과 백운대 사이에 생성된 공룡의 등뼈 같은 숨은벽 능선이 시작된다. 숨은벽 능선은 대부분 암벽길이다. 또한 오른쪽은 천길 낭떠러지라 아래를 보면 현기증이 날 정도다. 숨은벽을 오르는 등산객은 대부분 감탄사를 연발한다. 그만큼 보기드문 장관이기 때문이다. 암릉의 튼실한 근육은 누가 봐도 건강미를 느끼게 해준다. 숨은벽 계곡을 올라선 후 자리를 잡고 점심을 먹었다. 식사 후 따뜻한 커피가 몸을 녹여 준다. 간단히 점심을 먹은 후 백운대를 오르기 시작한다. 백운대를 오르며 바라보는 인수봉은 한마디로 멋지다. 맑은 날에는 우리나라 암벽등반의 메카 인수봉을 오르는 사람들로 장관을 이룬다. 숨은벽에서 볼 수 있는 비경은 해골바위와 바위전망대, 구멍바위, 다람쥐 바위 등 다양한 형태의 바위들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들 바위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다. 하지만 사진촬영을 하면서 자칫 발을 헛디뎌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안전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하는 곳이 숨은벽능선 이다. 가끔 자일과 안전모를 쓰고 숨은벽을 오르는 암벽 등반가를 볼 수 있다. 숨은벽 능선의 끝, 암벽 코스는 암벽 등산 장비를 갖춘 사람만 오를 수 있다. 대부분의 등산객들은 계곡으로 내려가 백운대로 올라간다. 이 길은 너덜지대로 경사도 심해 힘든 코스다. 백운대코스 중 하이라이트에 해당한다. 오르다가 쉬기를 반복하면서 정상까지 가본다. 드디어 마지막 계단이 보인다. 앞에 보이는 정상이 백운대다. 여기서부터 백운대까지는 700m정도. 멀리서 정상에서 휘날리는 태극기가 보인다. 835.6m라고 바위에 새겨진 정상이다. 백운대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언제나 아름답다. 정상에서 인증샷을 찍고 조망을 한 후 다시 하산 준비를 시작한다. 아래로 내려갈수록 나뭇잎이 파랗다. 천천히 사진을 찍으며 하산해서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에 도착했다. 북한산은 암릉이 많고 낭떠러지 구간도 많은 근육질 외모에 비해 비교적 편하게 산행할 수 있다. 그래서 구두를 신고 북한산을 올라가는 사람들도 제법 많다. 하지만 평지가 아닌 바위와 돌 기타 흙 등으로 이루어진 산길을 장시간 걷기 위해서는 가벼운 트래킹화 정도는 신어야 한다고 본다. 그것이 개인의 안전과 건강을 챙기는 것이고 큰 사고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길이다. 또한 산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가 아닐까 생각한다.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⑲백덕산(1350m)...환상적인 설경과 서울대 나무로 유명한 덕스러운 산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⑲백덕산(1350m)...환상적인 설경과 서울대 나무로 유명한 덕스러운 산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겨울산이라고 부르는 백덕산은 하얀 눈이 내린 날 오르면 선경에 들어간 듯 환상적이다. 인터넷에 올라온 사진들을 보면 여타 다른 겨울산과 다를바 없어 보이는데 뭔가 다른 것이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백덕산 탐방을 계획했고 실행에 옮기기 위해 산악회를 찾아보았다. 마침 백덕산행이 있었고 바로 예약해버렸다. 여기까지는 아무일도 없었다. 그런데 산행 당일 어처구니없는 사고가 생겼다. 지하철을 환승하면서 반대로 가는 것을 탔다. 결국 사당에 도착했을 때는 버스가 보이지 않았다. 1분도 기다리지 않는 정시출발 버스이기 때문이다. 순간 당황했으나 백덕산을 포기하고 싶지 않았다. 백덕산 가는 방법을 검색하자 기차와 버스가 나왔다. 나는 조금이라도 빠르게 가고자 서울역에서 KTX를 타기로 했다. 다행히 8시 5분에 출발하는 강릉행 KTX가 있었다. 둔내에 9시 20분 도착예정이었다. 7시에 산악회 버스가 사당에서 출발했으니 잘하면 따라잡을 수 있을 것 같았다. 스마트폰에서 내비를 열고 백덕산 등산코스를 찾아보았다. 들머리는 문재쉼터, 날머리는 먹골이었다. 택시를 타고 문재쉼터에 내려 등산로 입구를 찾았다. 곧 백덕산 방향 표지판을 발견한 나는 이정표가 가리키는 방향을 향해 빠른 걸음으로 산행을 시작했다. [백덕산 개요] 백덕산(白德山)은 영월군 무릉도원면 백년계곡길에 위치한 높이 1350m의 산이다. 겨울철에 내린 하얀 눈이 늦봄까지 산봉우리를 덕스럽게 덮고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백덕산은 예로부터 4가지 재물, 즉 동쪽의 옻나무, 서쪽의 산삼 그리고 남쪽과 북쪽에는 흉년에 먹는다는 흙이 각각 있다고 하여 ‘사재산(四財山)’이라고도 불린다. 백덕산의 산세는 험한 편이어서 능선 곳곳마다 절벽이 많다. 가을과 겨울에 빛깔 고운 단풍과 하얀 눈옷을 거듭 갈아입어 절경을 이루며, 등산로에는 수많은 폭포와 계곡이 형성되어 있고 원시림이 잘 보존되어 있어 몸과 마음이 힐링된다. 바위봉으로 이루어진 정상에서는 가리왕산과 오대산을 비롯해 남쪽의 소백산, 서쪽의 치악산맥이 한눈에 보인다. [산행코스] 11.6km. 식사시간 포함 약 6시간 문재쉼터-925고지-헬기장-사자산 갈림길-당재-백덕산정상-1280봉-헬기장-먹골 (6시간) [산행기] 문재쉼터에서 시작한 산행은 정상까지 계속 능선을 따라 오르고 내려가기를 반복했다. 기대했던 눈은 오지 않았지만 날씨는 더없이 청명해서 기분은 좋았다. 문재쉼터 옆 산불감시초소를 통과하자 가파른 등산로가 나왔다. 이 길을 따라 10분 정도 올라가면 임도다. 임도에서 왼쪽으로 30m 거리에 이르면 오른쪽 능선으로 오르는 이정표가 시야에 들어온다. 주 능선을 따라 올라가면 헬기장을 지나 1125봉 삼거리 이정표를 만난다. 우측길은 사자산으로 가는 길이며 좌측은 백덕산으로 가는 길이다. 좌측 등산로를 따라 오르면 당재를 지나 작은당재로 이어지고 1275봉 전 삼거리에 닿는다. 우측길은 정상으로 가는 길이며 좌측길은 하산해야 할 먹골로 가는 길이다. 문재쉼터에서 산악회 대장과 통화를 했다. 날머리인 먹골에서 버스가 3시30분에 출발한다고 들었다. 점심 먹는 시간을 아끼면 부족하지 않은 시간이었다. 빠른 걸음으로 능선을 따라 걸었다. 중간중간 가파른 오르막과 조망할 수 있는 바위가 있었다. 혼자 산행하는 것이 재미는 없지만 내 맘대로 쉴 수 있고 걸을 수 있어서 마음은 편했다. 또 하나 혼산의 장점은 일상의 복잡한 스트레스도 산을 오르면서 정리가 된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복잡하기만 했던 일들도 혼자 산길을 걷다 보면 어느새 버릴 것과 취할 것이 보이고 결론에 도달한다. 대부분은 욕심 때문에 생긴 문제들이기 때문에 버리면 가벼워진다. 정말 중요한 것은 10개 중 하나가 될까 말까 한다. 그만큼 중요하지 않은 일로 고민하는 어리석음을 산속에서 깨닫게 된다. 정상을 얼마 앞두고 산악회 대장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어디쯤이냐고 해서 정상에 거의 다 왔다고 했더니 기다릴테니 오라고 한다. 정상을 300미터 앞두고 백덕산 명물인 서울대 나무(N 나무)가 나온다. 백덕산 산행에서 꼭 사진으로 담아야 할 인증샷 중 하나다. 서울대 나무를 지나서 우측 가파른 바위길을 따라 15분 정도 오르면 백덕산 정상이다. 정상은 바위로 많은 사람이 서 있기 어려워 보였다. 다행히 대장과 두세 명만이 표지석에서 인증사진을 찍고 있었다. 대장과 인사를 나누고 바위 끝에 서서 경치를 감상했다. 정상에서의 조망은 감탄사가 나올 정도로 막힘이 없었다. 그래서 눈이 시원해지는 느낌이 들었다. 동쪽으로 법흥사와 건너편으로 구봉대산이 보인다. 사자산, 삿갓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차례로 시야에 들어온다. 대장과 뒤에 남은 일행을 따라 하산을 시작했다. 하산은 정사에서 다시 삼거리로 내려와 우측 먹골로 내려가면 된다. 1255봉 헬기장 삼거리에 닿으며 우측길은 먹골 방향이며 좌측길은 운교 마을회관으로 내려가는 길이다. 내려가는 도중 앞서간 산악회 회원 몇 명이 옹기종기 모여서 점심을 먹고 있었다. 서둘러 정상까지 오느라 식사를 하지 못한 나는 마침 자리를 내주는 회원에게 기다렸다는 듯 인사부터 하고 털썩 앉았다. 나에게 자리를 권한 회원은 이번 백덕산이 100명산 완등 기념산행이었다. 진심으로 축하 인사를 건넸다. 지난해 10월부터 시작해 1년 만에 100좌를 완등한 것이었다. 앞으로 리마인드 100명산을 시작하겠다고 한다. 회원의 환한 웃음을 보며 100명산을 완등해서 저렇게 활짝 웃어야겠다는 목표가 생겼다.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⑱미륵산(461m)...한려해상국립공원 품은 힐링의 산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⑱미륵산(461m)...한려해상국립공원 품은 힐링의 산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통영하면 동양의 나폴리로 불리며 국내외에서 수많은 여행객들이 문정성시를 이루는 명소이다. 처음 통영에 100명산이 있다고 했을 때 한려수도로 유명하고 바다가 먼저 떠올라서 그곳에 산이 있을 거라는 생각을 못했다. 그것도 산림청 100대 명산이 있다는 것은 이번 시리즈를 진행하면서 알게 된 새로운 사실이었다. 겨우 461m밖에 안되는 작은 산이 어떻게 100명산에 들었을까 의아했다. 하지만 몇 시간 뒤 미륵산 정상을 오른 후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다. 통영의 비릿한 바닷바람이 느껴질 때 후각으로 먼저 미륵산 들머리에 도착했음을 알았다. 서울서 출발할 때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에 걱정을 했는데 다행히 통영은 맑았다. [미륵산 개요] 미륵산(彌勒山)은 경상남도 통영시 봉평동에 있는 해발 461m의 산이다. 지난 2002년 ‘세계 산의 해’를 맞아 산림청이 지정한 《100대 명산》으로 선정되었다. 충무시와 연육교로 이어지는 미륵도(彌勒島)의 복판에 솟은 미륵산은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아름다운 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미륵산은 중생대 백악기 말기에 분출된 화산으로, 그 명칭은 미륵존불이 장차 강림할 곳이라고 하여 명명되었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현재는 육지와 연결된 미륵도 중앙에 있는 이 산에는 이름에 걸맞게 유명한 사찰이 여러 곳 있다. 미륵산 자락에는 고찰 용화사와 미래사 등 유서 깊은 사찰과 암자가 산재해 있다. 용화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창건됐다. 고려 태조 때 도솔 선사가 창건한 도솔암도 유명하다, 그 밖에 조선 영조 때 창건된 관음사, 50여 년 전 지은 미래사 등이 있다. 용화사에는 석조여래상(경남유형문화재 43호)과 고려중기의 작품인 지장보살상과 시왕상 등이 보존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봉수대 터 등이 유명하다. 당포성지(경상남도 지방기념물 제 63호)는 미륵도의 산양읍 삼덕리 야산의 능선을 따라 축성된 산성으로 길이 약 750m의 성지가 남아 있다. 자연석 이중기단에 높이 약 2.7m, 약 4.5m 의 폭으로 쌓은 이 성벽은 고려·조선시대의 전형 적인 석축진성으로 고려 말 최영 장군이 왜구의 침입에 대비코자 군사와 백성들을 동원하여 쌓았다고 전한다. 고찰과 약수, 봄 진달래와 가을 단풍이 빼어나고 산정에 오르면 한려해상의 다도해 조망이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답게 보이며, 청명한 날에는 일본 대마도가 바라다 보인다. 그리고 한산대첩의 현장도 볼 수 있다. 2008년 3월 1일 통영시는 미륵산에 《통영 케이블카》를 설치해 관광상품으로 활용하고 있다. [산행코스] (약8km/4시간) * GPS거리 5.4km 세포고개-현금산(339m)-정토봉(작은망) (334m)-미륵산(461m)-미래사-띠밭등-용화사-관음사-용화사 광장주차장 난이도 : 중하. 비교적 평이한 코스로 한려수도를 조망하며 기분좋은 산행이 가능하다. [산행기] 통영시 산양읍 세포고개에서 하차한 후 미륵산 등산로를 찾아 밭길을 걸어 올라갔다. 등산로라고 하기엔 왠지 어설퍼 보여서 살짝 걱정도 됐다. 하지만 얼마쯤 오르막을 올라가자 등산로가 나타났고 미륵산 이정표도 나왔다. 세포고개는 여기서 일명 가는이고개라고 부른다. 여기서부터 산행을 시작해 현금산을 거쳐 정토봉 작은망에 도착하면 미륵산으로 가는 이정표를 만나게 된다. 현금산이란 이름처럼 이곳에 오르면 현금을 많이 얻게 된다는 우스개 소리도 들린다. 코스가 비교적 평이해서 힘들거나 어렵지 않게 정토봉(작은망)까지 올라갔다. 334m 높이라 멀리 한려수도가 다 보일지 궁금했는데 아래로 안개가 올라와서 기대했던 깨끗한 바다와 수많은 섬들을 볼 수는 없었다. 그래도 앞쪽으로 통영시내와 현금산의 철탑 그리고 아래쪽 도솔암이 보였다. 정토봉에서 생수를 한 병 마신 후 잠시 숨을 고르고 다시 미륵산 정상을 향해 걸음을 옮겼다. 그런데 몇분 걸리지 않아서 갈림길이 많이 나왔다. 미륵치에서 미륵산 정상, 미래사, 현금산, 용화사광장 주차장 등으로 가는 표지판이 기둥 하나에 모두 매달려 있었다. 미륵산 정상을 가기 위해서는 암릉구간을 거쳐야 한다. 그렇게 조금 오르면 한려수도가 조망되는 멋진 바위가 보인다. 사람 하나 올라갈 만한 작은 바위지만 그 위에 서서 아래를 내려다 보면 가슴이 뻥 뚤리는 기분을 맛보게 된다. 발아래 시원하게 펼쳐진 푸른 바다와 그림같은 섬들이 둥둥 떠 있기 때문이다. 계속 가파른 암릉구간을 오르고 내리면서 한려수도의 풍광을 계속 보게된다. 미륵산 정상에 가기 전 또 하나의 명품 조망지 나온다. 바로 바위 위에 위풍당당 서 있는 초록의 소나무와 그 옆 아찔한 절벽이 나오는데 그곳이 바로 한려수도를 제대로 볼 수 있는 조망지이다. 여기서 보는 남해의 절경은 정상석에서 보는 조망과 막상막하다. 그래도 정상석에 도착해서 탁 트인 한려수도와 남해의 수많은 섬들을 모두 다 보게 되는 느낌은 색다르다. 정상석 바로 옆에 봉수대터 표지판이 있다. 고려시대부터 외적의 침입을 알리는 봉수대가 있던 자리임을 보여준다. 미륵산에서 바라본 한려수도는 통영항과 한려수도의 다도해는 물론이고 청명한 날에는 일본의 대마도, 지리산 천왕봉, 여수 돌산도가 다 보인다고 할만큼 탁월한 전망을 자랑한다. 안내판에는 마산의 무학산, 청원의 볼모산까지 조망된다고 표시되어 있다. 통영방향의 왼쪽으로는 현금산이 나오는데 이쪽엔 여수 돌산도, 남해 금산, 사량도, 광양백운산, 지리산 천왕봉, 고성 연화산이 조망된다. 현금산 방향의 왼쪽으로는 산향방향이고 연화도, 초도, 욕지도, 해상노대도,여수 돌산도 등 남해의 섬이 나타난다. 또 다시 산향방향 왼쪽으로 한산도, 미래사 방향은 거제도, 대마도, 홍도, 매물도, 비진도, 국도 등이 보인다. 정상 전망대에서는 또 케이블카 상부정류장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케이블카는 바다를 가로질러 미륵산까지 올라오기 때문에 바다와 산 모두 한 눈에 감상할 수 있다. 미래사 쪽으로 방향을 잡고 내려오면 중간에 후아유 드라마 촬영장 안내판이 나온다. 조금더 내려가면 신선대전망대가 나온다. 여기서는 특별히 볼 게 없다. 시간이 없으면 여기는 그냥 지나쳐도 될듯싶다. 미래사는 제법 운치 있게 지어진 사찰로 편백나무 숲이 유명하다. 많은 사람들이 이 편백나무 숲길을 산책하기 위해 찾아온다. 겨울보다는 여름에 시원한 편백나무 숲 길을 걷다보면 저절로 힐링되는 느낌을 받게 된다. 미래사와 편백나무 숲길을 지나서 용화사로 하산하는 코스는 비교적 가파르다. 소나무 숲길을 따라서 계속 내려가다 보면 임도가 나타난다. 이 길을 따라 쭉 내려가면 날머리인 용화사 주차장이다. 이렇게 4시간에 걸쳐 미륵산 산행을 마친 후 출출해진 배를 채우기 위해 통영항에 가야 한다. 통영항에는 명물인 통영 꿀빵과 전복, 소라, 해삼, 멍게 등을 파는 해산물 도매집이 많다. 그밖에 시원한 복집과 산낙지 등을 맛볼 수 있는 식당이 많아서 오랜만에 싱싱한 횟감도 맛볼 수 있다. 시간이 남으면 통영의 명소 아름다운 벽화로 유명한 동피랑 마을을 둘러보는 것도 좋겠다. 미륵산 산행은 도시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시원하게 풀고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아름다운 경관을 한 눈에 조망하며 힐링할 수 있는 멋진 여행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⑯계룡산(874m)...대한민국 두 번째 국립공원, 정감록의 도참설로 유명한 산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⑯계룡산(874m)...대한민국 두 번째 국립공원, 정감록의 도참설로 유명한 산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산림청 지정 대한민국 100대 명산 16번째로 공주와 논산의 경계를 이루는 계룡산(천황봉 874m)을 소개한다. 서울에서 자동차로 2시간 남짓 달려가면 지리산(1967.12)에 이어 1968년 12월 우리나라 두 번째로 지정된 국립공원 계룡산이 나타난다. [계룡산과 정감록 그리고 신도안 신흥종교] 계룡산은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온 금남정맥의 한 줄기를 이루는 산이다. 산세가 마치 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 같기도 하고 쌍용이 진주를 품고 있는 모습 같기도 해서 닭 “계”자와 용“용”자를 써서 계룡산이라 불렀다. 하지만 ‘닭의 벼슬을 쓴 용의 형상’을 닮았다고 해서 계룡산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말이 더 와닿는다. 계룡산은 조선조 초기에 씌어진 예언서 〈정감록〉의 `왕도입지설'로 유명한 산이다. 특히, 계룡산의 신도안은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세우고 이곳을 수도로 삼으려고 한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정씨의 도읍터’라는 도참설 때문에 왕궁짓는 공사를 그만두고 지금의 서울로 옮겼다고 한다. 실제 이곳에는 왕궁 주춧돌 94개중 파손된 2개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그대로 남아 있다. 게룡산은 또 정감록의 후천개벽신앙으로 유명한데 정감록에 나오는 난을 피하기 가장 좋은 10곳 중 한 곳이 바로 계룡산이다. 그래서 이곳 신도안에 신흥종교가 무척 많이 모여들었다. 토속신앙과 무속은 말할 것도 없고 동학사상을 비롯해 불교와 유교, 기독교까지 한데 어울려 공존했던 곳으로 유명하다. 1975년 8월 강경경찰서 신도안 유사종교 집단지역 정화작업이 있기 전까지 이곳 계룡산일대에 자리 잡은 종교단체의 수는 100여 개나 되었다. 제법 큰 규모의 조직과 체제를 갖춘 종교단체에서부터 1종교 1교주 1신도를 겸한 단체도 있었다. 그러나 1975년 새마을 운동의 일환으로 정부에 의해 강력하게 추진되었던 종교정화운동은 계룡산 일대에 엄청난 영향을 몰고 왔다. 미신타파의 미명 아래 계룡산 곳곳에 설치된 제단과 각종 암자, 치성터 등이 허물어지고 철거당했다. 또한 100여 개에 이르던 종교단체 대표들이 산림법 위반, 사기, 식품위생법 위반 혐의로 구속, 검거되기도 하였다. 그 후 1983년 8월부터 1984년 6월 30일까지 계룡대 이전사업을 가리키는 이른바 ‘6·20사업’이라는 이름의 극비작전으로 신도안의 모든 민간인들은 하루아침에 밀려나고 말았다. [계룡산 개요] 충남 제일의 명산 계룡산국립공원은 1968년 우리나라 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6만5335㎢이다. 계룡산 정상인 천황봉(847m)을 중심으로 16개에 달하는 봉우리 사이에 약 10개의 계곡이 형성되어 있다. 계룡산은 산세가 아늑하면서도 변화무쌍하고 서울, 대전 등 대도시에서도 일일 탐방이 가능해 연중 탐방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풍수지리학적으로도 뛰어나 조선의 수도로도 거론되었으며 나라의 제사를 지내던 신성한 산이기도 하다. 계룡산 정상인 천황봉(天皇峰 874m)을 중심으로 쌀개봉(830.6m), 관음봉(765.8m), 문필봉(735.6m), 삼불봉(777.1m), 연천봉(742.9m)이 주능선에 줄지어 솟아 있dj 장관을 이룬다. 특히, 계룡산 산자락 곳곳에 문화 유적이 산재해 있는데, 동북쪽에는 동학사가, 서북쪽에는 갑사, 서남쪽에는 신원사 사찰이 자리잡고 있다. 특히 갑사에는 보물 제257호인 부도(浮屠)와 보물 제256호인 철당간 및 지주.보물 제478호인 동종(銅鐘)등의 문화재가 있으며, 〈월인석보〉를 찍어낸 목판도 소장되어 있다. 〈월인석보〉는 세종29년(1447년)에 간행된 〈석보상절〉과 세종 31년에 간행된 〈월인천강지곡〉을 합편하여, 세조가 1459년에 간행한 것이다. 상봉을 중심으로 동쪽에 동학사, 서쪽에 갑사, 남쪽에 신원사가 자리하여 현재까지도 보존되고 북쪽의 구룡사는 절터만 남아 있다. 계룡사에는 노루, 담비, 청설모, 황매화 등 희귀 동.식물 1227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계룡 8경으로 꼽히는 천황봉(일출), 삼불봉(설화), 연천봉(낙조), 관음봉(한운), 동학계곡(신록), 은선폭포(운무), 갑사계곡(단풍), 남매탑(명월) 등은 울창한 숲과 기암절벽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등산코스] 동학사주차장-천정골탐방지원센터-큰배재-남매탑-삼불봉-관음봉-연천봉-고왕암-신원사-신원사주차장 (약 10Km/6시간) 국가적 제사처였던 중악단을 품고 있는 천년고찰 신원사와 위대한 충신을 모시고 있는 동학사 계룡 8경중 5경 모두를 감상할 수 있는 계룡산국립공원 대표탐방코스이다 들머리인 동학사 주차장에서 시작해 천정골탐방지원센터를 지나 큰배재-남매탑-삼불봉-자연성릉-관음봉-연천봉-고왕암 등을 오른 후 날머리 신원사 주차장으로 내려오는 탐방코스다. 완만한 경사와 급한 경사 등 다양한 등산 난이도가 있는 코스이며 대체적으로 바위나 돌계단이 많아 미끄러짐에 주의하면서 탐방해야 하는 등산로이다. 국가적 제사처인 중악단과 국보 제299호인 신원사 노사나 불괘불탱 등의 많은 문화재가 있는 신원사와 위대한 충신을 모시고 있는 동학사. 계룡 8경 중 5경인 연천봉 낙조, 관음봉 한운, 삼불봉 설화, 남매탑 명월과 동학사 신록을 모두 탐방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인기있다. [산행기] 서울에서 버스로 2시간 30분을 달리면 동학사 주차장에 닿는다. 주차장에서 준비운동을 한 후 천정골탐방지원센터를 지나 큰배재까지 오르막이다. 여기까지는 계곡이 있어서 여름에는 물소리를 들으며 산을 오를 수 있다. 문골 삼거리를 지나면 큰배재가 나온다. 이정표에 있는 남매탑으로 방향을 잡고 걸어가면 약 0.4km 거리에 사이좋게 서 있는 탑 두 개가 보인다. 바로 스님과 처녀의 오누이 정이 담긴 남매탑이다. 남매탑(男妹塔)은 동학사와 갑사의 중간 지점인 삼불봉 밑의 옛 청량사 터에 2기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하나는 5층(보물 제 1284호), 다른 하나는 7층(보물 제 1285호)으로 청량사지쌍탑이라고도 불리며, 남매탑이란 이름에 걸맞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아래 내용은 탑 앞에 있는 남매탑 설화의 기록을 옮기 것이다.) 신라시대 때 상원조사가 이곳에서 토굴을 만들어 수도를 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호랑이 한 마리가 나타나 울부짖으며 입을 벌리고 있는 것이다. 스님이 입속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큰 가시 하나가 목구멍에 걸려 뽑아주었더니 며칠 뒤에 호랑이는 은공을 보답한다는 뜻으로 한 아리따운 처녀를 등에 업고 와서 내려놓고 갔다. 처녀는 경주사람으로 혼인을 치른 날 밤 호랑이에게 물려 여기까지 오게 되었다고 스님에게 말하였다. 그때는 산에 눈이 쌓이고 날씨도 추운 겨울이라서 돌려보낼 수 없어 추위가 물러가고 봄이 오자 스님은 처녀를 집으로 돌려보냈다. 그러나 그 처녀의 부모는 이미 다른 곳으로 시집보낼 수 없고 인연이 그러하니 부부의 예를 갖추어 주기를 바랐다. 이에 스님은 고심 끝에 처녀와 의남매를 맺고 비구와 비구니로서 불도에 힘쓰다가 한날 한시에 입적했다. 이렇게 의남매의 연을 맺어 수행자로서 열심히 정진한 두 분을 기리기 위해 스님의 제자인 회의화상이 화장 후 사리를 수습하여 탑을 건립하게 되었는데 이 탑을 이름하여 남매탑 또는 오누이탑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남매탑 바로 아래에 상원암이 있다. 여기서 잠시 휴식을 취하고 다시 등산을 시작한다. 남매탑에서 삼불봉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제법 가파르다. 계속 오르면 탐방로 안내판이 보이고 삼불봉 고개가 나타난다. 이곳에서 삼불봉과 관음봉 그리고 연천봉까지는 능선길이다. 삼불봉으로 향하는 철계단을 열심히 오르다 보면 775m의 삼불봉 정상에 있는 표지석이 모습을 드러낸다. 여기서 사진을 찍거나 능선을 따라 조망하는 등산객들이 많다. 삼불봉에서는 계룡산 정상인 천황봉, 쌀개봉, 관음봉, 문필봉, 연천봉, 신선봉, 우산봉, 장군봉, 황적봉, 갑하산까지 보인다. 또 우측으로는 자연성릉이 공룡의 등처럼 멋지다. 삼불봉을 뒤로하고 계속해서 자연성릉을 따라가면 해발 766m의 관음봉이 나타난다. 관음봉은 현재 비탐방인 정상 천황봉 대신 실질적인 계룡산의 정상 역할을 하고 있다. 자연성릉은 마치 산의 능선 모습이 성벽모양과 흡사해 부쳐진 이름이다. 자연성릉 구간은 계룡산국립공원에서 가장 위험한 탐방로 중 하나로 어린이나 노약자는 안전에 특별히 유의한다. 그러나 자연성릉과 주변지역의 풍광은 정말 아름답다. 관음봉에서 다시 연천봉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헬기장을 지나면 연천봉이다. 연천봉은 신원사 탐방로의 대표적인 봉우리로 해발 740m 높이에 위치해 있다. 산봉우리가 구름(하늘)과 맞닿았다고 해서 연천봉이라 하고, 주변에 구름 위에 올라탔다는 뜻의 암자인 등운암이 있다. 연천봉은 계룡 8경의 하나로 저녁 무렵 노을(낙조)이 무척 유명하다. 하지만 1박을 각오해야 낙조를 볼 수가 있다. 저녁 무렵에 확 트인 연천봉 서쪽을 바라보면 낙조가 계룡, 양화 저수지와 백마강을 붉은 물결로 뒤덮는 장관이 펼쳐진다. 또한 연천봉 정상에서는 관음봉, 쌀개봉, 천황봉, 국사봉등의 수많은 계룡산의 아름다운 봉우리와 주변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계룡산 3경...연천봉 낙조] 연천봉은 갑사계곡과 신원사계곡을 좌우로 하여 천황봉과 쌀개봉, 문필봉, 삼불봉 등이 수목에 가린 옷깃을 제치며 우뚝 서 수목의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눈 아래 저 멀리에는 상월 등과 계룡지, 경천지 등이 펼쳐지고, 쾌청한 날씨에는 번쩍이며, 특히 해가 질 때 저녁노을이 계룡산 일대를 물들이는 모습은 입을 다물지 못할 정도로 절경이다. 그래서 연천봉 낙조를 계룡산의 제3경이라고 한다. [연천봉 석각] 계룡산은 이 지역의 풍수지리적 특징으로 인하여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특히 1393년(태조 2년) 신도건설 공사 이후부터 풍수설과 어우러진 계룡산은 각종 예언과 연결되는 중요한 장소가 되었다. 연천봉 석각은 계룡산이 갖은 이러한 도참적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자원이다. 연천봉 석각의 의미 : 방백마각(方百馬角) 구혹화생(口或禾生) 방(方)은 4방이요, 글자도 4획이라 4를 뜻한다. 마(馬)는 오(午)인데 오라는 글자는 80(八十)을 의미한다. 각(角)은 뿔이다. 모든 짐승이 두 개의 뿔이 있으므로 2가 된다. 이를 모두 더하면 482란 숫자가 된다. 구(口)와 혹(或)은 국(國)자가 되고, 화(禾)와 생(生)을 합치면 이(移)의 옛글자가 된다. 전체를 다시 조합하면 '四百八十二國移' 란 구절이 되어서 조선은 개국 482년 만에 망하고 새로운 시대가 도래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왔다. 연천봉을 지나서 고왕암까지는 비교적 수월하다. 고왕암(古王庵)은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마곡사(麻谷寺) 말사인 신원사(新元寺)의 부속 암자이다. 백제 말년인 660년(의자왕 20)에 의자왕이 창건했다고 전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1419년(세종 1)에 서함(西函)이 중건했고, 1928년에는 청운(淸雲)이 3차 중건했다. 의자왕이 660년 6월에 이 암자를 창건했다고 하는데, 7월 18일에 김유신(金庾信)이 이끄는 신라군과 소정방(蘇定方)이 이끄는 당군이 백제를 침공해 나라가 패망하자 의자왕은 같은 해 9월 3일 당군에 의해 당나라로 끌려갔다. 이런 사연에 따라 의자왕을 추억하는 뜻에서 ‘고왕암’이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고왕암에서 신원사까지 산책하듯 걸어 내려오며 계룡산 산행을 정리한다. 신원사에 도착하자 경내에 있는 철 지난 단풍과 감나무에 열린 홍시가 햇살을 받아 눈부시게 빛난다. [계룡산 8경] 1. 천황봉에서 바라본 일출 광경 2. 삼불봉을 하얗게 덮어버린 겨울 흰눈 3. 연천봉의 낙조 4. 관음봉을 싸안고 한가롭게 떠도는 구름 5. 한여름 동학사 계곡의 숲 6. 가을 갑사 계곡을 온통 붉은색으로 수놓은 듯한 단풍 7. 은선폭포가 낙수되면서 하얗게 포말을 일구워내는 물안개 8. 남매탑에 반쯤 걸린 달의 모습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⑮태백산(1567m)...민족의 영산, 제천의식의 성지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⑮태백산(1567m)...민족의 영산, 제천의식의 성지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산림청 지정 대한민국 100대명산 열다섯 번째로 민족의 영산이라 불리는 태백산을 소개한다. 꽤 오래전부터 태백산을 오르고 싶었지만 마음뿐이었다. 그동안 여름보다는 겨울에 올라야 태백산의 매력을 충분히 만끽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눈이 오길 기다린 탓도 있었다. 하지만 이번만큼은 태백산을 놓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가을 단풍이 지기 전 태백산행을 결심했다. 아침부터 설레는 마음으로 버스에 타고 도착하는 순간까지 기대가 컸다. 특히, 신라시대부터 지금까지 민족의 염원을 담아 기도하는 신성한 곳으로 알려진 천제단(중요민속문화재 제228호)의 모습이 궁금했다. [태백산 개요] 태백산(太白山)은 강원도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경상북도 봉화군 경계에 있는 높이 1567m의 산이다. 지난 1989년 5월 13일 강원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2016년 8월 22일부터 대한민국의 22번째 국립공원이 되었다. 태백산은 일찍부터 민족의 영산으로 일컬어 오며 여기서 관리와 백성들이 천제를 지내왔다. 면적은 70.052㎢이며 천제단이 있는 영봉(1560m)을 중심으로 북쪽에 장군봉(1567m) 동쪽에 문수봉(1517m), 영봉과 문수봉 사이의 부쇠봉(1546m) 등으로 구성됐다. 태백산은 수천 년간 제천의식을 지내던 천제단과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 등 풍부한 문화자원과 야생화 군락지인 금대봉~대덕산 구간, 만항재, 장군봉 주변의 주목 군락지, 세계 최남단 열목어 서식지인 백천계곡 등 다양하고 뛰어난 생태경관을 보유하고 있다. [태백산 탐방코스] 유일사-천제단-반재-당골광장 (편도 7.5km, 4시간 30분 소요) 이 코스는 신라시대부터 내려오는 신성한 제천의식을 상상할 수 있는 천제단 탐방로이다. 들머리를 유일사로 잡고 산행을 시작해 천제단과 반재를 지나 당골광장으로 내려오면 된다. 이 코스는 기묘한 분위기의 주목군락지와 장군봉, 천제단을 지나는 태백산국립공원의 대표적 등산로로 유명하다. [산행기] 들머리인 유일사에서 장군봉을 지나는 백두대간 능선을 따라 오르다 보면 살아있는 주목과 죽은 주목군락지를 모두 볼 수 있다. 이 코스는 암벽이 적고 경사가 완만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오를 수 있으며 태백산의 멋진 풍경과 백두대간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10월 26일 토요일 날씨는 화창했다. 태백산 숲속에도 노랗고 빨갛게 물든 단풍들이 제법 많이 보였다. 파란 하늘과 너무나 조화롭게 어울리는 단풍을 보니 기분이 날아갈 듯 상쾌해졌다. 발걸음 역시 가벼웠다. 주차장을 출발해서 약 20분 정도 가파른 임도길을 오르다 보면 태백사가 나타난다. 거기서 약 40분 정도 비포장 고갯길을 더 걷다보면 유일사와 유일사 쉼터가 나온다. 이곳에서 잠시 숨을 돌린 후 1시간 정도 오르다 보면 유명한 장군봉 주목 군락지를 만날 수 있다.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 간다는 주목의 멋진 모습은 등산객의 눈을 사로 잡기에 충분하다. 살아있는 주목과 죽어서 고사목이 된 주목들이 곳곳에 있으며 오래된 만큼이나 비현실적인 자태를 뽐내고 있다. 눈에만 담기 아쉬우면 스마트폰을 꺼내 촬영을 하면 좋다. 능선 길을 따라 약 20분 정도 가면 돌로 쌓은 단들이 나오는데 이것이 천제단이다. 주변에 천왕단, 장군단, 이름 없는 하단을 합쳐 천제단이라 부르며, 장군단은 그중 가장 북쪽에 있다. 그 옆으로 장군봉 표지석이 있다. 천천히 주위를 둘러보고 능선을 따라 걷다 보면 천제단 중 가장 크고 신라시대 때부터 천제를 지냈다는 천왕단이 나타난다. 새해 첫날 천왕단에서 바라보는 동해의 일출과 태백산맥을 물들이는 일몰 또한 보는 이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고 한다. 또한 맑은 날 멀리 동해 바다를 볼 수 있는 것도 태백산이 가지고 있는 자랑거리이다. 이 밖에도 최고 높은 곳에 위치한 한국 명수 중 으뜸인 용정이 있다. 이곳 천제단은 예로부터 신성시 여겨져 왔으며 관리와 백성들이 제천의식을 행하던 천제단의 오래된 역사와 옛 숨결을 느낄 수 있다. 전설에 의하면 태백산은 하늘로 통하는 성스러운 산으로 하늘나라에서 파견된 장군이 많은 군사를 이끌고 태백산 일대를 지켰다고 한다. 이 장군의 임무는 신성한 태백산을 부정한 사람들이나 악한 귀신들을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것이었다. 태백산 산행은 앞서 얘기했듯이 비교적 쉬운 편이다. 정상에서 주위에 나란히 솟아 있는 함백산(1572m)을 비롯해 부쇠봉과 문수봉, 영봉 등을 감상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태백산은 백두대간의 중앙부에 솟아 허리 같은 역할을 하며 한강과 낙동강, 삼척의 오십천이 발원하는 한반도 이남의 젖줄이 되는 뿌리산 이기도 하다. 태백산 정상부에는 고산식물이 많이 자생한다. 특히 국내의 대표적 주목 군락지로 유명하며, 봄이면 산철쭉, 진달래의 군락지가 등산객을 맞이하고 여름에는 울창한 수목과 차고 깨끗한 계곡물이 한여름 더위를 잊기에 충분하며 가을은 형형색색의 단풍으로 수놓으며 겨울은 흰 눈으로 뒤덮인 주목군락의 설경을 보여 주는 곳으로 남성다운 중후한 웅장함과 포용력을 지닌 육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태백산에서 가장 중요한 천제단은 우리 조상들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설치한 제단이다. 만들어진 시기나 유래 등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삼국사기] 를 비롯한 옛 서적에 "신라에서는 태백산을 삼산오악 중의 하나인 북악이라고 하고 제사를 받들었다" 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태백산은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산으로 섬겨졌음을 알 수 있다. 천왕단은 둘레 27.5m, 높이 2.4m, 좌우 폭 7.36m, 앞뒤 폭 8.26m의 타원형 계단을 자연석으로 쌓았다. 돌로 만든 단이 아홈 단이라 하여 9단탑이라고도 불린다. 매년 개천절에는 이 곳에서 제사를 받드는데, 중앙에 태극기와 칠성기를 꽃고 주변에는 13천기(天旗)와 28숙기(宿旗)를 세우며 9종류의 제물을 갖춘다. 이 주변의 계곡 일대에는 치성을 드리는 기도처로 사용된 크고 작은 적석탑과 석단(石壇)들이 있으며, 함부로 짐승을 잡거나 나무를 꺾는 일을 금하고 있다. 천제단과 관련한 설화 한편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어느 날, 장군이 연화산 옥녀봉의 옥녀에게 반하여 임무를 게을리하는 틈을 타고 성역으로 못된 잡귀가 들어오게 되었다. 이에 하늘신이 대노하여 급히 돌아오던 장군과 병졸들을 뇌성벽력을 쳐서 돌로 만들어 버렸다. 그리고 성역으로 들어온 잡귀는 벼락을 쳐서 백산의 신령굴에 가두어 버렸고 신령산의 신령으로 하여금 지키게 하였다고 한다. 하산 후 여유가 있으면 석탄박물관을 구경하고 주위에서 펼쳐지는 눈축제 현장도 들려보면 좋겠다. 특히, 아이들과 함께라면 눈썰매장에서 동심의 시간을 만끽해보자.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⑭팔영산(608m)...다도해를 품은 고흥반도 최고의 8개 암봉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⑭팔영산(608m)...다도해를 품은 고흥반도 최고의 8개 암봉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새벽에 일어나 등산준비를 마치고 서둘러 고흥으로 내려가는 버스에 몸을 실었다. 잠을 설친 탓에 내려가는 내내 버스안에서 잠이 들었다. 그렇게 얼마나 갔을까? 차창 밖을 보니 차는 벌써 벌교를 지나고 있었다. 보성군에 속하면서도 보성읍보다 먼저 읍이 된 벌교는 일본제국주의자들이 벌교에 터를 잡고, 보성 땅의 물산을 빼앗아가기 위해 철도를 놓고, 관청을 세웠다. 그래서 벌교는 일제 식민지 때에는 번창해 돈이 흔했고 주먹 깨나 쓰는 어깨도 있었던 터라 “벌교가서 돈 자랑, 주먹 자랑 하지 말라”는 말이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또 벌교에 가면 꼬막맛을 보라 했는데 ‘벌교꼬막’은 알이 굵고 맛이 좋아 간질환에도 효험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보성군은 화문석으로 유명하다. 왕골껍질로 짠 돗자리에 물을 들이고 수를 놓아 만든 이것은 화려한 강화 화문석과 비교해 순박하고 멋스럽다. 또 보성은 녹차로 유명하다. 자연조건이 차를 재배하기에 알맞아 대규모 차밭이 조성되어 있다. 벌교에는 보물304호인 홍교가 있다. 지금은 무지개 색으로 된 홍교에 시멘트로 만든 새 다리를 이어 붙여놓아 아름다움이 반감되고 있다. 숙종 때 양휴스님이 세웠다는 이 돌다리는 이곳 사람들은 ‘황개다리’라 부르고 있다. 고흥에는 제1경인 팔영산을 비롯해 2경 소록도, 3경 고흥만, 4경 나로도 해상경관, 5경 비자나무 숲, 6경 영남용바위, 7경 금산해안경관, 8경 마복산 기암절경, 9경 남열리 일출, 10경 중산 일몰이 있다. 그 중 오늘 내가 오르는 팔영산(八影山, 608m)은 총 10경 가운데 으뜸이다. 산은 암석으로 이루어진 봉우리가 병풍처럼 이어지며 다도해의 절경을 감상할 수 있다. 지난 1998년 7월 30일 전라남도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011년 팔영산도립공원이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편입되면서 현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지구로 불린다. 팔영산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산지가 해상국립공원에 포함된 사례이다. 총 면적은 17.91㎢이다. 소재지: 전남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산행 코스 : 팔영산주차장 → 능가사 → 흔들바위 → 1봉(유영봉) → 2봉(성주봉) → 3봉(생황봉)→ 4봉(사자봉)→ 5봉(오로봉)→ 6봉(두류봉) → 7봉(칠성봉)→ 8봉(적취봉) → 팔영산 깃대봉 정상 → 데크전망대→편백숲→탑재→ 능가사 → 팔영산주차장 ( 약 8.3 km ) 팔영산 8봉 : 제1봉은 유영봉(491m), 제2봉은 성주봉(538m), 제3봉은 생황봉(564m), 제4봉은 사자봉(578m), 제5봉은 오로봉(579m), 제6봉은 두류봉(596m), 제7봉은 칠성봉(598m), 제8봉은 적취봉(591m)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약 8.3km(약 5시간) = 팔영산 정상까지 5.53km(3시간 30분) + 하산 4.81km(1시간 30분) [팔영산 개요] 우리나라 대표적 암봉으로 이루어진 팔영산(八影山)은 전라남도 고흥군에 있는 산으로 소백산맥의 맨 끝부분에 있다. 높이 608m로 비슷한 높이의 봉우리 8개가 늘어서 있어 장관을 이룬다. 1998년 7월 30일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위왕이 세수대야에 비친 것을 보고 찾아 나선 신하들이 발견했다고 해서 팔전산이라고 부르던 것을 그림자 영(影)자로 바꿨다고 하며 또 일설에는 팔영산의 그림자가 한양까지 드리워져서 이렇게 불렀다고 한다. 2011년 1월 10일에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편입, 승격되었다 [산행기] 팔영산은 주차장에서 능가사를 시작으로 선녀봉을 시작으로 제1봉 유영봉부터 제8봉인 적취봉까지 오르고 깃대봉 정상에서 산등성이를 따라 계곡으로 내려와서 다시 능가사를 거쳐 팔영산 주차장으로 하산하는 코스이다. 주차장에서 조금 오르자 ‘팔영산 능가사라는 현판이 붙은 능가사가 고즈넉이 옛 정취를 풍기며 모습을 드러낸다. 등산로는 능가사 현판이 붙은 능가사 앞에서 왼쪽 길로 들어서면 밭두렁길이 이어진다. 지금은 등산로가 잘 닦여져 있어서 길을 찾기가 쉽다. 처음 만나는 것은 넓은 마당바위라는 뜻의 너덜 바위이다. 여기서 왼쪽 길을 타고 산등성이로 난 길을 따라 가면 바위 능선이 나타난다. 여기까지 오면 1부 능선을 지난 셈이다. 첫 바위봉에 오르면 흔들바위가 나온다. 하지만 혼자 아무리 움직이려 해도 꿈쩍도 하지 않는다. 제1봉인 유영봉은 서쪽으로 눈을 돌리면 제법 높은 봉우리가 보인다. 여기까지 오는 동안 앞으로 8봉까지 가기 위한 준비운동을 충분히 한 셈이다. 제1봉은 남쪽의 비탈길을 빙 돌아서 오르게 되어 있다. 평탄한 길이 아니어서 긴장을 늦추면 안된다. 암봉이 넓게 펼쳐진 유영봉에서 한 숨을 돌리고 선녀봉을 향해 방향을 돌린다. 선녀봉은 8봉에 속하지 않지만 8영산 능선에 위치해 같이 오르는 경우가 많다. 선녀봉을 오른 후 다시 올라갔던 길을 되돌아 내려와 제2봉인 성주봉을 향해 힘차게 걸음을 내딛는다. 제2봉도 만만치 않다. 밧줄도 있고 쇠줄도 박아 놓았다. 줄을 잡고 힘차게 올라야 한다. 하지만 정상에 오르면 제2봉은 조금 떨어져 있는 곳에 우뚝 서 있다. 다시 심호흡을 하고 부지런히 산을 오르면 제2봉 성주봉이 나타난다. 표지석에서 멀리 펼쳐진 다도해를 내려다보면 가슴이 뻥 뚫리는 느낌을 받는다. 이런 맛에 힘들게 산을 오르나 보다. 제2봉에서는 신선대로 뻗은 능선길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제3봉 생황봉을 넘으면 8봉 중 가장 위험한 제4봉이 앞으로 가로막는다. 제4봉은 왼쪽 너덜을 지나 쇠사다리를 올라 직벽을 기어가다시피 올라야 한다. 이렇게 쉽지 않은 길을 가다보면 제4봉을 넘고 5봉과 6봉에 다다른다. 제6봉은 지금까지 오른 5봉보다596미터로 가장 높다. 6봉과 7봉 사이에 계곡이 있는데 8봉까지 가기 어려운 경우 이곳으로 하산한다. 7봉을 넘고 통천문을 지나서 마지막으로 적취봉인 8봉을 올랐다. 통천문은 바위가 스스로 몸을 일으켜 자연의 문을 만들어 놓은 것처럼 신기하다. 8봉에 서게 되면 짜릿한 성취감이 올라와 기분이 상승한다. 무려 8개의 봉우리를 완주한 셈이다. 하지만 아직 8영산의 최고봉이 남아 있다. 바로 608m인 깃대봉이다. 팔영산의 8개 봉우리는 491m에서 591m까지 그렇지 높지 않다. 하지만 쉼게 오를 수 없는 위엄이 있다. 그만큼 온 힘을 다해 산 타는 맛을 느낄 수 있는 산이다. 눈이라도 오면 8봉에 쌓이고 하얀 안개까지 내려오면 제8봉에 서 있는 기분은 그야말로 신선이 된 듯한 착각에 빠지기 쉽다. 팔영산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금닭이 울고 날이 밝아 햇빛이 바다 위로 떠오르면 이 산의 봉우리가 마치 창파에 떨어진 인쇄판 같은 모습을 보여 ‘영(影)’ 자가 붙었다는 설, 또는 세숫대야에 비친 여덟 봉우리의 그림자를 보고 감탄한 중국의 위왕이 이 산을 찾으라고 명하였는데, 신하들이 고흥에서 이 산을 발견한 것에서 유래하였다는 설 등이다. 팔영산은 본래 팔전산(八顚山, 八田山)으로 불리었다. 팔영산은 백두대간에서 뻗어 내려온 산줄기의 남쪽 끝자락에 자리한 산이다. 해발고도는 609m이다. 고흥반도의 동쪽에 우뚝 솟아 있으며 북사면의 경사가 다소 급한 편이다. 해발 400m 이상의 정상부는 암석이 노출되어 절벽을 형성하고 있으며, 북쪽 사면으로는 8개의 암석 봉우리가 있다. 이 8개의 봉우리는 해발고도가 낮은 곳에서부터 제1봉으로 간주하여 가장 높은 곳에 제7봉이 위치하고 제8봉은 고도가 조금 낮은 곳에 있다. 팔영산에 오르면 서쪽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다도해국립공원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날씨가 청명한 날에는 멀리 대마도까지 보인다고 한다. 산의 입구에서 여덟 개 봉우리에 대한 시가 적힌 간판을 만날 수 있다. 8개 봉우리 사이의 험준한 구간에는 철제 계단을 설치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부 구간은 산세가 매우 험하여 위험구간이 도사리고 있다. 등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5시간 남짓으로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는다. 북쪽 능가사(楞伽寺) 근처에는 자동차야영장이 설치되어 있고, 산의 동쪽으로 해발 400m 지점에는 팔영산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 있다. 팔영산에는 30년 이상된 편백나무 숲이 416㏊의 면적에 우거져 있어 치유 및 힐링의 최적 입지로 꼽힌다. 팔영산은 암릉을 따라 산행하는 묘미를 즐길 수 있는 곳으로 많은 탐방객들이 찾는 곳인 동시에, 천연림을 비롯하여 고라니·산토끼·노루 등의 다양한 동식물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연학습장으로도 이용된다. 고려 충렬왕 때 통역관으로 공을 세워 재상에 올랐던 고흥 출신 류충신이 은거했다는 류정승은거지로 알려진 피난굴, 신선대, 강산폭포 등도 팔영산의 볼거리이다. 팔영산 북사면의 탐방지원센터 근처에 자리한 능가사는 예전에 화엄사, 송광사, 대흥사와 함께 호남 4대 사찰로 꼽혔다. 417년(신라 눌지왕 1)에 아도화상이 창건하여 보현사라고 불렀다고 전해기지는 하지만 신빙성은 없다. 보현사는 정유재란 때에 왜군에 의해 불에 타 버려 폐찰이 되었다가 1644년(인조 22)에 중창되어 능가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능가사에 있는 대웅전(보물 1307호), 동종(보물 제1557호), 사적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70호), 추계당 및 사영당 부도(전라남도 유형문화제 제264호) 등은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산행후기] 한때 호남의 4대 사찰로 명성이 높았던 능가사가 이제 송광사의 말사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었다. 빛은 바랬지만 천년고찰의 모습이 엿보이는 대웅전과 천왕문, 응진당 등의 건물들은 고색창연하고 절터도 여유롭다. 특히 대웅전은 규모와 웅장함은 여전하다. 전설에 따르면 옛날 유구태자가 표류되어 이곳에 이르렀다. 이 절 앞에서 엎드려 관음보살에게 기도하기를 '고국에 돌아가게 해달라'고 벌었더니 칠일칠야 만에 대사가 나타나서 태자를 끼고 파도를 넘어갔다고 한다. 이곳 스님이 그 이야기를 탱화로 벽에 그려 놓았다. 능가사를 둘러본 후 아쉽지만 하산을 마쳐야 했다. 서울로 올라가기 전에 동동주 한잔과 파전을 시켜 출출해진 배를 다독거렸다.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⑬한라산...제주 전역 368개 세계 최대 오름 군락지 형성한 민족의 영산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⑬한라산...제주 전역 368개 세계 최대 오름 군락지 형성한 민족의 영산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화첩산행 13번째로 민족의 영산 한라산을 가보았다. 서울에서 따로 시간을 내기가 어려워 차일피일 미루다 큰 마음먹고 항공권을 끊었다. 그런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일기예보를 보니 날씨가 흐리다고 나와 있었다. 비가 오더라도 등산은 문제가 안되지만 사진이 걱정이었다. 그래도 이미 화살은 당겨졌으니 날씨는 하늘에 맡기기로 하고 출발했다. [한라산 개요] 남한 최고봉, 민족의 영산인 한라산은 1966년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으로, 1970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2002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008년에는 물장오리오름 산정화구호 습지가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어 세계적으로 보호 관리되고 있다. 한라산은 화산폭발에 의해 형성된 원추형의 순상화산(楯狀火山)이다.이것은 화산폭발 당시 용암(마그마)의 점성(粘性)이 낮아 평탄하게 용암이 흘러내리면서 동서방향으로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남북방향으로는 다소 급한 경사를 이루게 했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지형을 지질학적으로는 아스피테(Aspite)형 화산이라 하는데, 방패모양의 단면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한라산은 양변의 기울기가 다소 완만한 삼각형의 윗부분을 형성하는데 해발고도는 600에서 1950고지까지이다. 한라산의 지질은 현무암, 조면암 등으로 되어 있고 대부분의 하천은 평상시에는 물이 흐르지 않는 건천이다. 따라서 한라산 등반시에는 식수를 반드시 지참 해야 한다. 그리고 한라산은 기상 변화가 심하여 아무리 좋은 날씨라해도 한 두번의 기상 악화를 예상하여 바람, 비, 눈에 대비한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또한 해발 고도에 따라 0.6℃ - 1.0 ℃ 안팍의 차이를 보일 만큼 온도 편차가 심할 뿐만 아니라 바람 때문에 체감 온도가 더 내려 간다. 한라산은 수시로 안개가 내려오기 때문에 자칫 길을 잃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반드시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해 여러명이 함께 탐방하는 것이 안전하다. [코스] 왕복 6시간30분 1. 성판악탐방로 (진달래밭 3시간, 정상 4시간30분) - 9.6 Km 성판악탐방안내소 – 속밭대피소 –사라오름입구 – 진달래밭 대피소 – 정상 백록담 9.6km 2. 관음사탐방로 (삼각봉대피소 3시간20분, 정상 5시간) - 8.7Km 관음사지구야영장 – 탐라계곡 – 개미등 – 삼각봉 대피소 –정상 백록담 [산행기] 한라산 성판악까지 30분 남짓 걸리는 서귀포에 숙소를 정했다. 다음날 일찍 간단히 요기를 하고 성판악으로 출발했다. 그런데 평일임에도 이른 아침부터 성판악 주차장은 만차였다. 갓길로 주차된 차량들이 멀리 500미터까지 이어져 있었다. 나 역시 렌트카를 주차해야 했기에 빈 공간이 보이는 지점까지 꽤 멀리 가서 주차를 시켰다. 배낭을 메고 약 15분쯤 걸어서 성판악 입구에 도착했다. 오르기도 전에 지쳤다. 시간도 9시가 가까워지고 있었다. 진달래밭 대피소까지는 무조건 12시 이전에 도착해야 정상을 밟을 수 있기때문에 지체할 겨를이 없었다. 입구에 들어서자 남녀 고등학생들이 단체로 수학여행을 왔는지 등산로에 가득했다. 게다가 어찌나 떠들어대는지 한라산에 맞게 온 것인지 의심이 들 정도였다. 학생들을 피해 좁은 등산로를 올라가기란 쉽지 않았다. 그나마 먼저 가라고 길을 비켜주는 학생들이 있었기에 진달래 대피소까지 부지런히 올라갈 수 있었다. 안내판에 적혀있는 한라산 동쪽코스인 성판악탐방로는 관음사탐방로와 더불어 한라산 정상인 백록담을 오를 수 있는 탐방로이다. 한라산 탐방로 중에는 가장 긴 9.6㎞이며, 편도 4시간 30분이 소요되었다. 성판악관리사무실(해발750m)에서 출발하여 속밭, 사라오름입구, 진달래밭대피소를 지나 정상까지는 대체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큰 무리는 없으나 왕복 19.2km를 걸어야 하기 때문에 체력안배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하산은 관음사 코스로도 가능하다. 또한 탐방로 5.8km지점에 사라오름으로 향하는 길을 따라 600m를 오르면 산정호수와 한라산의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사라오름 전망대가 있다. 이 탐방로의 특징은 백록담 정상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숲으로 형성되어 있어 삼림욕을 즐기며 탐방하기에 최적의 장소이다. 탐방로에서 보이는 오름군락은 화산섬의 신비감을 그대로 전달해준다. 한라산 자생지인 구상나무 숲이 가장 넓게 형성된 곳이며 한라장구채 큰오색딱따구리 오소리 노루 등의 한라산 동·식물을 관찰할 수 있다. 주의 할 것은 여름철 말벌에 쏘이지 않도록 각별히 유념하고 하산 시 다리골절이나 체력소모로 인한 탈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 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수시로 비가 오거나 겨울철 눈이 올 경우 하산시 물기 있는 돌에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이다 나는 3시간짜리 코스인 성판악에서 진달래대피소까지 7.3km를 11시에 끊었다. 8시 30분에 출발했으니 2시간 30분이 걸린 셈이다. 진달래 대피소부터 날씨가 급격히 안좋아졌다. 안개도 짙게 내려와 사방을 분간하기 어려웠다. 기온도 내려가 한기가 느껴졌다. 땀을 많이 흘려서 옷을 갈아입어야 하는데 진달래 대피소에는 등산객들과 수학여행 온 학생들로 발디딜틈이 없었다. 겨우 물만 마시고 정상을 향해 올라갔다. 백록담에도 표지석을 촬영하기 위해 길게 줄을 늘어선 사람들과 앉아서 식사를 하는 학생들로 만원이었다. 급히 사진을 찍고 백록담을 내려다 보았는데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안개가 이미 백록담까지 점령한 탓이다. 그래도 걷히기를 기대하며 30분 정도 기다렸다. 하지만 추위가 점점 살을 파고들어 버티기가 어려웠다. 결국 백록담 사진을 제대로 건지지 못한 채 하산을 시작했다. 내려오는 동안에도 안개는 여전히 주위를 맴돌았다. 깨끗하게 걷히기를 희망했는데 거기까지 였다. 다시 성판악탐방안내소까지 내려오니 시간은 3시가 조금 넘었다. 생각보다 빨리 내려온 것이다. 이번 한라산 등반은 아쉽지만 여기서 마감했다. 하산시 주의할 점은 정상인 백록담에서 무조건 오후 1시30분 이전에 내려가야 한다. [산행후기] 수많은 학생들과 등산객들로 한라산 등반은 시작부터 쉽지 않았다. 내 페이스대로 오를수가 없으니까 쉽게 지쳤다. 사진 촬영도 사람들이 많아서 여의치 않았다. 그래도 한라산 단풍이 예쁘게 물들어 위안이 되었다. [백록담이야기] 옛날 힘이 세고 활을 잘 쏘는 사냥꾼이 있었다. 그런데 그날은 이상하게 사냥이 신통치 않았습니다. 온종일 산을 뒤져도 새 한 마리 잡지 못했다. 그래서 빈손으로 집으로 돌아가려는데 마침 새 한 마리가 바로 머리 위로 지나가 맞은편 바위 위에 앉는 것이었다. 사냥꾼은 재빨리 활의 시위를 당겼다. 그러나 새는 맞지 않고 포르르 날아가더니 좀 떨어진 바위 위에 앉아 버렸다. 사냥꾼은 다시 한 발의 활을 더 쏘았다. 그러나 허탕이었다. 화가 난 사냥꾼은 다시 세 번째 시위를 당겼다. 그런데 그 화살은 새를 맞히지 못하고 낮잠 자는 해님의 배를 맞히고 말았다. 화가 난 해님은 벌떡 일어나면서 사냥꾼이 서 있는 한라산 정상을 걷어찼다. 그 바람에 산꼭대기가 휙 잘려나가 앞 바다가에 떨어졌다. 그것이 지금으 안덕면 사계리 지경 바닷가에 있는 산방산이 되었고, 한라산 정상은 움푹 들어가 버렸다고 전해진다. [기타 안내] 화 장 실 : 성판악사무실, 속밭대피소, 진달래밭대피소 교 통 : 제주시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 방면(516도로-간선281/ 직행181) 시외버스 이용(40분) 입구에서 내려 2분쯤 걸으면 성판악 탐방로가 있다. 대중교통 281번, 181번 버스운영 시간 -> 제주버스정보시스템 http://bus.jeju.go.kr/ 을 통해 쉽게 알아 볼 수 있다. 기타 문의 :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064)747-9950 / 성판악지소 064)725-9950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⑪재약산...영남 알프스의 진미, 가을 억새에 흔들리다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⑪재약산...영남 알프스의 진미, 가을 억새에 흔들리다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오늘은 산림청 지정 100대 명산 중 11번째로 재약산을 소개한다. 재약산 (載藥山 높이 1108m)은 영남알프스에 속한 산으로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경계에 위치한다. [재약산 개요] 재약산은 가지산[1241m]과 신불산[1159m]을 비롯해, 간월산[1069m],영축산[1081m], 천황산[1189m], 고헌산[1034m] 운문산[1195m], 문복산[1015m]과 함께 영남알프스에 속한다. 이렇게 영남알프스는 울산, 밀양, 양산, 청도, 경주의 접경지에 형성된 가지산을 중심으로 해발 1천m 이상의 9개 산이 수려한 산세와 풍광을 자랑하며 유럽의 알프스와 견줄 만큼 수려한 산세를 자랑한다. 그중 신불산, 가지산, 재약산, 운문산은 산림청이 선정한 100대 명산에 속한다. 재약산은 남쪽으로 표충사를 품고 계곡에는 층층폭포, 흑룡폭포가 있다. 북쪽 남명리 천황사 계곡에 얼음골(천연기념물 제224호)이 있어 영남지역의 나들이 코스로 사계절 인기가 많다. 재약산은 한때 억새 명산이었으나 억새가 점차 볼품이 없어져 지금은 억새 명산에서 제외되었다고 한다. [재약산 코스] (1코스) 석남터널~능동산~샘물상회~천황산 사자봉~재약산 수미봉~죽전마을~파래소유스호스텔 약 24.5km [석남~능동10km + 능동~죽전13km + 죽전마을~파래소1.5km(아스팔트길)] 12시간 (2코스) 표충사입구-작전도로-층층폭포-사자평-재약산 수미봉(원점회귀) = 5시간 (3코스) 표충사입구-표충사-흑룡폭포-층층폭포-사자평-재약산 수미봉 (원점회귀) = 5시간40분 (4코스) 표충사입구-내원암-갈림길-진불사-재약산 수미봉-천황산 사자봉 (원점회귀) =6시간 (5코스) 표충사입구-내원남-갈림길-천황산 사자봉(원점회귀) = 5시간 (6코스) 표충사입구-표충사-금강폭포-사자봉 (원점회귀) = 4시간50분 [산행기] 영남알프스에서 사자평을 걸으며 사자후를 외치다 서울에서 심야 버스를 타고 영남 밀양으로 내려갔다. 재약산을 오르기 위해 잠을 설쳤더니 컨디션이 엉망이었다. 새벽 4시부터 시작된 산행은 만만치 않았다. 들머리로 석남터널에서 천천히 발걸음을 내딛기 시작했다. 해드랜턴을 길잡이 삼아 배낭의 무게감을 느끼면서 캄캄한 사위를 헤치고 계속해서 위로 올라갔다. 그렇게 한참을 올라가니 능동산(983m) 표지석이 나타났다. 오르면서 주위의 어둠이 서서히 걷히면서 조금씩 풍경이 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어둠 속에서 나타난 나무들과 하늘을 보자 마음도 시원해지는 것 같았다. 무거웠던 걸음도 가벼워지면서 산길이 경쾌해졌다. 3시간 쯤 오르자 영남 알프스 1000m 고지들이 시야에 전개되고 시원한 바람까지 불어온다. 능동산 정상이다. 능동산은 영남 알프스 중앙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정상에 오르면 전망을 두루두루 관망할 수 있다. 정상에는 제법 견고한 돌탑이 세워져 있다. 마치 작은 첨성대처럼 생겼다. 능동산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고 다시 방향을 천황산 사자봉으로 향한다. 산행길은 오르막이 거의 없고 부드러운 능선길이다. 능선을 따라 영남알프스의 경관을 감상할 수가 있다. 이 때 느끼는 기분은 정말 상쾌하다. 이 맛에 힘들게 산을 오르는지 모른다. 중간 쯤에 샘물상회가 있어서 간단히 요기를 할 수가 있다. 아침을 여기서 먹어도 된다. 수제 막걸리 한잔과 컵라면을 시켜서 먹었는데 꿀맛이다. 금방 원기가 회복되는 것 같다. 혼자서 막걸리를 마시고 있는데 주인장이 나타나 샘물상회가 터를 잡기까지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해주겠다고 하기에 정중히 인사를 드리고 서둘러 나왔다. 아무래도 그분의 긴 얘기를 제대로 들어주면 이번 산행은 오늘 안으로 못할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들었기 때문이다. 샘물상회를 벗어나기 무섭게 억새들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사자봉 주변의 억새 덕분에 사자평이란 명칭까지 붙었나 싶다. 재약산에서 가장 높은 천황산 사자봉을 지나 재약산 수미봉을 향해 걷기 시작했다. 재약산까지 꽤 넓은 평지가 이어졌고 억새들로 장관을 이룬 모습이 정상이라기보다 고원지대에 있는 느낌이었다. 재약산은 약초로 유명하다. 재약(載藥)도 약초가 많은 산이라는 뜻이다. 신라 흥덕왕의 왕자가 나병에 걸렸는데 이곳 표충사(창건 당시 죽림사)에서 약수를 마신 후 환부를 씻고 깨끗이 나았다는 전설이 있다. 흥덕왕은 절 이름을 병을 낫게 한 영험한 우물이 있다는 뜻에서 영정사(靈井寺)로 고쳐 부르게 하고, 사찰을 품은 산은 좋은 약초가 많이 나는 산이라는 뜻에서 재약산으로 부르게 했다고 한다. 그밖에도 재약산에는 천연기념물 얼음골, 표충사, 층층폭포, 금강폭포등 수많은 명소를 지니고 있다. 재약산 정상에서 하산을 시작한다. 하산은 죽전마을까지 이어진다. 길은 험하지 않다. 데크로 잘 만들어진 길 덕분에 편하게 걸을 수 있다. 데크 계단길이 끝나고 인적이 드문 산길이 나타난다. 그 길을 계속 따라가면 죽전마을 표지판과 집들이 보인다. 이제부터 산길은 사라지고 아스팔트 길이다. 무려 1.5km나 딱딱한 아스팔트를 걸어야 한다. 이번 산행 중 가장 재미없고 무료하게 느껴지는 구간이 바로 하산길 중 죽전마을부터 파래소까지 약 1시간 거리였다. 많은 등산객들이 표충사를 들머리로 시작해 사자평과 재약산 수미봉을 밟은 후 원점 회귀하는 이유를 알 것 같았다. 그래도 이번 재약산 등산 역시 한국에도 유럽 못지않은 알프스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두 눈으로 확인했기에 나쁘지 않았다. 아니 즐겁고 보람 있는 산행이었다. [제약산 명소] 표충사-옥류동천-층층폭포-금강폭포 표충사는 원효대사가 654년 창건한 절로 원래 이름은 '죽림사'(竹林寺)였다. 지금도 사찰 뒤편 언덕으로 대나무숲이 울창하다. 표충사란 이름은 사명대사와 관련이 있다. 임진왜란 때 승병으로 큰 공을 세운 서산대사, 사명대사, 영규대사를 기리기 위한 표충서원을 1839년 이곳으로 옮기고 중창하면서 이름을 표충사로 바꿨다. 표충사는 사찰과 유교 서원이 함께 있는 독특한 절이다. 한쪽에는 신라 흥덕왕의 아들이 사용하고 병을 고쳤다는 약수가 졸졸 흘러내리는 약수터가 있다. 이름은 '영정약수'(靈井藥水). 약수는 무척 달고 시원하다. 표충사 주위는 송림이 울창하다. 석탑과 사우들도 정갈하다. 원효가 창건했으며 사명대사와 효봉스님을 배출한 대찰. 특히 유품전시관을 두고 해마다 향사를 지내는 등 사명대사의 호국성지로 유명하다.전시관에는 국보 75호인 청동합은 향완과 선조가 하사한 금란가사 등 보물과 문화재들이 가득하다. 표충사 못미처에서 오른쪽으로 뚫린 계곡이 옥류동천이다. 오솔길을 따라 약 2㎞ 거리에 홍룡폭포가 있고 1.8㎞를 더 오르면 20m쯤의 폭포 2개가 연이은 층층(칭칭)폭포가 있다. 층층폭포에서 2㎞ 지점에는 늦가을의 명소인 사자평 분지와 폐교된 사자평분교(산동초등학교 고사리분교)도 널리 알려져 있다. 고사리마을로도 불렸던 이 일대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몇 가구가 민박을 받으며 식사를 팔았지만 지금은 모두 철거됐다. 한편, 표충사에서 북쪽으로 1.5㎞쯤 등반하면 일곱 빛깔 무지개가 영롱한 높이 25m의 금강폭포가 있다.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⑩설악산...공룡이 용솟음치는 모습, 국립공원 100경 중 제1경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⑩설악산...공룡이 용솟음치는 모습, 국립공원 100경 중 제1경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대한민국 화첩산행100’의 열 번째 산행지로 단풍의 바로미터라고 불리는 설악산(1708m)을 선택했다. 하지만 10월 초에 찾아간 설악산은 이제 막 물이 들기 시작해서 절정의 아름다움을 볼 수 없었다. 설악산은 규모와 높이는 물론 등산코스도 다양해서 한 번 산행으로 절대 만족할 수 없는 명산이다. 이번 탐방코스는 공룡능선으로 우리나라 국립공원 100경 중 제1경에 꼽힐 정도로 아름다운 절경을 자랑한다. [설악산 개요] 1970년 우리나라에서 다섯 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설악산은 금강배나무, 금강봄맞이, 금강소나무, 등대시호, 만리화, 눈설악주목, 설악아구장나무, 설악금강초롱, 솜다리 등 특산물 65종, 눈측백 노랑만병초, 난쟁이붓꽃, 난사초, 한계령풀 등 희귀식물 56종이 보고되고 있다. 천연보호구역 내의 동물은 1562종이 보고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반달가슴곰, 사향노루, 산양, 수달, 하늘다람쥐, 황조롱이, 붉은배새매, 열목어, 어름치 등은 별도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1982년에는 유네스코로부터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관리 되고 있는 지역으로 설악산국립공원의 총면적은 398.237㎢에 이른다. 설악산은 한라산과 지리산 다음으로 높은 산이다. 추석 무렵부터 눈이 내리기 시작해서 여름이 되어야 녹아 설악산이란 이름이 지어졌다고 한다. 행정구역으로는 인제군과 고성군, 양양군과 속초시에 걸쳐 있는데 인제 방면은 내설악, 한계령~오색방면은 남설악, 그리고 속초시와 양양군 일부, 고성군으로 이루어진 동쪽은 외설악이라고 부른다. 설악산은 주봉인 대청봉을 비롯해 소청봉, 중청봉, 화채봉 등 30여 개의 높은 봉우리가 웅장하게 펼쳐져 있다. [코스] 용소폭포코스 : 약수터탐방지원센터-용소폭포탐방지원센터 코스(3.2km, 1시간 소요) 난이도 쉬워서 산책코스로 좋다. 온천과 약수를 즐길 수 있으며 수정처럼 맑은 계곡과 기이한 암석이 어우러져 우리나라 최고의 단풍을 즐길 수 있는 대표코스로 유명하다. 울산바위코스 : 설악산의 대표 경관자원인 울산바위에 올라 동해바다, 속초시, 대청봉을 조망할 수 있는 대표코스. 난이도는 흔들바위부터 울산바위까지 상급이다. 설악산 울산바위 코스는 연중 인기가 많다. 특히 10월 중순부터 11월 초순까지 가을 단풍 감상에 적합한 코스로, 기암괴석과 단풍이 어우러져 설악산 단풍감상의 최적 장소로 추천할 수 있다. 단, 흔들바위에서 울산바위로 올라가는 코스는 계단이 많고 다소 경사가 있어 산행시 주의가 필요하다. 권금성코스 : 케이블카를 타고 권금성까지 올라가서 울산바위, 동해바다, 속초시 등을 감상 할 수 있다. 비룡폭포(토왕폭전망대) : 난이도 쉬운편이다. 소공원에서 비룡폭포를 지나 45년만에 개방된 토왕성의 멋진 비경을 볼 수 탐방코스 (편도 2.8km, 1시간 반). 오솔길 자연관찰로를 따라 숲 속의 여유로움을 느껴볼 수 있다. 설악산의 유명한 폭포(육담, 비룡, 토왕성폭포)를 손 쉽게 만나볼 수 있는 편안한 코스이며 소공원에서 편도 1시간 반 정도로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금강굴코스 : 소공원에서 비선대, 금강굴을 왕복하는 탐방코스 (편도 3.6km, 2시간 소요). 대청봉을 비롯한 설악의 대표적인 봉우리들과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바라볼 수 있다. 강굴 코스는 대청봉, 중청봉, 소청봉, 천불동계곡, 공룡능선 등 아름다운 설악산의 자연경관을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는 코스다. 금강굴은 미륵봉 중턱에 위치한 자연동굴로, 일찍이 원효대사가 이곳에서 수행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단, 비선대에서 금강굴로 올라가는 코스는 제법 가파른 계단을 올라가야 한다. 양폭코스 : 10월 중순부터 11월초까지 설악산의 계곡과 기암절벽이 어우러져 수려한 경관을 이루며 가을 단풍이 가장 아픔다운 대표 코스. 신흥사에서 비선대, 귀면암, 양폭대피소를 왕복하는 탐방코스 (편도 6.5km, 3시간10분 소요) 백담사코스 : 백담용대마을에서 백담사까지 탐방코스 (왕복 13km, 3시간소요). 설악산 문화자원인 백담사찰을 둘러볼 수 있다. 설악산 백담코스는 대청봉에서 백담사까지 백개의 웅덩이가 있다하여 백담사라고 이름이 지어졌다. 만해 한용운 선생이 이곳 백담사에서 “님의 침묵”을 집필했으며 백담계곡과 어울어져 내설악 단풍감상의 최적 장소로 추천할 수 있다. 수렴동코스 : 백담탐방지원센터부터 수렴동대피소까지 탐방하는 코스(편도 11.2km, 3시간 소요). 산행시작부터 끝까지 물길을 따라 걷는 평탄한 길이다.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고 편안하게 걸으며 마음의 여유를 즐길 수 있는 산책길로 유명하다. 남교리코스 : 경관은 좋지만 난이도는 중상으로 험한 편이다. 지상의 하늘을 만나다! 심이선녀탕과 함께하는 설악산 으뜸 경관 코스. 남교리-복숭아탕-대승령-장수대(편도 11.3km, 6시간 30분 소요). 아름다운 자연경관에 흠뻑 빠질 수 있는 설악산 으뜸 경관 코스 중 하나다. 선녀들이 목욕했다는 십이선녀탕과 서북주능과 장수대로 펼쳐지는 넓은 시야가 탐방객의 마음을 사로잡아 해마다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대승폭포코스 : 한국의 3대 폭포 중 하나인 80m 높이를 자랑하는 대승폭포를 볼 수 있는 코스이다. 장수대에서 대승폭포를 왕복하는 코스 (왕복 1.8km, 1시간 20분 소요). 금강산에 구룡폭포가 있고, 개성에 박연폭포가 있다면, 설악산에는 대승폭포가 있다. 구불구불 한계령 자락에 위치한 장수대에서 편도로 약 40분 올라가면 높이 80m를 자랑하는 대승폭포 경관이 장엄하게 펼쳐진다. 대청봉코스(오색) : 우리나라에서 세번째로 높은 봉우리로 대청봉을 가장 빨리 오를 수 있는 최단거리 코스. 남설악탐방지원센터에서 대청봉까지 가장 빠르게 오르는 최단거리 코스(편도 5.0km, 4시간 소요). 오색코스는 양양군 서면 오색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설악 탐방지원센터에서 출발하는 오색~대청 탐방코스다. 대청봉코스(백담) :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 중 하나인 봉정암을 만날 수 있는 코스- 백담사에서 대청봉을 지나 소공원까지 내설악과 외설악을 즐길 수 있는 코스(1박 2일 코스, 23.9km, 12시간 50분 소요). 장시간 산행에 필요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대청봉코스(한계령) : 영동과 영서, 내설악과 남설악의 분기점. 한 폭의 그림과 같은 비경이 머무르는 한계령 코스이다. 한계령-서북능선-대청봉-비선대-소공원 코스 (19.3km, 12시간 소요). 한계령 코스는 짧지만 험하고 아름답지만 거친 설악산의 대표 코스 중의 하나다. 단시간에 대청봉에 오를 수 있는 코스이지만 초행길인 탐방객에게는 쉽지만은 않다. 하지만 영동과 영서, 내설악과 남설악의 분기점의 위치에서 조망하는 공룡능선, 중청, 대청 등의 한 폭의 그림과 같은 비경을 조망할 수 있어 해마다 많은 탐방객이 찾고 있다. 탐방 전에 준비운동이 필요하다. 대청봉코스(설악동) : 소공원, 비선대, 천불동계곡, 대청봉, 설악폭포 등 비경을 감상할 수 있다. 오색- 소공원-비선대-희운각-대청봉-설악폭포-오색코스(16km, 10시간 40분소요) 설악산 대청봉(소공원) 코스는 연중 인기가 많으며 특히 1박 2일의 산행을 계획한 탐방객들에게 만족도가 높은 대표 코스 중에 하나다. 한겨울 눈 꽃 가득한 설악산, 봄여름 초록빛의 생명이 움트는 설악산, 가을 단풍으로 붉게 물든 설악산의 모습에 풍덩 빠져볼 수 있는 코스. 단, 희운각~중청~오색의 급경사지와 중청에서 대청까지 가는 길은 바람이 매우 센 편이다. 공룡능선코스 A코스: 오색(한계령)~대청봉~중청~소청삼거리~희운각~공룡능선~마등령~신흥사~설악동C지구주차장(오색출발 약 22.6km / 한계령출발 25.3km) B코스: 오색(한계령)~대청봉~중청~소청삼거리~희운각~양폭산장~비선대~신흥사~설악동C지구주차장(약 16km ) C코스: 설악동주차장~천불동계곡~양폭~무너미삼거리~공룡능선~마등령~신흥사~설악동C지구주차장(약 17.6km ) [공룡능선] 공룡능선은 국립공원 100경 중 제1경일 정도로 아름답고 웅장하며, 신비로운 경관을 보여준다. 외설악과 내설악을 남북으로 가르는 설악산의 대표적인 능선이다. 공룡이 용솟음치는 것처럼 힘차고 장쾌하게 보인다하여 공룡릉(恐龍稜)이라 불린다. 공룡릉은 보통 마등령에서부터 희운각대피소 앞 무너미고개까지의 능선구간을 가리킨다. 속초시와 인제군의 경계이기도 하다. 공룡능선은 영동·영서를 분기점으로 바람도 세고 구름이 자주 끼는 등 기상변화가 시시각각 변한다. 내설악과 외설악을 가르는 설악의 중심 능선이며, 내설악의 가야동계곡, 용아장성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외설악의 천불동계곡부터 동해 바다까지 시원하게 펼쳐진 절경을 볼 수 있는 곳이다. 국립공원 관리공단에서는 지난 1월“시각적, 심미적으로 아름답거나 정감적으로 느껴져 보전가치가 큰 지형, 식생, 동ㆍ식물, 자연현상 등 자연요소 또는 문화유산, 촌락, 생활상등 역사ㆍ문화요소”를 국립공원 경관으로 정의하고 전문가 그룹과 함께 국립공원 대표경관을 선정했는데 그 중 1경이 바로 공룡능선이다. 그만큼 빼어난 경관을 보기 위해 많은 탐방객이 도전하는 코스로 유명하다. [산행기] 공룡능선의 절경...마치 딴 세상에 온 듯한 풍경 '설악 중 진설악'이라고 부르는 공룡능선은 속초시와 인제시의 경계를 이루는 능선으로 설악산을 내설악과 외설악으로 구분할 때 그 경계가 되기도 한다. 공룡능선을 따라 오르면 동쪽으로는 권금성이 보이고, 서쪽으로는 용아장성을 조망할 수 있어 설악산 내에서 가장 멋진 경관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공룡능선은 설악동과 백담사쪽에서 오를 수 있는데, 이 둘을 연결하는 마등령의 정상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바로 공룡능선이다. 설악동에서 비선대까지 간 다음, 비선대에 있는 구름다리를 지나 오른편(서쪽)으로 난 길을 따라 올라가면 마등령으로 오를 수 있다. 계단을 오르자마자 금강굴이 보이며 계속해서 서쪽으로 이어진 길을 따라 가면 그곳이 마등령인데, 비선대에서 마등령까지는 약 3.5 킬로미터로 대략 세 시간 정도가 걸리는 비교적 가파른 길이다. 마등령까지 오르는 길에는 왼쪽으로 공룡능선이 바라볼 수 있으며 마등령에 가까이 다가가면 공룡능선의 대표적 지릉이라 할 수 있는 천화대가 보인다. 마등령으로 오르는 길에는 샘터가 하나 있는데 공룡능선에 들어서면서부터는 물을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여기서 물을 채우는 것이 중요하다. 마등령고개에 오르면 북쪽으로 저항령, 활철봉, 미시령으로 이어지는 북주릉으로 가는 길이 나타나는데, 현재는 자연휴식년제 구간으로 입산이 금지되어 있다. 마등령에서 내리막길을 따라 약 0.2 킬로미터 정도 내려가면 마등령쉼터라 불리는 너른 공터가 나타나는데, 여기서 바라보는 외설악의 경치가 빼어나며 천불동계곡과 화채릉을 두루 둘러 볼 수 있다. 마등령쉼터의 삼거리에서 남동쪽으로 향하는 길이 바로 공룡능선을 지나 희운각으로 이어지는 5.1 킬로미터의 능선길이다. 마등령삼거리에서 동쪽으로 난 길을 따라 0.5 킬로미터 정도 오르면 나한봉(해발 1250미터)에 이르는데 여기서 남서쪽을 바라보면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공룡의 어금니와 비슷하다는 용아장성이 보인다. 나한봉에서 길은 왼쪽으로 나 있고 작은 암봉을 넘어 40분쯤 가면 1275m 봉 오르기 전의 안부가 나온다. 이곳에서 왼쪽(동쪽)으로 천불동계곡의 지류인 설악골이 내려다 보인다. 이곳에서 오른쪽(남서쪽)으로는 가야동계곡으로 흐르는 작은 계곡이 시작된다. 이곳에서 지계곡을 따라 가야동계곡 쪽으로 10분 정도 내려서면 물을 구할 수 있는데 안내표지판이 없기 때문에 초행자일 경우 찾기 어렵기때문에 반드시 공룡능선상에서는 물을 준비해 가야 한다. 샘터로 내려가는 삼거리를 지나면 바로 1275m봉으로 오르는 오르막길이 시작되는데, 아주 가파른 경사로 이어져 있다. 1275m봉은 공룡릉의 한가운데에 있는 봉우리로서 공룡릉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 마등령까지는 2 킬로미터, 그리고 희운각까지는 3.1 킬로미터이다. 1275m봉에서 내려서는 길은 아주 가파른 곳이다. 급경사지대를 내려서면 길은 왼쪽으로 이어진다. 1275m봉을 지나 나오는 첫 번째 암봉(노인봉, 1120미터)에서 북동쪽으로 뻗은 암릉이 천화대(天花臺)이다. 천화대는 20여 개의 바위 봉우리로 이루어진 암릉인데, 천불동계곡의 지류인 설악골과 잦은바위골을 가르며 비선대부근까지 흘러내린 이 바위 능선에는 석주길, 염라길, 흑범길 등의 유명한 암릉코스가 있다. 천화대에 우뚝 솟아오른 범봉은 설악산 암릉의 상징이라 할 만큼 수려하다. 1275m봉을 지나면 또 하나의 급경사 내리막길이 나온다. 돌사태가 난 곳으로서 급경사 바위사면 내리막길을 내려서다가 다 내려서지 말고 중간에서 왼쪽으로 트래버스하여 올라서야한다. 이곳을 지나면 다시 능선길이다. 왼쪽으로는 외설악이 내려다보이고, 오른쪽으로는 가야동계곡과 용아릉이 보인다. 그리고 그 너머로는 서북릉이 보이고, 동남쪽으로는 대청봉과 중청봉이 보이며 곧 1184m봉에 닿는다. 1184m봉에서 뒤를 돌아보면 1275m봉의 모습이 아주 빼어나며, 내,외설악의 전망을 살피기 아주 좋은 곳이다. 1184m봉을 내려서면 계곡 쪽으로 계속 이어진 길을 따르지 말고 암벽지대가 끝나는 곳에서 표지리본이 나무에 여러 개 달린 왼쪽으로 조금 올라가야한다. 계속 내려서면 가야동계곡으로 내려가게 된다. 1184m봉을 지나 숲속의 능선 우측으로 길을 따라가면 신선암(1210 미터)에 닿게 된다. 신선암의 전망대라 할 신선대에서는 대청봉(1708m)과 희운각대피소, 죽음의 계곡이 잘 보인다. 신선대에서는 오른쪽 아래로 급경사 내리막길을 내려서면 곧 무너미고개에 닿는다. 무너미고개에서 오른쪽 아래로는 가야동계곡으로 길이 이어지고, 왼쪽으로는 천불동계곡으로 내려서는 길이며, 직진하면 10분 정도 거리에 희운각대피소가 있다. [산행 후기] 설악산 산행은 새벽 3시부터 시작해서 저녁 6시까지 무려 16시간이 걸렸다. 산행을 마치고 내려왔을 땐 이미 주위가 어두워진 상태였고 막차도 없었다. 결국 매표소 앞에 있는 식당에서 저녁식사를 했다. 풍경에 취해 사진을 찍느라 차시간을 놓친 것은 아쉬웠지만 느긋하게 사진을 보며 공룡능선 탐방의 즐거움을 다시 한번 느껴볼 수 있어서 좋았다. [Tip-주의사항] 1. 공룡능선 코스 중 공룡능선의 경우 영동, 영서의 분기점으로 구름이 자주 끼는 등 기상변화가 매우 심할 뿐더러, 길이 매우 가파르고 평지가 없어 등산하기에 매우 힘든 코스이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이곳 능선으로 진입하기 전까지의 체력안배가 중요. 2. 노면이 고르지 못한 등산로에서는 체력이 소진되면 헛디딤으로 인한 발목부상 위험이 크기 때문에 항상 주의해야 한다. 3. 식수는 희운각대피소까지 가셔야지 확보가 되기 때문에 그전에 비선대 휴게소나 마등령 전망대 하단의 샘터에서 식수를 미리 챙겨야 한다.
여행종합
[잘츠부르크] 가을여행...6개 럭셔리 온천과 워터파크로 고고씽!!
[잘츠부르크] 가을여행...6개 럭셔리 온천과 워터파크로 고고씽!!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아침저녁으로 제법 찬공기가 부는 요즘이다. 가을 여행을 생각한다면 일본의 온천보다 더욱 로맨틱하고 멋진 분위기를 자랑하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로 떠나보자. 가족여행을 계획하거나 특별한 힐링이 필요한 여행객들을 위해 잘츠부르크주의 다양한 온천 리조트가 초대장을 보낸다. 잘츠부르크주에는 총 6개의 온천과 워터파크가 있어서 연령이나 취향별 다양한 개인 선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1. 아마데 스파 온천 Therme Amadé Spa 2. 골링의 ‘아쿠아 잘자’ 온천 AQUA SALZA, GOLLING 3. 타우언 스파 카프룬 TAUERN SPA KAPRUN 4. 암석온천 펠젠테르메 바트가슈타인 FELSENTHERME, BAD GASTEIN 5. 알펜테르메 바트호프가슈타인 Alpentherme, Bad Hofgastein 6. 치유온천, 바트 피가운 Heiltherme, Bad Vigaun 1. 아마데 스파 온천 Therme Amadé Spa -폰가우(PONGAU) 옛시장 근처에서 멋있는 온천 체험. 가족단위 방문객이라면 테르메 아마데 스파 (THERME AMADÉ SPA)를 추천한다. 이곳에서는 수영, 사우나, 일광욕을 즐길 수 있으며, 핀란드식 사우나 전통에 따라 사우나가 모든 연령의 어린이들에게 개방되어 있다. 수중 마사지기가 있는 파도풀, 다양한 농도의 소금탕, 다이빙 보드가 있는 수영장을 포함하고, 정기적으로 아이들과 임산부를 위한 수영강습도 이루어진다. 휴식 후 스릴을 느끼고 싶다면 ‘블랙맘바’, ‘파이톤’이라 불리는 미끄럼틀이나 8M 높이의 자유낙하 액티비티를 즐기면 된다. SPECIAL TIP: 수영 실력이 있다면 인어공주 워크샵에서 인어처럼 물속에서 우아하게 수영하는 기술을 배울 수 있다. 자세한 일정은 THERME AMADÉ SPA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골링의 ‘아쿠아 잘자’ 온천 aQUA SALZA, GOLLING -잘츠부르크 시 가까이에 위치한 아쿠아 잘자(Aqua Salza)는 웰빙 천국 어린 아기들을 위한 35 ° 따뜻한 아기 수영장이나 어린이 풀장이 준비되어 있으며 수영강습이 개설되어 있어 전문과정에서 어린이 수영교실까지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어린이들을 위해 생일파티를 열 수 있는데 Aqua Salza팀이 준비한 물속 세상의 즐거움과 게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생일인 어린이는 그날 진정한 주인공이 될 수 있다. 한편, 부모들은 건강관리나 미용관련 사우나 시설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다양한 향을 지닌 클래식 ‘인퓨전 사우나’, “멘탈 사우나” 및 “레인 스톤 사우나”와 같은 사우나와 마사지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Aqua Salza의 모든 웰빙 트리트먼트는 별도의 이용료 없이 예약 할 수 있다. 특별 팁 : Aqua Salza의 캐러밴 파크는 캐러밴 및 이동 주택을 위한 주차 공간을 제공하며 리조트에서 불과 몇 미터 떨어져 있다. 티켓 오피스에서 € 9.90의 가격으로 사이트를 쉽게 예약 할 수 있으며 이 시설에는 전력 및 수도 공급, 폐기물 및 하수 처리와 같은 야영 자에게 필요한 모든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다. 3. 타우언 스파 카프룬 TAUERN SPA KAPRUN - ‘몸과 영혼을 위한 베이스 캠프’ 4면이 유리로 되어있는 스카이라인 풀에선 눈 덮인 Kitzsteinhorn mountain을 감상할 수 있다. 이 수영장은 건물 맨위층에 위치하여 수영장에서 탁 트인 야외 전망을 즐길 수 있다. 수면은 매끄럽게 푸른 하늘과 어우러져, 마치 산을 향해 수영하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두 개의 파노라마 사우나가 있는 스카이 라인 수영장, 한증탕, 휴식 공간 및 벽난로가 있는 라운지는 Panorama SPA 호텔의 특별한 공간이다. 이곳의 ‘베이킹 오븐 사우나’는 특별한 명소이다. 실제로 롤빵이 사우나 안에서 구워지고 사우나가 끝나면 함께 먹는다. 4. 암석온천 펠젠테르메 바트가슈타인 FELSENTHERME, BAD GASTEIN 펠젠테르메 (Felsentherme) 온천은 돌, 온천, 거기에 혁신적인 디자인의 건축물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 온천은 세포에 활력을 주고 신체능력을 조화롭게 하여 특히 근육통을 치유하고 혈액순환을 향상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Bad Gastein 온천의 치유력은 르네상스 의사 파라켈수스도 이미 알고 있었다. 산자락에서의 휴식을 즐기거나 혹은 슬로프 위에서 스키를 타거나 펠젠테르메(FELSENTHERME)로의 여행은 당신에게 있어서 완벽한 선택이 될 것이다. 온천에서 즐기는 버블마사지로 여행으로 인한 다리근육의 피로를 풀어주고 제트스트림과 어드벤쳐 슬라이드 그리고 바위에서 떨어지는 폭포수를 즐기다 보면하루의 피곤을 말끔히 씻어버린다. 펠젠테르메 온천호텔은 Gastein 기차역이나 혹은 주차장에서 펠젠테르메로 곧바로 연결되어 매우 편리하게 온천에 도 착할 수 있다. 5. 알펜테르메 바트호프가슈타인 Alpentherme, Bad Hofgastein -알파인 온천 스파 알펜테르메 바트호프가슈타인은 산 한가운데에 아름답게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360도 알파인 파노라마로 둘러싸여 있어서 경관이 매우 아름답고 자연석과 목재로 건축되어 있는 자연친화적인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남녀노소 모두의 건강과 휴식, 즐거움을 만족시키는 개별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으며 아이들이 스피드 슬라이드에서 최고 속도를 겨루고 블랙홀 래프팅 슬라이드를 신나게 즐기는 동안 부모들은 서서히 흘러가는 강에서 한가로이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사우나시설은 스파파크 나무와 돌로 만들어져 있으며 사우나 후에는 바로 샤워를 하지 않고 자연이 만든 산속의 호수에 뛰어드는 것을 추천한다. 스팀목욕이나 사우나 혹은 적외선 오두막 모두 여성전용 시설을 갖추고 있다. 6. 치유온천, 바트 피가운 Heiltherme, Bad Vigaun -지하 1345미터에서부터 올라온 온천수 미네랄 포함 잘츠부르크시내에서 불과 17킬로 정도 가면 웅장하고 멋진 온천 전경이 눈앞에 펼쳐진다. 지하1345미터에서부터 올라온 이 온천수에는 귀중한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근골격계 및 류머티즘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바트 피가운은 치료 치유온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2개의 실내 수영장과 1개의 야외 수영장에서 따뜻한 버블 열수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찜질을 원하는 투숙객을 위해 클래식 핀란드 식 사우나, 아로마 스팀 욕조 및 식염수 스팀 욕조가 있는 사우나가 마련되어 있다. 야외 공간의 록 사우나는 특별한 기능이 있다. 냉수 수영장에서 식힌 후에는 주변 사우나 정원에서 느긋하게 쉴 수 있다.
여행종합
아침고요수목원, 한복 이벤트 ‘한복여행’ 개최...11월 30일까지
아침고요수목원, 한복 이벤트 ‘한복여행’ 개최...11월 30일까지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아침고요수목원(원장 이영자)은 오는 11월 30일까지 주말 동안 한복 이벤트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복여행’이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한국정원의 아름다움을 중심으로 꾸며진 아침고요수목원(이하 아침고요)을 특별하게 여행할 수 있는 체험으로, 특히 해외 관람객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 힘입어 풍성한 볼거리와 재미로 관람객들을 기쁘게 할 예정이다. 아침고요는 다양한 드라마와 영화 등의 주요 촬영지로서 명성이 높다. 특히 ‘구르미 그린 달빛’, ‘군주’ 등 ‘사극’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의 영향으로 한복을 입고 정원 관람을 원하는 해외 관람객의 요구가 자연스럽게 이벤트로 이어졌다. 이에 더하여 실제 방영된 드라마 속 정원에 포토존을 구성해 관람객에게 실제 드라마 속 주인공이 될 수 있는 경험도 함께 제공한다. 이번 이벤트는 원내 ‘아침고요갤러리’에서 진행되며, 1시간 30분에 1만원, 3시간 이상에 1만8000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헤어액세서리 비용도 함께 포함된다. 또한 외국인 단체 관광객을 위한 특별 프로모션도 준비되어 있다. 이벤트가 진행되는 10월부터 약 한 달여 동안 진행되는 단풍철에는 노랗게 물들어 장관인 낙엽송 군락을 비롯하여 은행나무, 계수나무, 단풍나무 등이 차례로 물들고, 국화전시회가 함께 진행되어 온 정원에 국화 향기가 가득하다. 아침고요수목원은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벗어나 울긋불긋하게 물든 단풍과 국화 향기 가득한 아침고요수목원에서 한복과 함께 지친 마음을 달래고, 소중한 분들과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가을 힐링 여행이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여행종합
[용인] 한국민속촌, 납량특집 공포체험 ‘귀굴’ 연장 운영
[용인] 한국민속촌, 납량특집 공포체험 ‘귀굴’ 연장 운영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전통문화 테마파크 한국민속촌은 올 여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납량특집 공포체험 ‘귀굴’을 연장 운영한다고 밝혔다. 한국민속촌은 관람객들의 성원에 힘입어 지난여름 동안 진행됐던 공포체험 귀굴을 10월 3일부터 재오픈해 11월 3일까지 운영한다. 한국민속촌 공포체험 귀굴은 지난여름 사전 티켓 오픈 당시,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2위에 오를 만큼 누리꾼들에게 뜨거운 호응을 받은 바 있다. 체험 오픈부터 연일 매진을 기록하면서 약 두 달의 운영기간 동안 2만여명의 체험객이 귀굴 현장을 다녀갔다. 약 400미터가 넘는 야외 코스에 무덤, 시체터 등 공포 분위기를 조성해 놓은 귀굴은 전통가옥을 배경으로 토속적인 귀신들이 등장하는 한국민속촌 공포체험이다. 무당, 저승사자, 궁녀 등 민속촌 특유의 정서에 어울리는 전통적인 귀신들을 배치하면서 한국적 공포의 진수를 제대로 선보이고 있다. 사전 예약제로 운영되는 귀굴 체험 운영 시간은 오후 7시부터 10시까지다. 체험 시간은 약 15분 소요되며, 야외 코스와 실내 폐가 코스로 나뉘어 진행된다. 초등학생 이하, 노약자, 임산부, 심장 질환자 등은 체험이 불가능하며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은 제한된다. VR 공포체험 ‘저주의 시작’ 역시 연장 운영이 확정돼 가상현실 공간에서도 납량특집 귀굴 체험을 즐길 수 있다. VR 공포체험 시간은 약 4분 소요되며, 현장 예약을 통해 체험이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캐릭터 연기자들이 공포 분장을 하고 길거리를 돌아다니면서 관람객들에게 오싹하면서도 유쾌한 재미를 선사한다. 또한 한국민속촌은 8월부터 야간 경관을 고즈넉한 분위기로 연출해 전통가옥의 멋을 색다른 시선으로 즐길 수 있도록 야간개장 ‘달빛을 더하다’의 문을 열었다. 야간개장 입장은 애프터(After) 4 티켓을 구매해 입장 가능하며, 11월 17일까지 폐장시간을 매일 오후 10시로 연장했다.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민속마을은 물론 바이킹, 회전목마, 범퍼카 등을 즐길 수 있는 놀이마을도 야간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다. 야간개장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민속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여행종합
[정읍] 무성서원...세계문화유산 등재된 최치원 사당
[정읍] 무성서원...세계문화유산 등재된 최치원 사당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지난 7월 정읍에 소재한 무성서원(사적 166호)이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신라 말 학자인 고운 최치원의 위패를 모신 정읍 무성서원은 정읍9경 중 제4경에 해당된다. 최치원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생사당(生祠堂) 태산사로부터 시작된다. 생사당은 마을을 다스리는 이의 선정을 찬양하기 위해 그 사람이 살아 있을 때부터 제를 올리는 사당을 뜻한다. 이후 태산서원이라 불리다 1696년 조선 숙종 22년에 '무성(武城)'이란 사액을 받은 뒤 서원으로 개편해 전북 지역 사림 활동의 거점이 됐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도 무성서원은 역사적·학문적 가치를 인정받아 헐리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에 포함됐다. 무성서원이 다른 일반 서원과 차별화되는 것은 매우 독특한 배치 때문이다. 서원의 중앙에는 사당과 선생들이 기거하는 명륜당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 두 건물 주변으로 담이 둘러쳐져 있다. 또, 이들 왼편에는 두 개의 비각이 놓인 곳이 있으며 이 또한 담으로 둘러쳐져 있다. 밖에서 보면 외부의 접근을 막고 있는 모습이다. 오른편에는 유생들이 기거하는 강수재와 서원을 관리하는 고직사가 놓여 있다. 여기서 특기할만한 점은 이들 시설이 사당, 명륜당 등 주요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서 밖에 나와 있다는 것이다. 보통의 경우 강당인 명륜당은 동재, 서재와 가까이에 모여 있으나 무성서원은 이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다. 이런 모든 점은 무성서원이 처음에 제사를 지내는 사당으로 출발하여 서원으로 변했다는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전체적으로 제향 공간으로서의 큰 성격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무성서원은 실질적인 기능보다 제향 공간으로서의 상징성이 더욱 지배적인 장소적 특성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무성서원에는 마치 사당과 명륜당, 이 두 개의 건물만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사당과 명륜당은 중앙에 아주 커다랗게 자리를 잡고있는 반면 나머지 유생들이 기거하는 건물과 관리용 건물 등 다른 건물들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그 위치 또한 한쪽에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사당과 명륜당만이 유독 강조된 만큼 서원이 가지는 성스러움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사당과 명륜당 둘 모두 매우 엄숙한 곳이다. 한 곳은 선현의 넋을 모신 곳이고, 다른 한곳은 하늘같이 여겼던 선생이 기거하는 곳이다. 이 엄숙한 건물들이 서원의 중심에 그것도 마치 전체인 것처럼 놓인 것이다. 그만큼 무성서원은 엄숙함이 지배하고 있는 숭고한 장소가 된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외삼문 역할을 하는 현가루와 강학 공간인 강당, 기숙사인 강수재, 사우 태산사 등이다. 서원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태산사에는 최치원과 정극인 등 7인을 모셨다. 무성서원을 품은 원촌마을에 우리나라 최초 가사 작품 〈상춘곡〉을 남긴 불우헌 정극인의 묘가 있다. 최치원이 거닐었다는 정읍 피향정(보물 289호)도 놓치면 아쉽다. 동학농민혁명의 역사를 오롯이 품은 정읍 황토현 전적(사적 295호)과 동학농민혁명기념관도 정읍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공간이다. 이곳은 또 면암 최익현과 둔헌 임병찬이 을사늑약이 체결된 이듬해인 1906년 일제침략에 항거하기 위해 호남의병을 창의한 역사적 현장이다. 무성서원 뒤편에 조성된 상춘공원은 가사문학의 효시인 상춘곡의 우리시 문화적 가치를 고양하기 위해 조성된 공원으로 성황산 정상에 설치한 상춘대는 불우헌 (不憂軒) 정극인(丁克仁) 선생의 문학적 감각에 대한 시상을 회상하는 장소로 유명하다. 정읍시는 무성서원의 기원인 태산사를 주제로 한 선비문화 체험 시설인 '태산 선비원'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올해 용지 매입과 실시 설계 등을 마무리하고, 무성서원 인근 4만2천492㎡ 부지에 선비 체험관과 한옥 체험관, 저잣거리 등을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⑨비슬산...국내 최대 진달래 군락지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⑨비슬산...국내 최대 진달래 군락지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산림청과 함께 하는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의 아홉 번째 산으로 대구 달성군에 위치한 비슬산(1084m)을 다녀왔다. 대한민국 최대 진달래군락지로 유명한 비슬산은 4월이 되면 전국에서 진달래를 보기 위해 몰려든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8월에 찾아간 비슬산은 짙푸른 녹음이 우거져 산다운 풍모를 갖추고 있었다. 지금부터 4시간에 걸쳐 비슬산 등반을 시작해 본다. [비슬산 개요] 신선이 가야금을 타는 모습과 흡사하다고 붙여진 비슬산(琵瑟山)은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경상북도 청도군, 경상남도 창녕군의 사이에 있는 높이 1084m의 산이다. 1986년 2월 22일에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흙산이면서도 산세가 장중하고, 대견봉과 조화봉·관기봉 사이에는 341㏊에 달하는 비슬산 자연휴양림이 있어 삼림욕과 휴식을 즐길 수 있다. 또 봄이면 고지 30만 평에 걸쳐 진달래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장관을 연출한다. 매년 4∼5월에 참꽃축제를 열고, 민속놀이·먹을거리 장터 등의 부대 행사를 개최한다. 그 밖에 여름에는 안개 계곡, 가을에는 단풍과 참억새, 겨울에는 얼음 동산이 유명하다. 공원 안에는 유가사·용연사·소재사 등의 고찰과 대견사지가 있고, 각 사찰에는 많은 문화재가 있다. 주변에 달성공원, 달성의 측백수림, 달성 하목정 등 많은 관광지도 둘러볼 수 있다. [비슬산 특징] 천연기념물 암괴류(岩塊流)는 큰 자갈 또는 바위 크기의 둥글거나 각진 암석 덩어리들이 집단적으로 산 사면이나 골짜기에 아주 천천히 흘러내리면서 쌓인 암괴류는 중생대 백악기 화강암의 거석들로 이루어진 특이한 경관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규모가 길이 2km, 폭 80m, 두께 5m에 달하고, 암괴들의 직경이 약 1∼2m에 이르는 것으로 국내에 분포하는 수 개의 암괴류 중 규모가 가장 커 학술적·자연학습적 가치가 매우 높다. 주소;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휴양림길 230 자연휴양림 내 해발 590m 등산로 내산마을 – 유가사 - 수도암 - 전망바위 - 갈림길 - 천왕봉(1084m)정상 - 갈림길 - 안부 - 월광봉 - 진달래군락지 - 칼바위 - 팔각정 - 대견봉 - 대견사 - 자연휴양림 - 소재사 - 주차장 [산행기] 금오신화로 유명한 매월당 김시습은 천재였다. 천재의 자질을 타고나서 3세에 시를 지었으며, 5세 때는 ‘중용’과 ‘대학’에 능했다 한다. 세종대왕은 김시습이 5세 때 상을 내리고 "장차 크게 쓰겠노라" 하였다. 하지만 김시습은 현실사회와 타협하지 않고 전국을 유랑하며 59세의 나이에 충남 홍성 무량사에서 생을 마쳤다. 김시습은 생전 수많은 시를 남겼는데 비슬산을 보고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산중 물이 산을 꺼려서 속세로 흘러가는데 세속 승려는 세속이 싫어 푸른 구름에 돌아오네. 물아, 너의 성품은 본래 맑고 깨끗하지 않더냐. 인간 세상을 향하여 다시는 돌아오지 마라. 비슬산은 유가사를 한 바퀴 둘러보고 오르기 시작하면 정상 천왕봉까지 2시간이면 충분하다. 유가사는 조계종 팔공산 동화사의 말사로 신라 흥덕왕 2년에 도성국사가 창건했다. 도성암은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절로 도성암 바로 위에는 도통암이라는 바위가 있다. 신라시대에 건립되었다고 전해지는 소재사도 있다. 유가사에 있는 108개의 돌탑은 예부터 마을 어귀 성황당의 돌탑에 돌 한 개 한 개를 정성스럽게 올리며 소원을 빌었던 우리네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모든 시민이 탑을 보고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랐던 주지 스님의 유지를 받들어 쌓은 탑이다. 유가사 뒤쪽으로 산행이 시작되는 입구까지 돌탑과 커다란 바위에 새겨진 시비가 매우 인상적이다. 일주문을 지나 경내로 들어가 탑 사이를 지나면 그 길 끝에 천왕봉과 대견사로 향하는 들머리가 있다. 들머리로 들어서자마자 길 양옆으로 ‘너덜겅’이 이어진다. 너덜겅은 돌이 많이 흩어져 깔린 비탈을 이르는 우리말이다. 한 시간 남짓 너덜겅 계곡을 끼고 오르다 보면 천왕봉으로 오르는 급경사 표지판을 만난다. 이곳에서 1시간여를 더 올라야 천왕봉이다. 비슬산 정상인 천왕봉은 불과 몇 년 전까지도 대견봉으로 불렸다. 수많은 역사학자가 오랫동안 연구해 유가사 위쪽 봉우리를 천왕봉, 대견사 위쪽 봉우리를 대견봉으로 불렀다는 문헌을 발견했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국가지명위원회에서 천왕봉으로 재명명한 것이 2014년이다. 비슬산이라는 이름은 정상에 있는 바위의 모습이 신선이 거문고를 타고 있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비슬이란 말이 인도의 범어의 발음 그대로 음으로 표기한 것이라고도 하며, 비슬의 한자 뜻이 포라고 해서 일명 포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다른 일설에 따르면 천지가 개벽할 때 세상은 온통 물바다가 되었으나 비슬산 정상의 일부는 물이 차지 않고 남아 있는 부분이 있어 그곳의 형상이 마치 비둘기처럼 보여 ‘비둘산’이라고 부르다가 ‘비슬산’으로 변하여 전해오고 있다. 비슬산의 인지도는 팔공산보다 못하다. 하지만 4월이 되면 얘기는 달라진다. 진달래 군락지 규모로는 여수 영취산보다 크고 참꽃문화제가 열리면서 10만이 넘는 상춘객들이 찾아온다. 그만큼 볼거리가 많기 때문이다. 비슬산은 현재 군립공원이지만 산림청 100대 명산에 지정될 만큼 명산에 걸맞는 많은 조건들을 갖추고 있는 산이다. 비슬산의 다이내믹 함도 명산에 못지 않다. 정상아래의 단애와 전체적인 형상이 거봉에 걸맞는 경관이다. 비슬산은 정상인 천왕봉과 대견봉, 조화봉으로 이루어진 산이다. 비슬산은 정상과 주위 봉우리들의 모양이 아주 인상적이다. 산의 형상이 주는 감동이 특정산 산행의 전체적인 감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분명하다면 비슬산은 그런 점에서 강열한 인상을 주는 산형상을 지니고 있다. 비슬산의 이러한 인상은 진달래군락지가 형성된 정상일대가 펑퍼짐하면서 서쪽이 장대한 단애로 마무리되고 있는데서 찾을 수 있다. 동남쪽으로 뻗은 능선중 정상부에 해당되는 능선은 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비슬산은 1시간 정도 오르면 약 800m 이상에서 평탄면이 시작된다. 평탄면의 성인(成因)을 살펴보면 과거에는 이 지방이 현재보다 낮고 완만한 구릉지, 즉 노년기 산지였는데 일대가 융기함에 따라 신천·남천 등 하천의 침식이 부활해 산지를 형성했다. 이러한 지형의 영향을 받은 하천은 비슬산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흐르고 있다. 조화봉은 대견사지능선에서 바라볼 때 비슬산 정상이 적당한 거리에 떨어져 있다. 적당한 거리란 중경이라는 이름의 경관에 속한다는 말이다. 조화봉에서 보았을 때 비슬산 정상은 결코 원경이라고 할 수 없다. 물론 근경도 아니다. 조화봉에서 대견사지로 가는 능선엔 형제바위, 거북바위, 한바위, 스님바위니 하는 알루미늄 팻말을 붙여놓고 등산객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물론 이름과 비슷한 바위도 있지만 억지춘향이 격인 바위도 있다. 비슬산의 진짜 매력은 바위보다 능선에서 바라볼 때 광활하고 장대한 경관과 정상의 조망이 훨씬 멋지고 아름답다. 비슬산 산행은 처음 2시간만 좀 힘들다. 정상인 천왕봉부터는 능선이고 산책로가 대부분이다. 길도 데크로 만들어져 걷기에 불편함이 없다. 8월에 올라간 정상에서 진달래는 당연히 볼 수 없었지만 어른 키를 넘는 높이 약2미터 정도되는 억새는 제법 많이 보였다. 천왕봉 정상에서 조화봉으로 가는 길에 만난 억새들이 바람에 흔들거리고 있었다. 정상에는 산악구조대의 대피소가 있다. 천왕봉에서 참꽃축제가 열리는 진달래군락지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맞은편에 있는 조화봉의 하늘로 우뚝 치솟은 암봉형태도 이색적인 계곡풍광과 스카이라인을 만든다. 능선을 따라 조화봉으로 가면 산록에 팔각정 전망대가 있고 조화봉은 수미터에 불과하다. 조화봉정상은 평범한 너럭 바위로 되어 있다. 조화봉에서 대견사지 삼층 석탑이 멀리 보이는데 능선길을 따라 대견사지로 가면서 보는 비슬산 경관이 일품이다. 대견사지는 바위 벼랑아래 형성된 널따란 절터로 남쪽은 단애로 되어있다. 그 끝머리에 고려시대 세워진 3층석탑이 있다. 3층석탑은 시도 유형문화재 42호로 높이 3.67m이다. 높은 벼랑 끝에 세워둔 대견사지 삼층석탑은 붕괴되어 있었던 것을 1986년 달성군에서 수습하여 재 건립한 것이다. 이 석탑은 이층 기단위에 삼층석탑을 올린 형식이며, 절벽의 암반을 지대석으로 하고 그 위에 상중하대석으로 구성된 기단을 설치하였다. 대견사 터에서 동쪽으로 솟은 조화봉 봉우리 아래 능선에 잡석더미 같은 바위들이 보이는데 이를 칼바위 또는 톱바위라한다. 하산길은 대견사에서 자연휴양림쪽으로 조금 내려가다 오른쪽 산길로 들어가야 한다. 만약 계속해서 임도로 내려가게 되면 거의 2배 가까이 걷게 된다. 대견사에서 하산 시간이 부족하거나 다리가 불편한 경우 주차장까지 왕복하는 코끼리 열차와 셔틀버스를 이용하면 좋다. 대견사에서 주차장까지는 걸어서 약 2시간이 소요된다. 산림청에서는 비슬산을 100대 명산에 선정하면서 봄에는 진달래, 가을에는 억새 등 경관이 아름다우며, 조망이 좋고 군립공원으로 지정된 점 등을 고려했다고 말했다. [주변명소] 비슬산 자연휴양림...천연기념물 관찰 가능한 탐석보도와 다양한 편의시설 갖춰 비슬산자연휴양림은 대도시 근교의 휴양림답게 각종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숲속의 집, 산림문화휴양관, 청소년수련장 등 숙박시설의 객실도 총 25실이나 된다.그밖에도 27개의 야영데크가 설치된 야영장도 있고 취사장, 샤워장, 야외강당, 캠프파어어장 등을 두루 갖춘 임간수련장도 있다. 휴양림 위쪽에는 천연기념물 435호로 지정된 ‘비슬산암괴류’를 관찰할 수 있는 탐석보도까지 조성돼 있다. 게다가 정자, 물놀이장, 전망대, 어린이놀이터, 음수대, 취사장 등의 기본시설도 충실한 편이다. 대견사...1000m고원에 세워진 신라시대 고찰 비슬산 정상에서 남쪽으로 2km 가량 떨어진 산등성이에는 대견사 옛터가 있다. 신라 헌덕왕 때 해발 1000m대의 고원에 세워진 절이었지만 지금은 삼층석탑과 새로 지어진 대웅전 그리고 추노를 비롯해 드라마, 영화를 촬영했다는 사진과 안내판 들이 세워져 있다. 이 탑은 중국 당나라의 황제가 대견사와 함께 세웠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이 산상의 석탑은 언뜻 외로운 듯하면서도 한편으로 호방한 기개가 느껴지기도 한다.
여행종합
[용인] 한국민속촌, 저승 판타지 축제 ‘신묘한 마을’ 개최
[용인] 한국민속촌, 저승 판타지 축제 ‘신묘한 마을’ 개최
[트래블아이=김가인 기자] 전통문화 테마파크 한국민속촌이 추석 연휴 첫날인 12일부터 판타지 축제 ‘신묘한 마을’을 진행한다. 올해 처음으로 선보이는 이번 축제는 저승세계로 변신한 민속촌에서 환생을 위한 여행을 떠나며 즐기는 이색 테마 축제다. 조선의 저승세계라는 콘셉트에 걸맞게 마을 입구에는 사람들을 저승으로 안내하는 황천길과 극락정원 전시가 열린다. 불로문을 연상케 하는 환생문과 저승세계의 규칙을 안내하는 거대 구조물이 설치돼 몰입도를 높인다. 축제를 즐기는 가장 완벽한 방법은 스탬프투어 체험 ‘신묘한 환생기’에 참여하는 것이다. 여권 모양의 저승 입국 신청서에 제시된 미션을 수행하면 환생의 기쁨을 누릴 수 있다. 전생의 잘못을 고백하고 곤장을 맞는다거나 특정한 장소에서 사진을 찍는 등의 미션이 주어진다. 조선시대 원님이 공무를 봤던 관아는 축제 기간 동안 ‘염라대왕 재판소’로 탈바꿈한다. 염라대왕, 동판관, 서판관, 저승사자 등 캐릭터 연기자들이 전생에 죄를 지었거나 환생을 간절히 원하는 인간을 잡아들여 환생 여부를 판단하는 장소다. 저승을 떠도는 인간의 고민을 상담해주는 ‘신묘한 저승 철학관’도 열린다. 전생을 통해 운을 점치는 코믹 체험으로 고민에 따라 칼퇴를 부르는 환생 부적, 추석 음식 다 먹어도 살 안찌는 환생 부적 등의 처방을 내려줄 예정이다. 금수저 돌잡이 환생방, 한량으로 환생방, 미인으로 환생방 등 다양한 소원을 담은 포토존에서 인증샷을 남길 수 있으며, 축제의 재미를 더해주는 저승사자, 구미호, 선녀 분장 체험존도 마련된다. 한편 한국민속촌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명절 맞이 특별행사 ‘추석이 왔어요’를 동시 진행한다. 성주고사, 송편 빚기, 제사장 차리기 등 온 가족이 모이는 추석 명절에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이벤트가 가득하다.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⑧금정산...백두대간 끝자락 금어가 놀던 진산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⑧금정산...백두대간 끝자락 금어가 놀던 진산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산림청에서 주관하는 ‘대한민국 화첩산행100’시리즈 여덟번째 순서로 부산시 금정구에 위치한 금정산(金井山)을 소개한다. 금정산은 부산광역시의 대표적인 산으로 부산과 양산의 경계 지점에 걸쳐있다. 정상은 고당봉으로 801.5m이다. 조선시대에는 옛 동래도호부의 진산이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부산 도심이 확장되면서 도심 한 복판에 있는 산이 되어버렸다. 그래서 접근성이 좋아 주말뿐 아니라 주중에도 전국에서 많은 등산객들이 찾는다. 금정산의 특징은 능선을 따라 바위가 드러나 기암괴석이 많고 생김새가 남성적이다. 대한미국 산성들 중 길이가 가장 긴 금정산성 유적도 능선에 뻗어있다. 금정산성은 일제 침략기에 폐허가 되다시피 했으나 해방 후 1972년부터 복원 작업이 시작되어 동문, 남문, 서문이 1974년 완공되었다. 부산시가 진행하는 복원 계획은 현재 완료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햇살이 가장 먼저 비친다는 금정산은 골짜기마다 울창한 숲과 맑은 물이 항상 흘러내리고 화강암의 기암절벽이 절묘한 산세를 일구어 마치 아름다운 수묵화를 펼쳐놓은 듯하다. 주봉인 고당봉(801.5m)을 중심으로 북으로 장군봉(727m)과 남으로 상계봉(638m)을 거쳐 성지곡 뒷산인 백양산(642m)까지 길게 이어져 있고 그 사이사이에 원효봉, 의상봉, 미륵봉, 대륙봉, 파류봉, 동제봉 등의 준봉을 일구어 놓고 있다. 그 이외에도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사적 제215호 금정산성(1만8845m)과 범어사, 금강공원, 동래온천 등 명소가 즐비하다. 또한 자연자원도 풍부해서 300여 종류의 나무와 날짐승, 길짐승을 포함 600여마리의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이렇게 금정산은 부산의 역사와 그 뿌리를 함께 하여 시민들의 정신적 지주역할을 하고 있으며 항구도시 부산을 병풍처럼 감싸 안고서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금정산 개요] 위치 :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 부산광역시 금정구와 북구 높이 : 고당봉 801.5m 면적 : 51.7 ㎢ 탐방객 : 270만명 (2018년 통계) [등산로] A코스(5시간 소요) 산성고개 → 동문 → 3망루 → 4망루 → 의상봉 → 원효봉 → 북문 → 고당샘 → 금샘 → 고당봉 → 범어사 → 범어사 등나무군락 → 범어사주차장 B코스(4시간 소요) 범어사주차장 – 범어사(15분) - 고당봉(1시간20분) - 북문(30분) - 범어사 - 범어사주차장 4대문코스 (동문코스 40분) 금강공원-동문-남문입구-산성마을-광장 (서문코스 1시간) 광장-서문-죽전마을-국청사-광장 (남문코스 2시간) 광장-공햬마을-파리봉-1망루-남문-2망루-광장 (북문코스 3시간) 광장-동문-북문-고당봉-북문-광장 위에서 살펴본 6개 코스 외에도 금정산은 도시에 있는 산치고는 면적이 넓어 산행코스가 다양하다. 금정구에서 홈페이지를 통해 소개한 지정 등산로만해도 무려 27개가 있다. 북쪽 중간 기슭에 있는 명찰 범어사에서 올라와 능선을 따라 걸어서 케이블카가 있는 곳으로 내려오는 길이 부산시민들이 애용하는 1일 등산 코스이며, 양산시 동면 다방리에서 사상구 괘법동까지 종주산행에 나설 경우 최소 8시간에서 10시간 이상을 걸어야 하는 코스도 있다. 그밖에 동래구 온천동에서 산성마을 오가는 버스를 타고 동문이나 인근에서 내려 능선길만 타는 코스까지 무수히 많다. 주능선을 벗어나 금정산의 지능선을 타면 금정산의 새로운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 전문산악인들의 몫으로만 알고 있었던 암벽을 오를 수 있는 파리봉(산악동호인들 사이에선 파리봉 혹은 파류봉 등으로도 불리우나 정식 명칭은 파리봉 임)코스를 비롯해 상계봉, 호포, 만덕코스 등 다양한 산행길을 선택할 수 있다. 남문에서 출발할 경우 제1망루로 오른 뒤 11시 방향에 보이는 바위봉우리로 찾아 가면된다. 특히 제1망루에서 파리봉에 이르는 산길은 사람들의 발길이 잦지 않아 금정산에도 이처럼 깨끗한 능선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사람들을 놀라게 만든다. 또 이 길목에는 부산 시내를 조망할 수 있는 바위전망대가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파리봉을 넘기 위해서는 조심 또 조심해야 한다. 합판과 같은 판석을 흩뜨려 놓은 듯 한 바위지대를 지나야하기 때문이다. 잘못해 미끄러지면 큰 사고로 연결될 수도 있는 만큼 혼자서 파리봉을 지나는 것은 피하는 게 좋고 비가 내린 뒤에도 삼가야 한다. 물론 바위에 자신이 있다면 상관이 없다. 만덕터널 입구에서 금강사를 거쳐 만덕고개를 지나 남문으로 오르는 산길은 주변지역 주민들에게 새벽등산로로 알려져 있는 곳이긴 하지만 주간에 오른다면 호젓함을 만끽하며 걸을 수 있다. 이 산길은 주능선길이라 산길을 잃어버릴 염려도 없는데다 연제, 동래, 금정, 해운대구 등과 기장군을 바라보고 걸을 수 있는 곳이어서 혼자 나서더라도 즐거운 마음으로 지날 수 있는 코스다. [금정산 산행기] 주말을 이용해 부산에 있는 금정산 등산을 시작했다. 서울에서 아침 7시 출발한 버스는 11시 30분쯤 산성입구에 도착했다. 차에서 내리자 마자 등산화 끈을 단단히 매고 산에 오를 준비를 마쳤다. 산성고개 입구 쪽에 커다란 등산안내도가 있어서 산행을 시작하기 전 코스를 살펴 보았다. 산성고개에서 동문을 거쳐 산성을 따라 의상봉과 원효봉 그리고 고당봉 정상까지 가는 코스는 난이도가 어렵지 않다. 능선을 따라 진행하기 때문에 산 양쪽으로 탁 트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정상인 고당봉은 북문에서 보면 바로 눈앞에 있지만 그전까지 완만했던 산길이 여기서부터 가파르기 시작한다. 약 30분 정도 걸으면 뾰족뾰족한 바위들로 뭉쳐진 고당봉 정상에 설수 있다. 정상에 서는 순간 부산 금정구 시가지와 멀리 낙동강을 끼고 너른 벌판이 펼쳐져 숨이 탁 트인다. 금정산은 최남단 상계봉(640.2m)을 시작으로 동서로 갈라지며, 서쪽으로는 파리봉(615m)이, 동쪽으로는 망미봉, 대륙봉, 의상봉, 원효봉이 이어진다. 두갈래로 갈라진 산줄기는 북문과 고당봉 일대에서 만나며, 최북단에 위치한 계명봉, 장군봉(727m)까지 이어진다. 고당봉 남쪽 약 10km 지점에는 백양산(642m)이 있다. 원효봉에서 고당샘을 지나 고당봉으로 가는 길에 유명한 ‘금샘’이 있다. 이정표를 따라 가면 큼지막한 바위가 나오고 바위에 올라서면 뒤쪽으로 바위 하나가 있다. 그 바위의 머리 부분이 움푹 패였는데 그 곳에 넘치지 않을만큼 물이 고여 있는게 보인다. 바로 금샘이다. 고인 물은 사진으로 보면 착시로 작아 보이지만 의외로 꽤 커서 직접 가서 재면 둘레가 3m 정도 된다. 전설에 의하면 금어가 다른 세상에서 내려와서 이 샘에 자리를 잡았다고 한다. 이후 샘은 마르지 않았고 금빛 물이 흘러내렸다. 산의 이름과 범어사의 이름이 여기에서 유래한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금정산 석정(금샘)에 대해 이렇게 적어 놓았다. 금정산 석정(金井山石井)【현 서북쪽 산정(山頂)에 있다. 높이가 세 길 가량 되는 돌이 있는데, 그 위에 우물이 있다. 둘레가 10여 척, 깊이가 7촌 가량인데, 물이 항상 가득히 차 있어서, 비록 가물지라도, 마르지 아니하고 빛이 황금과 같다. 그 밑에 범어사(梵魚寺)가 있는데, 세상에 전하기를, “예전에 금빛 고기(金色魚)가 오색 구름을 타고, 범천(梵天)으로부터 내려와서, 그 가운데서 헤엄쳐 놀았으므로, 이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 시인 노산 이은상은 1955년에 출판한 시집 [조국강산]에서 '금정산'이란 제목으로 아래와 같은 시를 실었다. 돌우물 금빛고기 옛전설따라 금정산 산머리로 올라왔더니 눈앞이 아득하다 태평양물결 큰포부 가슴속에 꿈틀거린다 여기서 금빛고기는 바로 세종실록지리지에 나오는 금어와 같다. 주봉인 고당봉에 오르면 부산시내와 김해국제공항, 광안대교 등을 볼 수 있으며 날씨가 좋은 날에는 김해시와 창원시 진해구의 일부 및 지리산 천왕봉과 쓰시마섬(대마도)까지 보인다. 고당봉의 표지석은 원래 한자 석비였으나 2016년 8월 1일 낙뢰를 맞아 일부가 파손되었다. 그해 10월 26일에 한글로 쓰인 석비가 재설치 되었고 기존 한자 석비는 금정산 탐방지원센터 밖의 유리관 안에 잘 보관되어 있다. 고당봉에서 또 하나 볼거리는 산능선을 따라 길게 이어진 금정산성이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문에 설치된 금정산성은 한국에서 규모가 가장 큰 산성이다. 사적 제215호인 금정산성은 조선 숙종 29년(1703)에 건설되었다. 길이 18,845m, 성벽 높이 1.5∼3m로 대한민국 최대규모인 산성이다. 일제강점기에 처참하게 파손되었으나 1970년대에 복원사업으로 일부 성곽과 관문과 망루를 복원했으며, 현재는 복원이 완료되었고 주변을 정비하는 중이다. 산성의 동서남북으로 망루와 관문이 각 4개씩 있다. 우리나라 유적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등산을 겸해 한 번쯤 가보면 좋겠다. 고당봉까지 오르는 코스 중 산성고개를 들머리로 한 코스 외에도 비교적 사람들이 많이 찾는 코스는 두 개가 더 있다. 범어사에서 바로 고당봉으로 오르는 것과 북문을 거쳐 오르는 코스다. 난이도는 북문을 거쳐 오르는 쪽이 조금 더 높다. 고당봉을 오른 후 북문을 거쳐 동문까지 걸어가 버스를 타고 하산하거나 걸어서 하산해도 되며, 체력과 시간이 허락한다면 좀 더 길게 걸어도 된다. 북문에서 동문까지 이어지는 능선은 걷는 내내 한쪽으로는 부산시내와 바다를, 다른 한쪽으로는 부산시 북구, 김해시와 낙동강을 조망할 수 있다. 만약 동문까지 이동해 버스를 이용해 하산할 경우 소요시간은 4시간 내외로 반나절 산행으로 적합하다. 고당봉에서 범어사와 범어사 등나무군락을 거쳐 범어사주차장까지 내려오면 금정산 등산이 끝난다. 천년고찰 범어사...우리나라 5대 사찰 및 영남 3대 사찰 금정산에서 금정산성과 함께 유명한 고찰 범어사는 금정산 동쪽 기슭에 위치한 대한민국 5대 사찰로 손꼽힌다. 또한 범어사 근처에는 등나무군생지가 있는데 천연기념물 제176호로 지정되었다. 범어사는 신라 문무왕 때(678년), 의상대사가 해동의 화엄십찰 중 하나로 창건한 천년 고찰이다. 화엄경의 이상향인 맑고 청정하며 서로 돕고 이해하고 행복이 충만한 아름다운 삶을 지상에 실현하고자 설립된 사찰로 해인사, 통도사와 더불어 영남의 3대 사찰 중 하나다. 범어사는 역사적으로 많은 고승대덕을 길러내고 선승을 배출한 수행사찰로 오랜 전통과 많은 문화재가 보존된 곳이다. 의상대사를 비롯하여 원효대사 · 표훈대덕 · 낭백선사 · 명학스님과 그 대에 경허선사 · 용성선사 · 성월선사 · 만해 한용운선사 · 동산선사 등 고승들이 수행 정진하여 명실상부한 한국의 명찰로서 그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다. 현재는 부산과 영남 지역은 물론, 우리나라 불교의 중심 ‘선찰대본산 금정총림’으로 자리매김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금정산성 막걸리...대한민국 전통민속주 제1호 금정산 안쪽 분지 지역이 금성동인데, 부산 사람들은 산성마을이라고 부른다. 여기에서 대한민국 전통 민속주 제1호로 지정된 금정산성 막걸리가 탄생해 애주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금정산성 막걸리는 막걸리계의 명품으로 손꼽힌다. 맛은 호불호가 갈린다는 평. 호불호가 갈리는 큰 이유는 현대의 맛 흐름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우선 금정산성 막걸리는 단맛이 아주 약하다. 그러다보니 전통방식 막걸리 특유의 시큼털털한 맛을 싫어하는 사람이나 단맛을 첨가하거나 탄산이 많은 현대 막걸리에 익숙한 사람은 낯설 수 밖에 없다. 게다가 금정산성 막걸리는 누룩을 사용하다보니 특유의 냄새가 굉장히 강하다. 때문에 공장의 막걸리에 익숙한 사람은 단맛없고, 시큼털털하며, 누룩향이 강한 금정산성 막걸리는 입에 맞지 않는다. 하지만 뒷끝이 깨끗하고 깔끔한 맛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다른 막걸리가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지난 8월 10일, 부산광역시 금정산성 다목적 광장에서 제 11회 금정산성막걸리 축제가 열렸다.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⑦오대산...백두대간의 허리, 문수신앙의 성지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⑦오대산...백두대간의 허리, 문수신앙의 성지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오대산은 백두대간의 중추로서 설악산과 태백산 사이에 자리잡은 대표적인 육산이다. 오래전부터 삼신산으로 불려온 금강산, 지리산, 한라산과 더불어 국내 제일의 명산으로 꼽힌다. [대한민국 화첩산행100] 7번째 산으로 오대산을 선정한 것은 한국의 대표적인 산림지대로서, 뛰어난 계곡미, 울창한 수림, 많은 유물과 유적 등을 모두 볼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학이 날개를 활짝 편 형태와 같다고 해서 청학산이라고도 불리는 오대산에는 작은 금강산인 소금강이 있으며 비로봉(1563m)을 중심으로 동대산(1434m), 호령봉(1042m), 상왕봉(1493m), 두로봉(1422m) 등 5개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다. 각 봉우리 사이에는 중대, 동대, 서대, 남대, 북대가 자리한다. [오대산 개요] 위치: 강원도 강릉시와 평창군 및 홍천군 경계에 있는 산. 높이: 비로봉 1563m 지정: 1975년 11번째 국립공원 지정. 면적: 30만3929km2. 탐방객: 연간 100만명 이상. [등산코스] 1. 비로봉코스(난이도-상) : 오대산국립공원 천혜의 원시림 진고개~동대산~두로봉~두로령~상왕봉~비로봉~상원사주차장 (총 17km, 7시간 소요) 오대산국립공원 탐방코스 중 가장 난이도가 어려운 코스인 두로봉코스는 아침 일찍 출발하여 하루 온종일 마음껏 산행을 즐길 수 있는 코스이다. 이용하는 탐방객이 적고 겨울에는 많은 눈이 내리기 때문에 혼자 산행은 피하는 것이 좋다. 두로령에서 상왕봉을 거쳐 비로봉 정상을 밟은 후 다시 상원사주차장까지 내려오는 시간까지 더하면 총 7시간 정도가 걸린다. 2. 동대산 코스(난이도-중) : 야생화의 향연 진고개~동대산~동피골 코스 (편도 4.4km, 2시간10분~2시간30분 소요) 비교적 완만한 경사의 탐방로동대산코스는 봄에 오르면 환상이다. 동대산 일대 주변이 파스텔 톤으로 물들고 여러 종의 야생화가 핀다. 특히 진고개에서 동대산까지 올라가는 탐방로 주변에는 5월이면 얼레지군락에 꽃이 만발하여 장관을 이룬다. 편도로 이동하는 것이라면 대중교통 수단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사전에 이동수단을 알아봐야 한다. 3. 상왕봉코스(난이도-중) : 자연과 문화를 동시에 들기는 일석이조 탐방코스 상원사~비로봉~상왕봉~두로령~북대사~상원사 (편도 14km, 5시간20분~6시간 소요) 경사가 험하지는 않지만 거리가 긴 코스로 상왕봉코스는 오대산국립공원의 자연과 문화를 가장 잘 즐길 수 있다. 상원사를 거쳐서 중대(사자암)과 적멸보궁, 그리고 북대사(미륵암)까지 다양한 사찰와 암자를 만날 수 있고 비로봉 정상에서는 오대산국립공원 전경이 한 눈에 들어온다. 상왕봉까지 가는 길에는 300년 이상된 주목군락지가 있고 고산식물이 피어나 자연의 신비를 확인할 수 있다. 4. 오대산국립공원의 국민코스(난이도 하) 비로봉-상원사~적멸보궁~비로봉코스 (왕복 7km, 왕복소요시간: 3시간10분~3시간30분) 지루하지 않고 적당한 거리의 코스비로봉코스는 완만한 경사와 적당한 가파름이 있어 산행을 위해 오대산국립공원을 찾는 탐방객이 가장 선호하는 코스이다. 비로봉 정상에서 바라보는 시원한 경관뿐만 아니라 가는 중간에 위치한 천년고찰 상원사, 중대, 적멸보궁은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왕복코스로 적당하며 반나절코스로 계획하기에 제격이다. 상원사~중대사 구간은 경사가 완만하고 거리가 적당해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기는 오대산국립공원의 베스트 코스이다. 탐방로 대부분이 흙길로 되어 있고 한 여름에도 나무가 많아 그늘을 통과하며 오를 수 있다. 중대사에서 적멸보궁까지는 완만한 평지길이고 적멸보궁에서 비로봉까지는 계속 오르막길이다. 특히 비로봉정상 400m를 앞두고 계단으로 만들어진 탐방로는 숨이 턱까지 차오른다. 이 구간은 천천히 쉬어가며 올라가는 방법을 추천한다. 중간 중간 암반이 드러나 위험한 지역은 로프와 계단으로 안전하게 처리되어 있다. 만약 컨디션이 좋지 않거나 아이를 동반한 경우에는 상원사-비로봉 구간을 추천한다. 적멸보궁까지의 탐방로는 경사가 완만하고 거리가 길지 않아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오를 수 있다. 또한 1시간30분 정도를 산행하고 싶다고 생각하면 적멸보궁까지 갔다 원점으로 내려오면 시간이 딱 맞다. [산행기] 비로봉에서 바라 본 동해의 풍경 7월, 37도.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이다. 가만히 앉아 있어도 머리와 등줄기에서 땀이 흘러내린다. 이렇게 무더운 날씨에 노동을 하면 체력 소모가 심하고 탈진의 위험이 있다. 등산은 어떨까? 그래도 도시보다 숲이 우거진 오대산은 한결 시원하리라 기대하면서 아침 일찍 서둘렀다. 서울에서 버스로 약 3시간을 달리니 진고개가 나왔다. 진고개 주차장에 내려서 등산할 준비를 하고 동대산을 향해 방향을 잡았다. 진고개에서 출발하는 코스는 모두 3개이다. 첫번째는 환종주코스로 진고개-동대산(1434m)-두로봉(1422m)-두로령-상왕봉(1491m)-비로봉(1563m)-상원사-주차장(약16~17km)으로 약 7시간 30분정도 소요된다. 두번째는 진고개-노인봉(1338m)-진고개-버스로이동-상원사-중대사자암-적멸보궁-비로봉-상원사-주차 장(약14km). 세번째는 진고개-노인봉-진고개-버스로이동-상원사-선재길-월정사-매표소 (산행 약7km+선재길 트래킹 약8km). 나는 정상을 밟기 위해 첫 번째 코스를 택했다. 컨디션은 좋은 편이 아니었지만 비로봉을 포기할 수는 없었다. 이 코스를 택한 이유는 해발 1563m의 비로봉을 주봉으로 동대산(1434m), 두로봉(1422m), 상왕봉(1491m), 호령봉(1561m) 등 다섯 봉우리 중 호령봉을 제외하고 모두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로봉에서는 동쪽으로 따로 떨어져나온 노인봉(1338m)을 볼 수 있다. 또한 서쪽에는 설경이 아름다운 계방산(1577m)이 위치하고 있다. 특히, 오대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 문수신앙의 성지이자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였던 오대산 사고가 있던 역사적 장소이자 백두대간의 중추로 생태적 가치가 높은 장소이다. 진고개에서 동대산을 오르기 위해서는 노인봉쪽이 아닌 길을 건너 편에 있는 등산로를 찾아야 한다. 시작부터 오르막이다. 동대산까지는 계속 오르막이라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면서 걷는게 중요하다. 땀이 비오듯 쏟아진다. 머리띠를 했는데 소용이 없다. 동피골까지 2.6km를 오르는 내내 물 2병이 사라졌다. 아직 동대산도 오르기 전에 물이 떨어졌으니 남은 물 두병으로 종주를 하려면 최대한 아껴야 한다. 동피골에서 동대산까지는 0.1km 금방이다. 거리는 짧지만 생각보다 힘이 든다. 100m가 1000미터는 되는 것처럼 느껴졌다. 아무래도 무더운 날씨 탓이다. 오르막에서 몇 번을 더 쉬고 나니 동대산 정상이 나왔다. 표지석을 확인하고 털썩 주저 앉았다. 동대산 정상에서는 황병산이 보인다. 잠시 휴식을 취하고 다시 두로봉을 향해 출발했다. 오대산은 등산객들에게 대체적으로 좋은 점수를 받는 산이다. 중후한 산세와 더불어 봄에는 신록과 야생화, 여름에는 시원한 계곡, 가을엔 오색단풍, 겨울철 설경과 눈꽃 등 계절마다 경관이 수려하기 때문이다. 5봉 외에 노인봉과 소금강 계곡, 선재길 등 힐링할 만 한 곳이 많다. 비로봉 정상에 오르면 조망이 우수해 동남쪽으로는 황병산, 서쪽으로는 동대산과 오대산 마루금이 한눈에 들어오고, 남쪽으로는 용평스키장이 있는 발왕산이 바라다 보이며, 북쪽으로는 멀리 설악산이 손에 잡힐 듯 다가온다. 또한 노인봉에서 발원한 계곡은 각종 기암괴석과 층암절벽, 소와 담, 폭포 등 30여개가 넘는 경관을 빚어내며 13km를 흘러내리는데, 청학동소금강계곡(청학천)이다. 두로봉까지 약 5km 구간을 올라가며 황병산, 노인봉, 비로봉, 효령봉 등을 보았다. 두로봉 정상을 앞두고 커다란 차돌백이가 나타났다. 미끌거리는 표면을 보면서 옛날 어린시절 차돌로 부싯돌을 만들어 불을 붙여본 경험이 생각났다. 차돌백이에서 약 1km를 더 올라가면 백두대간 두로봉(1421m)이다. 이곳 두로봉에서 신배령, 1210고지 인근 공원경계까지는 비법정 탐방로라 더이상 갈 수 없다. 굳이 표지석을 찍으려면 북쪽으로 약 5분 정도 더 가면 두로봉 표지석이 나타난다. 두로봉에서 점심을 먹었다. 올라오면서 땀을 너무나 많이 흘렸기 때문에 기력이 소진됐기 때문이다. 김밥 한 줄과 떡 한 조각을 먹고 그늘에서 잠시 휴식을 취했다. 이렇게 두로봉에서 에너지를 충전하고 다시 두로령을 지나 상왕봉과 비로봉을 향해 산행을 시작했다. 한가지 신기한 것은 백두대간 길이 아닌데도 상원사와 내촌 갈림길에 엄청나게 커다란 표지석으로 백두대간 두로령이라고 표시해 놓았다. 여기에서 길을 건너 산쪽으로 올라가야 상왕봉과 비로봉으로 갈 수 있다. 상왕봉까지는 1.9km. 길은 오르막 경사가 크지 않은 편이다. 중간쯤에 북대사 갈림길이 나오고 여기서부터 상왕봉까지 1km 거리는 비교적 평탄하다. 상왕봉(1491m)에서 얼마전 올랐던 두로봉이 보인다. 상왕봉 표지석을 카메라에 담고 다시 오대산 정상인 비로봉을 향해 출발했다. 상왕봉에서 비로봉까지는 약 40분 정도 걸린다. 두 사람이 나란이 걷기에도 불편할만큼 좁은 숲길이 2km나 이어진다. 하지만 흙길이라 무릎에 무리는 없는 편이다. 오대산이 대표적인 육산이라는 증거다. 비로봉 정상 1563m 표지석을 보니 무거웠던 어깨가 가벼워지는 것 같았다. 오대산의 정상은 비로봉 정상 표지석에서 효령봉 쪽으로 5분 정도 올라가면 삼각점이 나온다. 그곳이 오대산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 비로봉 정상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가슴이 확 트일만큼 시원하다. 멀리 주문진과 발왕산도 보인다. 심호흡을 크게 하고 신선한 공기를 폐에 가득 채워넣었다. 여기까지 왔으니 내 몸 속에 있는 나쁜 공기를 신선한 공기로 바꾸고 싶었다. 비로봉 정상에서 상원사 적멸보궁으로 향했다.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상원사 적멸보궁은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인 태백산 정암사, 설악산 봉정암, 사자산 법흥사, 양산 통도사 중 하나로 매우 유명한 곳이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7월 4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995호로 승격되었다. 적멸보궁은 오대산의 중심인 비로봉과 주변 봉우리가 둘러싸고 있는 분지 가운데 중대의 해발고도 1189m에 지어졌다. ‘오대산사적’에는 중대 진여원, 동대 관음암, 남대 지장암, 북대 나한암, 서대 미타암이 건립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중대 사자암 및 상원사, 동대 관음암, 남대 지장암, 북대 미륵암, 서대 염불암이 있다. 오대산은 「삼국유사」와 「오대산사적」등의 문헌기록에 의하면 신라 승려 자장(慈藏)과 연관된 문수보살 및 오대산 신앙의 중심지로 확인되며, 신라 이후 현재까지 법통이 이어져 오고 있는 불교의 성지이다. 적멸보궁의 뒤 편 봉긋한 부분이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봉안된 곳이라고 전해지고 있으며, 현재 석비가 세워져 있다. 적멸보궁의 뜻은 모든 바깥 세계에 마음의 흔들림이 없고 번뇌가 없는 보배스런 궁전이란 뜻이다. 신라시대 지장율사가 중국 오대산에서 기도하던 중 지혜의 상징인 문수보살을 친견하시고 얻은 석가모니 정골사리를 보안안한 불교의 성지이다. 나는 적멸보궁에 올라가서 무료로 제공하는 따듯한 차를 무려 5컵이나 마셨다. 비로봉에서 마지막 물을 마신 후 약 1.5km를 걸어왔더니 목이 타는 것처럼 심한 갈증이 났기 때문이다. 오대산에 있는 중대사자암은 적멸보궁 아래 쪽에 있다.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하여 일만의 문수보살이 상주하는 적멸보궁수호암자이다. 적멸보궁에서 상원사 주차장까지는 약 2km. 차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서 상원사는 들어가보지도 못하고 내려와 아쉬웠다.
여행종합
[부산] 송도해상케이블카, 부산 담은 ‘오~ 매직 서커스’ 공연..17일~18일
[부산] 송도해상케이블카, 부산 담은 ‘오~ 매직 서커스’ 공연..17일~18일
[트래블아이=김가인 기자] 부산의 이야기를 마술과 서커스로 재치 있게 풀어낸 특별한 공연이 송도해상케이블카에서 관객들과 만난다. 송도해상케이블카는 8월 17일~18일 양일간(오후 5시) 송도스카이파크에서 ‘오~매직 서커스’ 공연을 선보인다. 이틀 동안 총 4명이 출연진이 마술과 서커스를 통해 부산의 특징을 담아 부산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스토리로 방문객들과 만나게 된다. 17일 토요일 오후 5시에는 해산물을 마술에 접목한 김영진 마술사와, 부산의 대표 스포츠 스타 야구선수 ‘이대호’ 선수를 패러디해 공, 모자, 방망이(곤봉)등의 야구 소품을 활용한 ‘이대오(2대5)’의 서커스 공연이 관객들을 만날 예정이다. 특히 해산물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마술 스토리로 풀어낸 김영진 마술사는 한 케이블채널에서 방송되었던 ‘코리아 갓 탤런트 시즌 2’의 부산지역 예선에서 우럭, 낙지, 장어 등 각종 해산물을 이용한 마술로 신선함과 독특함을 선사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18일 일요일에는 밀면, 어묵 등 부산의 대표 음식을 이용해 부산의 사투리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부산 토박이’ 이영주 마술사와 인도에서 온 외국인이 부산의 매력에 빠진 마음을 마술로 표현한 ‘부산을 사랑한 촌놈’ 박준영 마술사의 공연이 이어진다. 이번 공연은 송도해상케이블카가 방학과 휴가철을 맞아 부산을 방문하는 고객들을 위해 ‘매직큐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특별히 마련한 것으로, 공연시간은 1시간이며 자세한 내용은 송도해상케이블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행종합
‘광복 역사여행 10선’ 중 ‘선비이야기여행...서경덕 교수와 33인, 광복절 역사여행
‘광복 역사여행 10선’ 중 ‘선비이야기여행...서경덕 교수와 33인, 광복절 역사여행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광복절을 맞아 한국관광공사(사장 안영배)와 함께 국내여행을 추천, 지원하는 ‘광복절 역사여행 10선’의 일환으로 ‘서경덕 교수와 함께하는 광복절 역사여행’을 추진한다. 앞서 실시한 ‘나만의 광복여행 10선 만들기’ 행사(8. 5.~12.)에 응모해 선정된 국민들은 8월 15일부터 31일까지 자신만의 여행 계획에 따라 여행을 떠나면 된다. 이에 맞춰 광복절 역사여행의 출발을 알리는 본보기로서,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를 비롯해 대구 출신의 전 야구 선수이자 스포츠 해설가 양준혁, 재한 외국인, 다문화 가정 청소년 등 33명이 함께 여행을 떠난다. 33명은 과거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을 상징하는 숫자이다. 서경덕 교수는 대한민국 홍보 전문가, 방송인으로서 지난 25년간 ‘뉴욕타임스’ 등에 한국의 문화와 역사에 관한 홍보 광고를 실었으며,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통해 독도, 동해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일본의 역사왜곡 사실을 국내외에 알리고 있다. 이번 여행에서는 ‘광복절 역사여행 10선*’ 중 ‘선비이야기여행’ 길의 대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안동 임청각 등 독립운동 주요 관광명소를 방문하며, 현장에서 서경덕 교수의 알기 쉬운 역사 강의도 진행한다. 서경덕 교수와 함께하는 33인의 광복절 역사여행과 강의 과정은 한국방송 2텔레비전(KBS 2TV) ‘생생정보’(8. 21. 18:30) 프로그램을 통해 방영될 예정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올해의 광복절에 역사여행을 통해 더욱 많은 분들이 우리나라 독립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국내에 숨은 역사유적과 관광명소를 찾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여행종합
[목포] ‘제1회 섬의 날 기념 대한민국 썸 페스티벌’ ...삼학도 일원에서 8월 8일~8월10일 개최
[목포] ‘제1회 섬의 날 기념 대한민국 썸 페스티벌’ ...삼학도 일원에서 8월 8일~8월10일 개최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8일 부터 10일 까지 목포 삼학도 일원에서 개최되는 ‘제1회 섬의 날 기념 대한민국 썸 페스티벌’이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관람객을 맞고 있다. 8월 8일 오전 섬 민속경연대회로 막을 연 이번 행사는 오후 6시30분 시작되는 개막식에 이어 가수 박상민, 지원이 등이 출연하는 신나는 축하공연이 펼쳐졌다. 이어 9일에는 전국 어린이 동요대회(12~15시), 프레 세계마당페스티벌(19~20시)에 이어 저녁 8시부터 모모랜드, 프로미스나인, 더보이즈, 다비치 등이 출연하는 K-POP 콘서트가 펼쳐진다. 10일에는 오후 1시에 수상레저기구로 묘기를 펼치는 플라잉 워터쇼가 펼쳐져 시원한 볼거리를 제공한 뒤 프레 세계마당페스티벌(18~19시), 품바 페스티벌(19~20시)에 이어 우주소녀, 청하, 틴탑, 산들, 다이아 등이 출연하는 K-POP 콘서트가 한여름밤을 장식한다. 관광객이 직접 참여하는 프로그램도 다양하다. 관광객과 함께하는 댄스대회(9일 16~17시30분), 관광객과 함께하는 노래자랑대회(10일 14시30분~16시)에 참가를 희망하는 관광객은 현장에서 접수하면 된다. 이와 함께 관광객과 함께 하는 레크레이션과 섬 특산품 경매가 매일 2차례씩 진행된다.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인형극이 매일 3차례씩 공연하며, 어린이 물놀이장인 키즈드림 아일랜드가 운영된다. 행사의 원활한 진행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삼학도 내 차량 진입이 통제되므로 셔틀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셔틀버스는 목포버스터미널에서 목포역, 여객선터미널을 경유해 삼학도 행사장을 오가고, 남항에도 임시주차장을 마련해 별도의 셔틀버스를 운영한다. 한편 국민의 소중한 삶의 터전이자 미래의 잠재성장 동력인 섬의 가치를 높이고 중요성을 기념하기 위해 ‘섬의 날’이 8일로 제정됐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이런 내용을 담은 ‘도서개발촉진법’ 일부개정법률안이 2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 섬의 날 제정이 섬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중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체계적 지원을 통해 섬을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을 이끌어 가는 도약의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여행종합
[섬의 날] 8월8일~8월10일 3일간 목포 삼학도...대한민국 썸 페스티벌 개최
[섬의 날] 8월8일~8월10일 3일간 목포 삼학도...대한민국 썸 페스티벌 개최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8일부터 10일까지 전라남도 목포시 삼학도 일원에서 ‘대한민국 썸 페스티벌’이 열린다. 썸 페스티벌은 올해 처음 열리는 ‘섬의 날’ 기념행사로, ‘만남이 있는 섬, 미래를 여는 섬’이라는 주제로 전시회와 기념공연, 학술행사 등 축제는 물론 대형 물놀이장과 K-팝 콘서트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마련된다. 우리나라는 3300여개의 섬을 보유한 세계에서 네 번째로 섬이 많은 국가다. 특히 섬은 육지와는 다른 이국적 풍경을 지닌 관광명소로 각광받을 뿐만 아니라 해양영토 확보와 경제성장을 이끄는 동력이며, 삶의 터전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올해를 섬 발전 원년으로 삼고, 섬 발전 대책을 범정부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 아래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면서 제1회 기념행사를 개최하게 되었다. 이번 행사는 3일 동안 전시회와 기념공연, 학술행사 등 축제형식의 ‘대한민국 썸 페스티벌’과 함께 민속경연대회, 전국 어린이 그림대회, 청하·다비치·모모랜드 등 유명가수가 출연하는 K-팝 콘서트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열린다. 먼저 기념식에는 섬의 발전 상황과 정책을 소개하기 위해 행안부·문화부·국토부·해수부 등 4개 중앙부처와 42개 지자체, 농협·KT·한국국토정보공사·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사단법인 한국글로벌섬재단·해양바이오연구센터 등 7개 유관기관이 참여한다. 주제관에서는 우리나라 섬과 관련한 역사·문화·종교·자연·인물 등을 소개하고,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가고 싶은 섬’, ‘살고 싶은 섬’, ‘지속가능한 섬’을 주제로 섬 발전 정책을 소개한다. 또 섬의 자연·관광·문화 자원을 재미있고 쉽게 체험할 수 있도록 VR영상 체험관을 운영하고, 지자체 홍보관에서는 지역별 도서개발 우수사례와 섬의 관광자원과 특산품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밖에 주요 부대로는 전국의 섬 주민과 함께하는 섬 주민 교류 행사와 함께 여름철 가족단위 관광객을 위한 세계 마당페스티벌, 품바페스티벌, 오세득 스타셰프 푸드쇼, 어린이 해양직업 체험, 여름바다 해상레포츠, 길거리 버스킹 공연 등이다. 이번 행사에 앞서 전라남도 섬 가꾸기 자문위원인 영화배우 류승룡, 목포시 홍보대사 개그우먼 박나래, 진도 출신 가수 송가인 등의 연예인들은 재능기부 방식으로 ‘대한민국 썸 페스티벌’ 홍보에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또 6일 오후 5시부터는 행안부 페이스북에서 대국민이 함께 참여하는 ‘썸타는 퀴즈쇼’를 방송한다. 썸타는 퀴즈쇼는 섬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기 쉽고 재미있는 퀴즈로 구성해 직접 문제를 풀며 정보를 알아가는 프로그램으로, 행안부와 전남, 목포 등 전국 지자체 SNS에서 동시 생중계한다. 진행은 KBS 공채 개그맨 심문규와 이상은이 맡고, 퀴즈의 정답을 맞힌 참여자에게는 추첨을 통해 다양한 경품도 증정한다. 이밖에도 체험의 섬 ‘석모도’와 이야기가 있는 신비한 섬 ‘국화도’ 등을 생생하게 소개하는 ‘찾아가고 싶은 33섬’ 영상과 함께 다양한 행사를 소개한다. 특히 테스트 결과에 따라 맞춤형 섬 여행 타입을 추천해주는 ‘여행심리테스트’는 결과에 따라 개인별로 휴식형·관광형·체험형·탐험가형·사진가형 등 5가지 유형별 섬 여행지를 추천받을 수 있다. 행안부는 이번 행사 이외에도 섬 지역의 생활환경 개선과 주민의 소득증대 및 복지향상을 위한 ‘도서종합개발계획’과 8개 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섬 발전 추진대책‘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도서종합개발계획은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중장기 사업계획으로, 1988년부터 2017년까지 3차에 걸쳐 3조 1000억원을 투자했다. 그리고 지난해 4차 계획을 수립해 2027년까지 1256개 사업에 1조 5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섬 발전 추진대책의 주요 내용은 지속가능한 섬(섬 가꾸기 사업·드론택배·원격 교육 등), 살고 싶은 섬(소득사업 및 섬 간 협력 확대), 가고 싶은 섬(여객선 준공영제 및 관광객 운임지원 확대·홍보 확대 등 관광 활성화) 등이다. 이밖에도 섬 지역의 관광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 6월 국내 섬 여행자의 취향을 분석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5가지 주제로 선정한 ‘2019년 휴가철 찾아가고 싶은 33섬’도 적극 홍보하고 있다. 윤종인 행정안전부 차관은 “올해를 섬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원년으로 삼아 정부의 정책들을 집중 추진하겠다”며 “섬의 날 행사에 많은 국민들이 찾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정성껏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⑥주왕산...매력 넘치는 이국적 풍경으로 눈과 가슴이 힐링 되는 명승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⑥주왕산...매력 넘치는 이국적 풍경으로 눈과 가슴이 힐링 되는 명승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산림청 지정 100대 명산 대국민 완등 프로젝트 [대한민국 화첩산행100] 6번째 순서로 경북 청송의 명승 [주왕산]을 소개한다. 우리나라의 어떤 산 보다 다양한 매력을 발산하는 주왕산은 한 번 산행으로 절대 만족할 수 없으니 주의가 요망된다. 주왕산(720.6m) 위치: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코스 : 가메봉코스, 용추계곡코스, 주봉코스, 절골코스, 장군봉~금은광이 코스, 월외코스, 갓바위코스 1. 가메봉코스 상세구간 : 상의주차장~용추폭포~후리메기~가메봉~용연폭포~절구폭포~상의주차장 소요시간 : 07 시간 00 분 거리 : 15.2 ㎞ 난이도 : 상 2. 용추계곡 : 상의주차장~대전사~용추폭포~용연폭포~내원동~상의주차장 소요시간 : 04 시간 20분 거리 : 10.6 ㎞ 난이도 : 하 3. 주봉코스 : 상의주차장~대전사~주왕산~칼등고개~후리메기~용추폭포~상의주차장 소요시간 : 04 시간 40분 거리 : 10.1 ㎞ 난이도 : 중 4. 절골코스 : 절골분소~대문다리~가메봉~용연폭포~용추폭포~상의주차장 소요시간 : 07 시간 05분 거리 : 13.5 ㎞ 난이도 : 중 5. 장군봉-금은광이코스 : 상의주차장~대전사~장군봉~금은광이~용연폭포~용추폭포~상의주차장 소요시간 : 05 시간 25분 거리 : 11.8 ㎞ 난이도 : 중 6. 월외코스 : 월외탐방지원센터~달기폭포~너구마을~금은광이삼거리~장군봉~상의매표소 소요시간 : 04 시간 35분 거리 : 13. ㎞ 난이도 : 중 7. 갓바위코스 : 갓바위탐방지원센터-갓바위-대궐령-왕거암-내원마을-대전사 ※주차장에서 갓바위탐방지원센터(1.7km)도보이동, 소요시간 : 06 시간 45분 거리 : 13.3 ㎞ 난이도 : 상 주왕산(周王山)은 1976년 3월30일 우리나라에서 1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이 산은 무려 7천만 년 전 발생한 화산폭발로 용암이 흘러내리면서 굳은 용결 응회암의 특이한 경관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 3대 암산 중 하나이다 서울에서 주왕산까지는 자동차로 약 4시간이 걸린다. 동서울터미널에서 주왕산행 시외버스도 운행하는데 4시간 30분이 소요된다. 산행은 주봉코스(상의주차장~대전사~주왕산~칼등고개~후리메기~용추폭포~상의주차장)를 중심으로 진행했다. 주말이라 주차장부터 대전사까지 등산객들로 넘쳐났다. 점심때가 가까워 진 탓에 음식점 마다 사람들이 막걸리와 안주를 먹고 있었다. 이 산은 설악산, 월출산과 함께 남한의 3대기악(三大奇嶽)으로 손꼽히는 명산이다. 특히, 주왕산은 깊고 아름다운 계곡과 폭포, 죽순처럼 솟아오른 암봉 및 기암 괴석에다 울창한 송림이 한데 어우러져 한 폭의 산수화 같은 절경을 이루고 있다. 대전사에서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 좌우로 우람하게 치솟은 봉우리와 암벽이 마치 바위병풍을 두른 듯 장관이다. 그래서 예전에는 석병산(石屛山)이라 불렸다고 한다. 주왕산은 주봉을 중심으로 태행산(933.1m), 대둔산(905m), 명동재(875m), 왕거암(907.4m) 등600m가 넘는 12개의 산들이 말발굽형으로 자연성곽 같은 멋진 산세를 이루고 있다, 푸른 소나무가 울창한 주왕산은 청송에서도 빼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제1의 명승지이다. 하늘에서 보는 주왕산은 백두대간의 지맥인 낙동정맥 허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경상도의 동해안 지방과 낙동강유역의 내륙을 가르는 분수령에 우뚝 솟아 있다. 이렇게 아름다운 비경과 함께 수많은 전설이 깃들어 있는 산이 바로 주왕산이다. 주왕산의 전설은 모두 주왕과 관련된 설화들이다. 주왕은 여러 사람으로 해석되지만 설화에 나오는 주왕은 대략 세 사람이다. 첫째는 기원전 중국대륙에 세워졌던 상(商)나라의 주왕(紂王)이며, 두 번째는 기원후 3세기경 성립되었다고 하는 진(晉)나라 후예인 주도(周鍍)라는 인물. 그리고 세 번째로는 8세기 신라 사람인 김주원(金周元)이다. 그 중 두 번째 인물인 주도가 주왕으로 유력시 된다. 실제 주왕산의 곳곳에 그와 관련된 전설이 있다. 주도는 799년 당나라 시대에 진나라를 재건하겠다며 후주천왕(後周天王)을 자칭하고 난을 일으켜 패한 후 요동으로 도망친 사람이다. 전설은 이 주도가 1천명의 군사를 이끌고 신라에 들어와 주왕산에 숨어든데서 연유한 설화들이다. 주왕산 입구에 위치한 기암에는 주왕이 마장군 형제와 전투를 벌인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또 대전사에서 나한봉까지 주방산성이라 불리는 12㎞ 길이의 자하성(紫霞城)은 마장군 형제가 이끄는 신라군을 막기 위해 주도의 군대가 쌓았다고 한다. 그리고 주왕굴(周王窟)에는 주도가 신라군의 공격을 피해 숨었다가 마장군의 화살에 맞아 죽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또한 주왕산에 자리한 대전사와 백련암은 주도의 아들인 대전과 그의 딸 백련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망월대는 이들 남매가 달구경을 한 곳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2003년 10월 31일 명승 제11호로도 지정된 ‘청송 주왕산 주왕계곡 일원’은 주왕산 권역 중에서 청송군 지역에 해당하는 구역인데, 대전사 쪽의 진입부에서 주왕계곡을 중심으로 양측의 산 능선부위까지를 지정구역으로 정하고 있다. 주왕산 명승지는 전체가 특이한 바위경관을 자랑한다. 둥글게 핀 연꽃 모양을 한 연화봉과 떡을 찌는 시루를 닮았다고 하는 시루봉, 관세음보살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하는 관음봉이 있으며, 그 밖에도 만화봉, 장군봉, 향로봉, 촛대봉, 옥녀봉 등 다양한 형태의 산봉우리가 있다. 또한 주왕산에는 다수의 굴이 형성되어 있다. 주왕암의 안쪽 협곡에는 주왕굴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 주왕굴 앞에는 물이 떨어져 이룬 소가 있어 아름다운 경치를 더해준다. 특히 겨울에는 폭포의 물줄기가 빙폭을 만들어 신비스러운 경관이 완성된다. 주왕산의 굴은 주왕굴과 주왕의 군사들이 훈련장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그밖에 주왕의 딸 백련이 수행을 하여 성불했다고 하는 연화굴이 있고, 군사들이 무기를 숨겨 둔 곳이라고 하는 무장굴이 있다. Ⓒ 트래블아이 맑고 수량이 풍부한 계곡물이 흐르는 계곡 경관은 어떨까? 한마디로 입이 쩍 벌어질만큼 아름답다. 주왕산 입구로부터 계곡 위까지 모두 3개의 폭포를 볼 수 있다. 제1폭포, 제2폭포, 제3폭포로 불리는 주왕산 계곡의 폭포는 아주 신비스런 비경을 연출한다. 제1폭포는 폭포수 아래 쏟아지는 물줄기가 만들어 놓은 소에 용이 살았다고 해서 용소라고 불리는 폭포다. 제2폭포는 2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암반 상부의 사면은 둥그런 모양으로 깎아 낸 것과 같은 구멍이 1단을 형성하고 있고, 이곳에서 다시 한 번 아래로 물줄기가 떨어지는 구조를 하고 있다. 제2폭포에서 다시 돌아와 갈림길에서 주방천을 따라 약 400m 정도 오르면 제3폭포에 이른다. 제3폭포는 주왕계곡의 폭포 중에서 가장 웅장한 폭포다. 약 30m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있고 2단 구성이다. 이 폭포는 거대한 암반의 낮은 부위를 오랜 세월 동안 흘러내린 물줄기가 바위를 깎아 상단에 하나의 소를 만들고 다시 흘러 떨어지는 형태를 이룬다. 주왕산의 상징...대전사에서 바라보는 장군봉 주왕산에서 가장 아름다운 경관은 대전사 앞마당에서 바라보는 주왕산의 모습이다. 실제 대전사 건물을 앞에 두고 촬영한 주왕산의 풍경이 사진 공모전에서 가장 많은 상을 수상했다. 그만큼 대전사에서 보는 장군봉의 모습은 주왕산의 상징처럼 여겨진다. 본격적인 산행은 주왕산 국립공원 매표소를 지나 이곳 대전사부터 시작한다. 대전사는 주왕이 아들 대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었다는 설이 전해내려 온다. 보광전과 명부전만 있는 이 절 서쪽 200m지점에는 주왕의 딸 백련의 이름을 딴 백련암이 있다. 대전사에서부터 시작되는 기암괴석은 주봉인 장군봉까지 계속된다. 가장먼저 주왕이 대장기를 세웠다해 기암(旗岩)이라 부르는 바위가 걸음을 멈추게 한다. 여러개의 바위 봉우리가 한데 어우러져 등산객들의 눈을 사로잡는 자태는 기세가 등등하다. 기암을 옆으로 돌아걸어가면 낙화봉에 이른다. 여기서 길은 두 갈래로 갈라진다. 왼쪽은 폭포로 가는 길이고 오른쪽은 주왕 굴로 가는 길이다. 3개의 폭포를 모두 보고 다시 내려와 오른쪽 길을 따라 주왕암으로 갔다. 주왕암은 석가봉, 비로봉 중턱에 있는 절이다. 고려 태조 2년에 늘옹대사가 주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창건했다고 한다. 절을 둘러싼 많은 바위봉우리들이 병풍처럼 솟아 있다. 하늘을 올려다 보면 몸집이 거대한 바위들이 금방이라도 머리 위로 쏟아질 것 같은 위압감마저 느껴진다. 주왕굴은 주왕암 뒤 비로봉과 촛대봉 암벽 사이에 위치한 뚜껑없는 바위 터널 같은 협곡 속에 있다. 동굴 앞에 가면 높은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소리가 우렁차게 들린다. 겨울에는 이 폭포가 얼어서 장관을 이룬다. 주왕암 왼쪽 산허리에는 주왕이 무기 등을 저장했다는 무장굴이 있고, 또 그가 고려군을 막기 위해 쌓았다는 자하성 유적이 보인다. 잠시 쉬면서 목을 축이고 다시 산행을 이어간다. 난이도는 그렇게 어려운 편이 아니지만 중간중간 숨을 몰아쉬게 만드는 구간이 있다. 산행을 할 때 이런 험로에서 무리할 경우 자칫 페이스를 놓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 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절대 자신의 체력을 과신하지 말고 자연 앞에 겸손할 필요가 있다. 난이도가 높은 구간은 충분한 휴식을 취한 후 이동하는 것이 좋다. 달기약수는 청송읍 부곡리에 있는데 주왕산 계곡의 서쪽 능선인 금은광이 서쪽 사면에 위치한 분지골계곡에 있다. 이 계곡은 매우 길어 달기약수에서 금은광이까지 걸어가는데에도 3시간이 넘게 걸린다. 이 계곡에는 용추폭포, 달기폭포등의 명소가 있어서 물맛도 보고 경관도 볼 수 있는 계곡이다. 주왕산 남쪽 이전리에는 또 하나의 깊은 계곡이 주왕산국립공원중에서 제일 높은 왕거암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이 계곡의 이름은 절골. 이전리의 상이전은 왕거암의 산행기점이다. 상이전의 동쪽계곡으로 들어가면 김기덕 감독의 작품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촬영지 ‘주산지’가 있다. 주산지는 경종 원년(1720년) 8월에 착공해 이듬해인 1721년 10월에 만들어졌다. 이 인공저수지는 농업용수를 모아두기 위한 치수관리가 목적이었다. 그 후 세월이 흘러 지금은 산위에 조성된 저수지와 수백 년 된 왕버들이 물 속에 반쯤 잠긴 채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하는 곳이 되었다. 정상에 오르는 동안 보게 되는 칼등바위 등 주왕산 계곡의 수려함은 “우리나라에도 이런 곳이 있구나” 말할 정도로 놀랍다. 주왕산 맞은편의 연봉들이 그 중턱에 벼랑과 단애를 자랑하듯 거느리고 스카이라인을 형성한다. 정상 가는 도중 전망대가 나오는데 이곳에서 촬영하면 그 독특한 선들과 우람한 원추형 봉우리들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특이한 형태를 보여준다. 능선 길에서 주왕산 정상까지는 1시간이면 충분하다. 올라가는 길에 주왕산 계곡을 형성하고 있는 왕거암, 명동재, 두수림, 금은광이 등 외곽능선을 둘러보면 계곡의 넓이가 상당함을 알게 된다. 정상에서 표지석을 찍고 잠시 휴식을 취한 후 다시 대전사를 향해 하산을 시작했다. 주왕산의 산행은 5시간이 채 안 걸리는 짧은 거리였지만 서울에 올라 와서도 오랫동안 여운이 남았다. 마치 우리나라를 떠나서 머나먼 이국의 명소를 여행하고 온 듯한 기분이 들 정도로 매력이 넘치는 산이다.
여행종합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작품 공모전] 우수상 작품 지상 전시
[대한민국 화첩산행 100 작품 공모전] 우수상 작품 지상 전시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지난 7월17일 발표한 [대한민국화첩산행100 작품공모전] 우수상 작품을 소개한다. 우수상을 수상한 작품은 김태운 '노고단의 아침풍경', 김태훈 '지리산 일출', 서정호 '황매산 철쭉', 이상운 '황매산 아침', 이종수 '황매산 철쭉과 황매평전', 유영해 '황매산 추억'이 선정됐다. [김태운 / 노고단의 아침풍경] 수상자 김태운 씨는 작품을 출품하면서 "우리나라 국립공원 1호인 지리산 국립공원 노고단의 아침풍경을 촬영 했습니다. 상쾌한 밤바람 맞으며 오른 노고단에는 달빛아래 깔린 운해, 원추리꽃, 천왕봉일출, 말과 글로 다 표현 할 수 없는 행복한 풍경이었습니다."라고 당시의 소감을 말했다. [김태훈 / 지리산 천왕봉 산오이풀과 여름운행 풍경] 김태훈 씨는 출품작에 대해 생명이 살아 숨쉬는 천왕봉의 여름꽃인 산오이풀과 함께 하는 이색적인 여름의 운행 풍경을 담았다고 말했다. [서정호 / 황매산 철쭉과 일출 풍경 ] 서정호 씨는 "창원에서 알프스산악회를 운영하며 2007년 현직에서 정년퇴직을 한 후 10년 넘게 산행을 즐겨하며 산악회 운영은 8년째 되었다."고 한다. 그는 "황매산의 철쭉은 상상을 초월하는 아름다운 산상의 화원을 연출하고 있기 때문에 한 해도 빠뜨리지 않고 산악회원을 모시고 산행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작품 [황매산의 철쭉과 일출 풍경]은 "홍보에 의하면 넓이는 17만평의 광활한 산상의 철쭉 군락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경상남도 산청군과 합천군 두 개 군의 경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두 곳에서 철쭉제를 추진하고 있는 있으며 두 곳 모두 철쭉의 군락지는 산상에 펼쳐진 철쭉꽃 군락은 환상의 세계로 우리를 이끌어가는 황매 산입니다. 황매산의 아침 일출과 군락지를 담고 있는 산상의 제일 넓은 면적을 나타내려고 노력하였습니다"고 설명했다. [유영해 / 황매산 그림같은 풍경] 유영해 씨는 출품작 [황매평전]을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 그림같은 풍경 황매평전 : 눈을 감았다 다시떠도 이렇게 아름다운 황매평전을 카메라에 모두 담을 수 없어 2중촬영(다중촬영)으로 붉은융단을 깔아놓은 황매평전의 황홀함을 감성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이상운 / 황매산 아침] 이상운 씨는 [황매산의 아침]을 "매년5월이면 아름다운 황매산 산철쭉을 촬영하기위하여 산을 오르고 있는데 금년에도 어김없이 황매산을 올랐다. 금년에는 다행히 촬영시기가 맞아 아름다운 황매산의 아침 사진을 촬영할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이종수 / 황매산의 운해와 일출] 이종수 씨는 출품작 [황매산의 운해와 일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철쭉의 메카 황매산’으로 가기위해 금요일 밤 11시30분에 모여 전세버스에 올랐다. 오래전 부터 가고 싶었던 곳이었지만, 실제로 산행으로 옮기는데 60여년의 시간이 흘렀다. 옆에 앉은 집사람도 벌써부터 설레이는지, 평소 같으면 잠자리에 들시간 인데도 아직도 졸리운 기색도 없이 인터넷으로 검색하느라 분주하기만 하다. 서울에서 밤새껏 달려 도착한 ‘황매산 철쭉축제’는 사람반 철쭉반이었다. 능선을 타고 피어나 군락지마다 불타는 모습은 우리부부를 무릉도원으로 인도하였다. 새벽에 일출을 담기위해 정상에 올라 바라본 산 아래 풍경은 운해와 함께 장관을 연출한다. 경남 합천과 산청 사이에 있는 황매산(1108m)은 높은 산이지만, 중간에 오토캠핑장까지 자동차가 올라간다. 캠핑장부터 해발 900m까지 완만한 ‘황매평전’이 펼쳐진다. 땅에 다른 나무는 거의 없고, 철쭉만 가득하다. 어느 봄꽃보다 아름답고, 수명이 긴 철쭉은 화려함을 뒤로하고 봄날은 작별을 고한다. 또 일년을 기다려하는 아쉬움이 황매산을 더욱 사랑하게 된다.

테마여행 인기 기사

1
'경복궁 생과방' 체험 행사…6월 28일까지 매일 4회 진행
'경복궁 생과방' 체험 행사…6월 28일까지 매일 4회 진행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정성조)는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과 함께 '경복궁 생과방(餠菓·떡과 과자)' 상반기 행사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4월 20일부터 6월 28일까지 약 2개월 간 매일 4회씩 경복궁 소주방 권역 내 전각인 생과방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4월 11일과(1차 행사: 4.20.~5.28.)과 5월 19일(2차 행사: 5.29.~6.28.) 오후 1시부터 온라인 예매를 시작한다. ‘경복궁 생과방’은 조선 시대 왕실의 별식을 만들던 전각이자 생물방(生物房) 혹은 생것방으로도 불렸던 생과방에서 관람객들이 궁중의 약차와 병과를 직접 맛볼 수 있는 특별한 체험 프로그램이다. 특히, 정조 19년(1795)에 제작된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기록에 따라 ‘낮에 올리는 다과상’인 주다(晝茶)를 올리던 오전 10시에서 오후 5시 사이에 맞추어 행사를 진행한다. 경복궁 생과방(餠菓·떡과 과자)' 상반기 행사 장면 (사진=문화재청) 올해 행사는 '조선왕조실록', '요록' 등에 기록된 궁중병과 10종과 궁중약차 6종으로 구성되었는데, 처음 선보이는 대표 궁중병과 ‘초두점증병’은 볶은 팥, 대추, 잣으로 만든 떡이다. 이들 궁중병과와 궁중약차는 궁중잔치나 고종의 오순 축하 잔치에도 올려졌다고 '진찬의궤', '진연의궤'의 기록이 있다. 또한 대표 궁중약차 ‘경옥다음’은 옥처럼 희귀한 약을 뜻하는 ‘경옥고’를 차로 마실 수 있게 만든 것으로, 노화·만성피로·위장기능 개선 등에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어 '동의보감' 내경편의 처방에도 등장한 바 있다. 온라인 예매시 합리적인 가격에 다양한 궁중다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2가지의 묶음(세트)으로 차림표(메뉴)를 구성했다. 6종의 서로 다른 다과로 구성된 2가지 묶음(초두점증병세트, 주악세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어느 묶음을 선택하든 궁중약차는 기본으로 맛볼 수 있다. ‘초두점증병 세트(초두점증병, 약과, 참외정과, 잣박산, 매엽과, 곶감단지 + 약차 1종)’는 1만 5천 원, ‘주악 세트(주악, 쌀강정, 매엽과, 금귤정과, 사과정과, 곶감단지 + 약차 1종)’는 1만 2천 원이다. 예매는 오는 4월 11일과 5월 19일 오후 1시부터 티켓링크(http://www.ticketlink.co.kr)를 통해 온라인 선착순으로 진행된다. 1인당 2매까지 구매할 수 있으며, 만 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로 예매(☎1588-7890)할 수 있다.
2
[논산] 션샤인 랜드...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주무대,  은빛 자연휴양림, 돈암서원도 유명
[논산] 션샤인 랜드...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주무대, 은빛 자연휴양림, 돈암서원도 유명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은 tvN에서 2018년 7월 7일부터 2018년 9월 30일까지 방영된 토일 드라마이다. 방영초기부터 이병헌과 김태리의 인기를 앞세워 흥행에 성공했다. 지금도 넷플릭스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작품으로 1900년부터 1907년까지 대한제국 시대 이름없는 의병(義兵)들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미스터 션샤인'은 전국 주요 명승지에서 촬영되었지만 드라마의 일상적인 주무대는 대부분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의 션샤인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한 장면 논산 선샤인랜드는 논산시와 드라마 제작사 등이 손잡고 조성한 국내 유일한 개화기 촬영 세트장인 선샤인스튜디오, 한국전쟁 직후의 풍경을 재현한 1950스튜디오, 실내에서 사격과 VR 체험을 즐기는 밀리터리체험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면적 약 2만 ㎡에 이르는 선샤인스튜디오는 1900년대 초반 한성(서울)을 재현한 공간이다. 한성전기 사옥을 비롯한 근대 서양식 건물과 기와집, 초가집, 일본식 가옥에 1899년 운행을 시작한 전차까지 어우러져 120여 년 전 모습이 완성됐다. 이곳에서 〈미스터 션샤인〉을 대부분 촬영했고, 드라마가 인기를 끌자 논산선샤인랜드 또한 한류 관광지로 떠올랐다. 온빛자연휴양림도 새로운 한류 명소다. 2021~2022년 방영한 드라마 〈그해 우리는〉이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으며 촬영지인 온빛자연휴양림이 이름을 알리고 있다. 온빛자연휴양림에서 10km 남짓 떨어진 논산 돈암서원(사적)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서원’ 중 한 곳이다. 인근 탑정호에는 길이 600m 출렁다리가 놓여, 호수 위를 걷는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강경근대역사거리에는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옛 한일은행 강경지점과 강경중앙초등학교 강당, 옛 강경노동조합 건물 등이 남아 있다. ※밀리터리체험관은 내부 리모델링으로 2월 13일부터 휴관 예정이며, 이외 시설은 관람 및 체험 가능
3
[광주]'광주 도심 여름나들이 지도'제작...주요 명소 담아
[광주]'광주 도심 여름나들이 지도'제작...주요 명소 담아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광주시와 광주관광재단이 시원한 여름을 즐길 수 있도록 '광주 도심 여름나들이 지도'를 선보인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지난 5월 10일부터 이벤트를 통해 광주시민이 추천한 여름꽃 명소와 시원하게 여름나기 좋은 장소, 여름축제 등을 파악해 '여름나들이 지도'를 제작했다. 지도에는 ▲연꽃(압촌제, 양산호수공원, 전평제 근린공원) ▲능소화(월봉서원 너브실마을, 각화제) ▲해바라기(광주천 둔치, 양산호수공원) ▲배롱나무(국립광주박물관, 지산재, 수춘제) ▲맥문동(문화근린공원) ▲수국(동적골 수국동산) 등 여름꽃 주요 명소가 담겼다. 지도는 광주광역시와 광주관광재단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으며, 오매광주 및 광주관광재단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또 광주시는 푸른 숲길과 시원한 호수공원을 가족이 함께하기 좋은 여름 여행지로 추천했다. 북적이지 않은 도심공원에서 가볍게 산책하며 아름다운 여름꽃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자연 속에서 힐링하며 마음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다. 이 밖에 ▲전국 최대 규모 스트리트 댄스 경연대회 '배틀라인업'을 축제로 브랜딩한 '스트릿컬처 페스타'(6월 9~11일) ▲맥주와 DJ공연을 함께하는 도심 속 바캉스 '비어페스트 광주'(8월 9~12일) ▲해외 뮤지션이 참여해 세계 음악 다양성을 선보이는 'ACC 월드뮤직 페스티벌'(8월 25~27일) 등 다양한 축제가 차례로 운영, 여름밤을 달군다. 김성배 관광도시과장은 "녹음이 짙은 여름, 광주에서 싱그러운 꽃의 정취를 느끼며 더위를 날리길 바란다"며 "도심에서 특별한 시간을 보내기 좋은 여행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4
강원 동해안 해중공원 활성화...또 다른 지구 체험
강원 동해안 해중공원 활성화...또 다른 지구 체험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리드: 강원 동해안의 해양레저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지역의 바닷속에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는 해중공원 조성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동해안의 관광 트렌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강릉 해중공원 가을 풍경(사진=강릉시) 강릉시는 2013년부터 2021년까지 80억 원을 투입해 경포해변 북쪽 사근진 해안에서 3km 떨어진 곳에 113ha 규모의 해중공원을 조성했다. 이곳에는 육상전망대, 접안시설, 수중에는 폐선박과 폐군수품, 인공어초 등이 설치되어 다양한 해중경관을 제공한다. 이러한 노력으로 강릉 해중공원은 연간 1만∼2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며 지역 관광의 새로운 명소로 자리 잡았다. 한 다이빙 리조트 관계자는 "해중공원은 다양한 볼거리와 풍부한 어종 덕분에 겨울 비수기에도 많은 다이버들이 찾는다"고 전했다. 강릉에 이어 고성군과 양양군에서도 해중공원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고성군은 410억 원을 투입해 오호리 연안에 해중공원을 조성 중이며, 양양군 죽도지구에도 해중 생태관광단지 조성을 위한 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동해안의 수중레저 거점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지역 관광산업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고 있다. 강원 동해안의 해중공원 조성은 지역 관광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동해안을 해양레저의 중심지로 변모시키며,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경험과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6
[강릉] 자연과 빛이 하나되는 강릉솔향수목원의 밤을 즐겨요…6월부터 야간 개장
[강릉] 자연과 빛이 하나되는 강릉솔향수목원의 밤을 즐겨요…6월부터 야간 개장
[트래블아이=문소지 기자] 강원 강릉시는 사계절 체류형 관광명소를 조성해 밤이 아름다운 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야간에도 시민과 관광객들이 자연경관이 뛰어난 산책로를 즐길 수 있도록 솔향수목원 야간개장을 실시한다. 오는 6월 1일부터 강릉솔향수목원 야간개장을 통해 낮과는 다른 색다른 풍경으로 관광객을 맞이할 예정이며, 솔향수목원만의 특징이 담긴 이색경관 연출을 위한 공간을 구성했다. 수목 투사등 외 14종, 총 713개의 조명기구 등을 이용한 연출로 단조로울 수 있는 숲에 화려한 빛의 색을 입혀 생기를 불어넣고 전 세대가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경관을 선사한다. 해가 늦게 지는 하절기(3월~10월)에는 20시~23시까지, 동절기(11월~2월)에는 18시~22시까지 개장하며, 휴원일인 월요일을 제외하고 연중 운영된다. 특히 금요일은 기존과 다른 컬러풀한 조명으로 다채로운 수목원의 모습을 제공해 관람객들의 눈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한편 야간 조명과 더불어 시민들에게 힐링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다도체험, 가드닝클래스, 숲해설, 유아숲체험, 숲속결혼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 중에 있다. 강릉시 관계자는 "강릉솔향수목원이 강릉의 대표적인 야간 관광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야간개장을 통해 연간 방문객을 증가시켜 관광 및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7
무장애 여행지 전국 베스트5..횡성숲, 산림자연연구소, 산두리 해안사구, 통영 평인일주로, 서귀포 치유의 숲
무장애 여행지 전국 베스트5..횡성숲, 산림자연연구소, 산두리 해안사구, 통영 평인일주로, 서귀포 치유의 숲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문화체육관광부가 휠체어도, 유아차도 여행하는 데 어려움 없는 무장애 여행지인 '열린관광지'를 중심으로 전국 여행지를 소개했다.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힐링 여행지를 가정의 달 5월에 찾아가보자. 1. 국립횡성숲체원 (강원) 한국관광공사 선정 ‘열린관광추천코스 20선’ 중 하나. 숲체험을 통해 자연이 주는 치유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울창한 숲길 사이로 완만한 데크길이 조성되어 있어 휠체어·유아차 이용자도 편안하게 자연을 즐길 수 있고, 맨발로 숲을 걸으며 숲과 하나 되는 편안함도 느낄 수 있다. 다채로운 탐방로와 체험장도 빠짐없이 만나보자. -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청태산로 777 *온라인 예약 필수 2. 전라남도 산림자원연구소 사계절 언제 가도 쭉 뻗은 메타세쿼이아와 향나무 길이 매력적인 모습으로 반겨주는 곳이다. 산림자원을 연구하는 곳인 만큼, 다양한 나무들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대나무숲, 숲속 맨발길, 전망데크까지, 곳곳에 조성된 다양한 자연 공간에서 지친 몸과 마음을 싱그럽게 채워보자. - 전라남도 나주시 산포면 다도로 7 · 9시~17시(3~10월), 9시~16시(11월~2월) 3. 충청남도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바닷바람을 타고 쓸려온 모래가 오랜 시간 쌓여 만들어진 드넓은 모래언덕, 마치 사막에 온 것 같은 이국적인 느낌을 줍니다. 탐방로 데크를 따라 모래언덕 사이를 걷다 보면 바람이 그려놓은 모래 물결이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초입에 있는 신두리사구센터에서 생태환경 공부부터 시작하면 좋아요! - 충청남도 태안군 신두해변길 201 · 9시~18시(3월~10월), 9시~17시(11월~2월)/매주 월요일, 설·추석 휴무 4. 경상남도 통영 평인일주로 노을길 달아공원과 함께 손꼽히는 통영의 노을 명소, 약 4.1km의 해안 도로를 따라 탁 트인 통영바다를 눈에 담으며 시원하게 드라이브를 즐기다 마주치는 해넘이는 장관이다. 나무데크로 잘 정돈된 노을 전망대는 바다 위 금빛으로 물든 섬들을 더 멋지게 만날 수 있는 포인트. - 경상남도 통영시 평인일주로 581 5. 제주 서귀포 치유의 숲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안심관광지’이자 ‘열린관광지’인 이곳! 다양한 산림의 환경요소를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특히, 평균수령 60년 이상된 전국 최고의 편백나무숲을 걷다 보면 몸도 마음도 건강하게 만들어주는 기분! 휠체어를 타고도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 산책로와 족욕탕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산록남로 2271 · 8시~16시(하절기), 9시~16시(동절기) *온라인 예약 필수
8
[전남] 곡성군, '곡·성·상·회 찾기' 게임이벤트...6월 3일~17일
[전남] 곡성군, '곡·성·상·회 찾기' 게임이벤트...6월 3일~17일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곡성군(군수 이상철) 섬진강기차마을에서는 6월 3일부터 17일까지 주말, 공휴일 6일간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게임 이벤트를 운영한다. 게임 제목은 '곡·성·상·회 찾기'로 지난달 20일 개장한 곡성 섬진강기차마을 공식 기념품판매점 '곡성상회'의 이름에서 착안했다. 게임 참여 방법은 간단하다. 2023년 상반기 새롭게 탈바꿈한 기차마을 4곳을 찾아가서 각 장소마다 비치된 낱말 '곡' '성' '상' '회' 중 한 글자를 확인하고 게임카드에 적으면 된다. 4곳에 전부 찾아가 낱말을 모두 모으면 성공이다. 게임은 13세 이하 어린이들만 참여할 수 있다. 게임 미션을 완수한 모든 어린이에게는 작지만 소정의 상품도 지급된다. 이와 함께 마술, 비눗방울 등 풍성한 공연도 함께 펼쳐진다. 공연은 주말과 공휴일 오후 1시와 3시에 중앙광장 피크닉존에서 즐길 수 있다. 상반기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기차마을 4곳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지난 18일 개장한 '기차마을 플랫폼'이다. 1층은 매표소와 대합실, 2층은 시계탑과 전망대, 바깥으로는 대규모 광장을 갖춘 공간으로 섬진강기차마을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외에도 장미 속으로 동전을 넣으면 사랑이 이뤄지고 가족과의 행복을 이뤄준다는 '사랑의 장미동전' 코너도 마련돼 있다. '중앙광장 피크닉존'은 드넓은 그늘막과 인조잔디가 갖춰져 한적한 휴식을 즐기려는 관광객들의 인기 장소다. 마지막으로 기념품 판매점인 '곡성상회'는 관광객들이 다양한 기차마을 여행을 추억할 수 있는 기념품뿐만 아니라 아기자기한 포토존을 갖췄다.
9
[인천] 정서진 볼거리 다양...아라빛섬, 아라타워, 아라폭포,검암공원, 영종대교 휴게소 등
[인천] 정서진 볼거리 다양...아라빛섬, 아라타워, 아라폭포,검암공원, 영종대교 휴게소 등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경복궁 광화문을 기준으로 정서쪽에 인천 정서진이 자리한다. 정동진 일출이 희망과 새로운 출발을 의미한다면, 정서진 일몰은 낭만과 그리움을 대변한다. 해 질 무렵 정서진은 드넓은 서해가 넉넉한 품을 벌리고, 주홍빛 수평선 위로 크고 작은 섬이 그림처럼 떠 있다. 정서진 풍경 (사진=문화관광체육부) 조약돌 모양을 본뜬 ‘노을종’과 고즈넉한 아라빛섬, 아라타워 23층에 있는 전망대 등 볼거리도 풍성하다. 이국적인 경인아라뱃길을 끼고 달리는 길에 정서진의 노을까지 더해 낭만적인 드라이브 코스로 꼽힌다. 검암공원 등 언제든 자동차를 멈추고 쉬었다 갈 수 있는 공원도 많다. 경인아라뱃길을 발아래 두고 걷는 아라마루전망대와 국내 최대 규모 인공 폭포인 아라폭포가 볼만하다. 저녁이면 알록달록한 조명이 아름다운 야경을 빚어낸다. 자동차에서 바라보는 경인아라뱃길도 아름답지만, 유람선을 타고 상쾌한 강바람을 직접 느껴도 좋다. 선상에서 펼치는 다양한 공연이 재미를 더한다. 아이와 함께라면 녹갈색 유약을 발라 구워내는 녹청자의 매력을 엿보는 녹청자박물관도 추천한다. 1970년대부터 한자리를 지킨 가좌시장은 인천의 푸근한 인심을 만나는 전통 시장이다. 검암공원 드라이브를 하다 잠시 쉬고 싶다면 검암공원에 주차하자. 인천 앞바다와 한강을 연결하는 경인아라뱃길의 검암공원은 인천 검암역 뒤쪽에 위치해 있다. 운하 양쪽으로 자전거길이 조성돼 있어 한강변을 따라 자전거 타는 사람들과 산책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인기 있으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나무 평상과 그네가 있어 피크닉을 즐기는 사람들도 많이 찾는다. 운동시설로 축구장, 농구장, 배드민턴장이 있다. 저녁이 되면 시천교와 백석교의 야경이 장관을 이룬다. 주변 관광지로 시천교 수상무대, 매화 동산, 봉수 마당이 있다. 영종대교휴게소 기념관에 세워진 포춘베어 (사진=인천시) 그밖에 영종대교 휴게소는 영종대교 완공을 기념하며 2001년 건립한 기념관으로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에 전시실, 체험관, 전망대 등을 갖췄다. 영종대교와 서해가 훤히 내다보이는 전망 명소로도 유명했던 이곳은 2014년 변화를 맞는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에 휴게소가 없어 이용자들이 지속적으로 불편함을 토로하면서 영종대교기념관을 휴게소로 리모델링해 개장하게 된다. 즉 기념관과 휴게소를 겸하는 공간으로 변신한 것. 식음료 시설과 휴게 공간 등이 들어서고 기념관은 2층에 자리를 마련했다. 기념관에는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상징 구조물인 영종대교의 건설 방식과 과정, 특징을 소개하는 전시가 이뤄진다. 중앙에는 1/36 크기로 축소 재현한 영종대교 모형이 비치돼 눈길을 끈다. 세계 최초 도로·철도 병용 복층 현수교라는 영종대교 특징을 한눈에 살펴보기 좋다. 모형을 본 후 전망대로 나가 실물 영종대교를 비교 관찰하면 흥미롭다. 망원경을 이용해 자세하게 들여다볼 수 있다. 야외에 볼거리도 풍성하다. 3층 전망대에서는 갯벌과 서해가 어우러지는 풍광이 펼쳐지고 여기에 비행기가 오가며 포인트를 살린다. 영종대교휴게소의 랜드마크인 ‘포춘베어’ 조형물과 기념사진도 남겨보자. 단군신화 속 웅녀이야기를 모티브로 제작한 포춘베어는 높이가 23.57m에 달해 2014년 세계에서 가장 큰 스틸 조각 작품으로 기네스북에 정식 등재됐다.
10
[고흥군] 2023 고흥우주항공축제...4월21일~23일, 나로우주센터일원
[고흥군] 2023 고흥우주항공축제...4월21일~23일, 나로우주센터일원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제13회 고흥우주항공축제가 4월 21일부터 23일까지 3일간 나로우주센터 일원에서 개최된다. 전남과학축전과 함께 열리는 이번 축제는 우주과학관을 비롯해 우주천문과학관, 국립청소년우주센터, 우주발사전망대 등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고흥우주항공축제 포스터 우주과학관 우주과학관 전시관 우주과학관 나로호 우주선 먼저 우주과학관은 우주에 관한 기본원리, 로켓, 인공위성, 우주탐사 등을 테마로 구성된 상설전시관으로 32종 작동체험 전시물을 포함한 총 90여종의 전시품을 갖추고있다. 상설전시관을 비롯해 기획전시실, 3D 입체영상관, 4D 돔영상관, 야외전시장 등 우주과학을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시설이 준비되어 있어 우주과학 관련 교육 및 체험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 우주공간에 있는 듯 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로켓의 역사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로켓 모형과 실제부품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우리의 자랑 나로호를 직접 발사시켜 볼 수 있다. 실제 나로호의 1/3 크기로 만들어져있는 이 전시물은 발사 전 카운트다운부터 시작해 로켓이 발사되면서 느껴지는 진동까지 경험할 수 있다. 고흥우주발사전망대 VR체험실 고흥우주발사전망대 고흥의 랜드마크 고흥우주발사전망대는 지하1층 지상7층 규모이며 나로우주센터와는 해상으로 17km 직선거리에 위치해 나로호 발사 광경을 넓은 바다와 함께 볼 수 있다. 우주도서관과 우주체험공간 등도 마련되어 있다. 국내 유일의 우주과학 분야 특성화 체험활동 기관인 국립청소년우주센터(NYSC)는 국내 유일의 우주과학 분야 특성화 체험활동 기관이다. 청소년의 ‘창의성’과 ‘감성’을 고루 향상시키려는 사명감을 가지고, 청소년지도자들이 끊임없이 탐구하고 활동하고 있다.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국립청소년우주체험센터 센터는 우주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을 일깨우기 위해, 고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당일형 체험활동은 흥미로운 이야기를 우주인 훈련에 담아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우주센터에 잠시 머무는 시간에 따라, 아래 체험 과정을 선택 할 수 있다. [선택프로그램] 1.우주유영훈련 (MMU)우주 공간에서 이동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MMU를 탑승하며 근접 우주 환경을 이해하는 활동 2.대기비행의 안정성과 폼로켓 지구 대기권 속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조건을 살펴보며, 폼로켓을 만들고 날리는 활동 3.분광경 우주에 존재하는 원소의 빛을 관찰하기 위해 분광경을 제작하고, 별의 스펙트럼을 이해하는 활동 4.SOS 체험 (Science On a Sphere)공중에 매달려있는 구 스크린으로 태양계에 존재하는 행성과 위성 그리고 태양을 관찰하는 활동 5.균형잡기와 우주인 훈련(MAT) MAT를 체험하며 급격히 회전하는 위기의 상황을 극복하는 훈련을 경험하고 이해하는 활동 6.달 표면 걷기(MW) 달 중력 적응에 도움을 주는 문워커를 체험하고, 역사적인 달 탐사 과정을 알아보는 활동 7.블랙홀 그림자 천체투영관에서 블랙홀 그림자가 관측된 과정을 되짚어보고, M87과 우리은하 블랙홀의 시뮬레이션 영상 감상 8.찾길바래, 빛의 방향 편광필름으로 빛의 성질을 이해하고, 우주에서 오는 빛이 어떤 성질을 갖는지 알아보는 활동
11
[박물관여행] 우리옛돌박물관...세계에서 유일한 석조유물 전시관
[박물관여행] 우리옛돌박물관...세계에서 유일한 석조유물 전시관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아이들과 함께 주말 나들이를 할 계획이라면 박물관 여행은 어떨까? 우리나라는 전국에 다양한 박물관들이 세워져 있다. 그중 우리옛돌박물관은 천신일 세중그룹 회장(현 재단법인 옛돌문화재단 이사장)국내외로 흩어져있던 한국석조유물을 한자리에 모아 건립한 세계에서 하나밖에 없는 석조전문박물관이다. 우리옛돌박물관 전경 (사진=우리옛돌박물관) 우리옛돌박물관은 2000년 경기도 용인에 개관한 국내최초의 석조유물 전문박물관인 세중옛돌박물관에서 출발한다. 석조유물, 자수, 근현대미술작품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을 소개하기위해 2015년 북악산과 한양도성 사이에 자리한 성북동 언덕에 우리옛돌박물관으로 재개관 했다. 전체 부지면적 5500평과 건물 연면적 1000평 규모의 공간에 석조유물 1250점, 자수작품 280여점, 근현대회화 100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박물관은 환수유물관, 동자관, 벅수관, 자수관, 근현대회관 그리고 야외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도 환수유물관은 일본으로부터 환수한 문화재를 전시하는 곳으로, 다양한 유물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동자관, 벅수관, 자수관, 근현대회관에서는 문인석, 장군석, 동자석, 벅수, 석탑, 불상 등 다양한 돌조각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야외에 조성된 환수유물관(환수유물관에 전시된 문인석은 장군석, 석수石獸와 함께 능묘를 지키기 위해 세워진 조각이다.) 우리옛돌박물관은 석조유물 뿐만 아니라, 규방문화의 결정체인 전통 자수작품과 한국을 대표하는 근현대작가의 회화작품도 함께 전시하며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우리옛돌박물관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전통 자수작품 (사진=우리옛돌박물관) 옛 돌조각을 사찰의 장식이나 묘제석물로만 여기던 전통적인 시각을 넘어, 그 안에 담긴 선인들의 삶의 철학과 지혜를 현재 우리의 시선으로 바라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긴 세월 우리 땅에 있어온 돌과 사람의 이야기를 공유하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삶의 가치, 수복강녕을 향한 선인들의 간절한 바람을 느낄 수 있게 구성했다. 더불어, 우리 문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한 학술교류·연구의 장으로, 미래문화를 풍성하게 만드는 열린 박물관으로 거듭나고자 노력하고 있다. 동자관에 전시된 동자석 16세기-18세기 중반까지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왕실가족과 사대부 묘역에 조성된 석물이다.(사진=우리옛돌박물관) 이렇게 우리옛돌박물관은 국내 유일의 석조유물 전문 박물관이자 우리의 전통문화를 살펴 볼 수 있는 공간으로서, 대한민국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전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더욱 다양한 전시물과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12
서울 데이트 명소 BEST 5+1...하늘공원, 서촌마을, 익선동 한옥마을, 낙산공원, 항동철길, 세빛둥둥섬
서울 데이트 명소 BEST 5+1...하늘공원, 서촌마을, 익선동 한옥마을, 낙산공원, 항동철길, 세빛둥둥섬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서울에서 주말에 데이트 하기 좋은 장소는 너무나 많습니다. 그 중 6곳을 엄선해서 소개합니다. 이색적이고 낭만적인 데이트 장소를 찾고 있는 중이라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하늘공원...억새, 핑크뮬리, 일몰 명소 하늘공원 야경 (사진=서울시) 서울에 위치한 하늘공원은 2022년 월드컵 개최를 기념하여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을 복원한 곳으로, 월드컵 경기장 일대 5대 공원 중 하나입니다. 그 이름처럼 하늘에 위치한 공원으로, 300개가 넘는 계단을 통해 올라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즌에는 맹꽁이 버스를 이용하여 편안하게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하늘공원은 가을 억새풀 축제로 유명하며, 가을에는 많은 사람들이 찾는 인기 명소입니다. 최근에는 핑크뮬리로도 알려져 있어, 그 아름다운 꽃으로 사랑하는 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기에 좋은 장소입니다. 특히 저녁에 방문하면 멋진 일몰을 감상할 수 있어 로맨틱한 분위기를 더해줍니다. 또한, 지리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여 멋진 경치를 내려다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올라갈 때는 약간의 힘과 숨이 차도록 힘들게 올라가지만, 그 보람은 충분히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하늘공원은 데이트를 즐기기에 적합한 장소로, 사랑하는 이와 함께 어울리며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2. 서촌마을...대오서점, 통인시장, 이색카페, 한복체험 대오서점 (사진=서울시) 주말에 데이트하기 좋은 장소로는 서촌 마을을 추천합니다. 이곳은 3호선 경복궁역에서 도보로 5분 거리에 위치해 있어 만나기에 아주 편리한 장소입니다. 서촌 마을은 90년대의 느낌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곳으로, 많은 낮은 기와를 가진 건물들이 있어 도시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감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옛날 느낌만 있는 것은 아니며, 골목마다 트렌디한 상점들이 자리잡고 있어 이색적인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가장 힙한 곳 중 하나로 꼽히는 곳입니다. 이곳에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장소들도 많이 있습니다. 대오서점은 1951년부터 자리를 지키며 오늘까지 운영되고 있는 서점으로, 고유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공간입니다. 또한, 1941년에 설립된 전통시장인 통인시장도 이곳에 위치해 있으며, 일제 강점기부터 지금까지 장사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오래된 장소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특별한 정서를 느낄 수 있습니다. 서촌 마을은 연인들에게 기회를 주는 다양한 활동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명한 카페를 탐방하거나 맛있는 음식을 즐길 수 있는 많은 레스토랑들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촌에서는 한복을 체험할 수 있는 장소들도 많이 있어, 연인들이 함께 한복을 입고 사진을 찍을 수도 있습니다. 느리게 산책하면서 분위기 있는 데이트를 원한다면, 서촌 마을이 안성맞춤 입니다. 서촌 마을은 과거와 현대적인 분위기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어, 연인들이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특별한 장소입니다. 주말에는 서촌 마을을 방문하여 낭만적이고 특별한 데이트를 즐겨보세요. 3. 익선동 한옥마을...1920년대 한옥, 도깨비 촬영장소, 역사와 현대의 만남 익선동 한옥마을 (사진=서울시) 한옥을 현대적으로 개조한 이곳은 종로3가역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익선동 한옥마을은 주말이 되면 젊은 사람들로 북적거리는 분위기입니다. 한옥이 촘촘하게 붙어있어서 좁은 골목을 따라 걸어가다 보면 예쁘게 꾸며놓은 카페와 소품 가게들이 나타납니다. 이곳의 카페들은 한옥의 원형은 보존하면서도 트렌디한 인테리어로 장식하여 독특한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1920년대에 지어진 한옥들을 감상할 수 있는 곡몰길은 이곳에서 더욱 매력적인 모습으로 변신하였습니다. 한옥마을은 유명 드라마 도깨비의 촬영장소로 사용된 카페도 있어 팬들에게는 특별한 의미를 지닐 수 있습니다. 또한, 방송에 소개된 유명한 맛집도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고즈넉한 옛날 감성과 개화기의 모던한 분위기를 동시에 느낄 수 있는 특별한 매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주말에 데이트를 즐기기에 안성맞춤인 익선동 한옥마을은 예쁜 카페와 가게들로 가득 차 있어 눈을 즐길 수 있으며, 한옥과 현대적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어 특별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역사와 현대의 만남을 경험할 수 있고, 단락 시간을 보내기에 이상적인 장소입니다. 4. 낙산공원...야경 명소, 낙산타워 산책로 인기 낙산공원 야경(사진=서울시) 낙산공원은 낮에도 예쁜 곳이지만, 저녁이 되면 그 매력이 배가 됩니다. 특히 주말에는 연인들로 붐비는 곳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야경을 보러 오시면 반드시 사랑하는 이와 함께 보면 더욱 로맨틱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낙산공원에는 다양한 루트로 야경을 즐길 수 있는데, 가장 인기 있는 루트는 낙산타워까지 올라가는 길입니다. 약 20분 정도 오르막길을 걸으며 성벽을 따라 올라갈 수 있습니다. 오르막길이긴 하지만 매우 아름다운 경치와 함께 방문객들을 맞이하니 부담스럽지 않을 거예요.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서울의 야경은 정말 멋지답니다. 하지만 언덕길을 오르기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도 계실 수 있습니다. 그럴 때는 공원 내에 운행되는 버스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버스는 주말에 한시간에 한 번씩 운행되며, 낙산공원 정류장에서 탑승할 수 있습니다. 버스를 이용하면 좀 더 편하게 야경을 구경할 수 있습니다. 낙산공원은 데이트하기에 딱 좋은 장소입니다. 연극이나 영화를 관람한 뒤에 야경을 보러 가거나, 산책을 하면서 서울의 야경을 감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죠. 간단한 피크닉을 즐기기에도 수용성이 좋은 곳이니 이번 주말에는 낙산공원으로 데이트를 계획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사랑하는 이와 함께하면 분명 좋은 추억이 될 것입니다. 5. 항동철길...구로구에 있는 공원철길, 흑백사진 같은 풍경 항동철길 풍경(사진=서울시) 서울에서도 철로를 따라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곳이 있다? 그곳은 바로 항동철길입니다. 주택가를 관통하며 자연과 공존하는 항동철길은 독특한 분위기를 자랑합니다. 항동철길은 과거 자가용이 귀하던 시절의 풍경을 그대로 보존한 흑백사진처럼 아련한 추억을 자아내는 곳입니다. 이 곳은 아직도 철길을 따라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항동철길은 길이 4.5km로서 구로구 오류동에서 경기도 부천시 옥길동까지 이어져 이곳을 방문한 사람들은 옛 기찻길을 메마르고 닿을 듯한 향수를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항동철길은 지금도 그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며, 그곳을 걷는 시민들에게 새로운 곳으로의 모험이라는 희망을 심어줍니다. 항동철길은 특히 커플들에게 데이트하기 좋은 장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구로구 주변에는 다양한 음식점과 카페가 있어 데이트 후 식사나 커피를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철길을 따라 걷는 동안 연인들은 서로의 손을 잡고 대화를 나누며 로맨틱한 분위기를 즐길 수 있습니다. 항동철길(사진=서울시) 항동철길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지하철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7호선 천왕역 3번 출구로 나와서 5분 정도 걸으면 항동철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접하는 1단계에서는 주택가 사이로 철길이 지나가며 오른쪽을 따라 나무들이 심어져 있습니다. 편안한 길을 따라 걸으면 항동철길을 안내하는 간판을 볼 수 있습니다. 그곳부터 진짜 철길의 분위기가 물씬 풍겨오며, 서울에서 색다른 기찻길 체험을 즐길 수 있습니다. 2단계에서는 풀들이 옹기종기 모여 풍경을 이끌어 준다. 풀과 자갈이 통설되어 있는 철로 위에서 산책을 즐길 수 있습니다. 무심하게 걷다가 풀과 자갈을 밟으면서 사진을 찍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이곳에서 찍은 사진을 남기면 사람들이 어디인지 추측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만큼 항동철길은 독보적인 풍경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항동철길을 이용할 때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햇빛을 피할 곳이 없고 매점도 없으므로, 햇빛이 강할 때는 반드시 양산을 챙기고 개인이 마실 음료를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산책 코스에는 휴지통이 없으므로 개인 쓰레기는 스스로 처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항동철길은 서울에서도 산책 경험의 새로운 지점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연과 함께 걷는 기분을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서울에서 다소 특별한 경험을 원한다면, 항동철길을 선택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6. 세빛섬...4개의 인공섬, 요트투어, 화려한 야경, 어벤저스2 촬영지 세빛섬 야경 (사진=서울시) 세빛섬 야경 (사진=세빛섬) 세빛섬은 주말에 데이트하기에 최적의 장소입니다. 2006년에 사람의 손으로 만들어진 이 섬은 가빛섬, 채빛섬, 솔빛섬, 예빛섬 네 개의 인공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웨딩컨벤션, 레스토랑, 카페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습니다. 세빛섬은 화려한 한강의 야경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놀거리로 유명합니다.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으로, 특히 연인들은 요트를 타고 강 한가운데에서 로맨틱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 많이 찾는 곳입니다. 또한, 이곳은 여러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로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어벤져스2에서는 유전자 연구소로 사용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던 곳입니다. 요트 투어를 하기 위해서는 약 2만원 이상의 비용이 들지만, 서울 한강의 한복판에서 이런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렇게 비싸게 느껴지지 않을 것입니다. 주말에 데이트를 계획 중이라면 세빛섬을 선호할 만한 이유가 많습니다. 화려한 야경과 풍성한 즐길거리를 즐길 수 있는 이곳에서 로맨틱한 시간을 만끽하실 수 있습니다.
13
[영암군] 영암기찬랜드에 가면 한국트로트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다고?
[영암군] 영암기찬랜드에 가면 한국트로트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다고?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요즘 트로트 열풍이 뜨겁다. 한때 흘러간 가요 취급을 당하기도 했지만, 지금은 전성시대라 할 만큼 국민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월출산 기찬랜드에 조성된 한구트로트가요센터와 가야금산조 테마공원 대한민국 최초로 건립된 한국 트로트 가요센터는 영암군 기찬랜드 내에 위치하여 국내 대중음악의 대표적 장르인 트로트 음악 부흥을 위해 개관했다. 1층은 대중가요의 역사와 전통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한국 트로트 역사관, 2층은 영암의 대표가수 하춘화의 60년 가수 활동을 보여주는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석 규모의 공연장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곳에 가면 1층부터 천천히 살펴보자. 193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트로트의 역사를 시대별로 전시되어 있다. 옛날 음악다방처럼 꾸민 공간에서 좋아하는 노래를 감상하거나 애창곡을 부르며 숨은 실력도 뽐낼 수 있다. 2층은 영암 출신 가수 하춘화를 기념하는 공간이다. 무대의상과 신발, 각종 시상식에서 받은 트로피 등 60년 남짓한 노래 인생의 모든 공적이 담겨 있다. 한국트로트가요센터 관람료는 어른 6000원, 청소년 4000원, 어린이 2000원이며, 50%를 영암사랑상품권으로 돌려준다.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오후 6시, 월요일과 1월 1일, 명절 당일은 휴관한다. 가야금산조테마공원은 우리 민족 고유의 가락을 즐기는 곳이다. 소뿔과 순금으로 제작한 국내 유일한 화각 가야금도 전시한다. 영암곤충박물관은 아이들과 동행하기 좋다. 세계 각지에서 수집한 곤충 표본은 물론, 살아 있는 곤충과 파충류를 관찰하고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벚꽃이 아름다운 왕인박사유적지도 봄나들이 코스로 많이 찾는다. [상세정보] 월출산 기찬랜드가 뜬다...어떤 곳이길래? 기찬랜드의 가야금동산, 공연장과 풀장, 사성교, 자연풀장, 사방댐, 등산로, 가야금전경, 황토스파 실내물놀이장의 모습 [월출산기찬랜드]는 빼어난 자태를 자랑하는 월출산 천황봉자락 맥반석에서 나오는 氣와 계곡을 흐르는 청정 자연수를 활용하여 새롭게 조성된 영암의 대표적 관광명소이다. 이 지역은 월출산의 정기를 받아 불후의 민족음악을 창시한 악성 김창조 선생을 비롯하여, 제헌국회의원 낭산 김준연 선생, 해병대사령관 해군대장 강기천 장군, 바둑의 황제 조훈현 등 탁월한 인물들이 태어난 곳이다. 월출산 기찬랜드에는 가야금테마공원을 조성하여 민족문화를 체험할 수 있으며, 산림욕장, 웰빙 기도로, 자연형 풀장, 기건강센터, 팬션, 체육시설 등을 설치하여 군민은 물론, 웰빙을 추구하는 관광객들이 즐겨 이용할 수 있다. 지상의 기(氣)를 모아 하늘로 솟구치는 형국의 월출산 기슭을 따라 조성된 월출산 웰빙氣도로는 월출산의 물(水), 숲(林), 바위(巖), 길(路)을 체험하며 심신을 단련하는 건강도로이다. 월출산 웰빙氣도로는 1단계로 천황사지구에서 왕인박사유적지까지 약 13km의 도보전용 건강도로를 개설하고 있으며, 2단계로는 학산·미암까지 총 40km의 백리길 기도로를 개설할 계획이다. 월출산의 정기를 느끼며 휴식과 신체단련을 통한 건강한 삶을 추구할 수 있는 월출산 기도로는 천황사지 입구에서 이곳 기체육공원을 거쳐 기찬랜드까지 4km와 왕인박사유적지에서 도갑사 입구까지 3km 구간이 개설되어 많은 군민과 관광객들이 이용하고 있다.
14
[전남] 광양시, 6월부터 남도한바퀴로 떠나는 '광양주말여행' 여름 코스 시작
[전남] 광양시, 6월부터 남도한바퀴로 떠나는 '광양주말여행' 여름 코스 시작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광양시가 한여름 태양을 피하는 또 하나의 방법으로 남도한바퀴 여름코스 '광양주말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밝혔다. 6월부터 시작되는 남도한바퀴 여름코스는 '눈이 즐거운 행복한 하루, 광양주말여행'으로 개시 전부터 활발하게 예매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 여름코스는 광양예술창고 등 실내 문화공간에서 고품격 전시를 즐기고 서천분수, 백운산자연휴양림 등에서 시원한 분수와 신선한 피톤치드로 감성을 충전하는 여행이다. 광양주말여행은 매주 일요일 광주 유스퀘어(9시20분)를 출발해 광주송정역(9시50분)을 경유, 광양 원도심의 전남도립미술관, 광양예술창고 등을 관람한다. 이어 광양불고기특화거리에서 점심을 즐긴 후, 서천무지개분수, 백운산자연휴양림 등을 투어하고 송정역(18시 5분), 유스퀘어(18시 30분)에 도착하는 낭만코스다. 백운산자연휴양림은 울창한 원시림에 식물생태숲, 치유의 숲, 감동책방 등을 두루 갖춘 복합산림문화 공간으로 더위와 일상에 지친 심신을 치유해 주는 웰니스 공간이다. 식물생태숲은 다양한 식물을 감상할 수 있는 산책로로 폭염·미세먼지 저감장치가 설치돼 더위를 식혀주고 치유의숲은 풍욕, 탁족, 명상 요가 등 내·외부 프로그램을 두루 즐길 수 있어 바쁜 현대인들의 쉼표로 주목받고 있다. 프리미엄 버스로 운행되는 광양주말여행 이용요금은 2만4천 900원(관광지 입장료, 여행자보험, 식비 등은 별도)이며 온·오프라인에서 예약이 가능하다. 기타 자세한 안내 및 예매는 남도한바퀴 누리집, 남도한바퀴 콜센터, 남도한바퀴 카카오톡 채널 등을 이용하면 된다. 정구영 관광과장은 "남도한바퀴 여름테마 '눈이 즐거운 행복한 하루'는 광양의 수준 높은 예술공간과 백운산자연휴양림의 푸르름을 만끽할 수 있는 힐링코스"라며 "뜨거운 태양을 피하고 휴식과 감성을 충전할 수 있는 광양주말여행을 적극 추천한다"고 말했다.
16
장흥 탐진강변에서 펼쳐지는 문화의 축제 '탐진강 힐링 콘서트'
장흥 탐진강변에서 펼쳐지는 문화의 축제 '탐진강 힐링 콘서트'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아름다운 탐진강의 풍경을 배경으로 하는 음악, 독서, 마켓, 그리고 체험의 화합! 9월 16일, 장흥군이 주최하는 '탐진강 힐링 콘서트'에서 모든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순간을 기대해 보자. 장흥군이 청년의 날을 맞이하여 오는 9월 16일, 아름다운 탐진강변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특별한 '탐진강 힐링 콘서트'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행사의 눈길을 끄는 메인 프로그램, 탐진강 작은 콘서트에서는 플룻 & 보컬, 트럼펫 솔로, 중창, 대중가요와 같은 다양한 음악 공연이 관객들을 매료시킬 예정이다. 특히, BOOK크닉은 참가자들이 그늘막 아래에서 독서를 즐길 수 있는 신선한 프로그램으로 준비되었으며, '책책빵빵 책버스'도 현장에서 책을 빌려볼 수 있다. 플프마켓에는 30개의 판매, 체험, 먹거리 부스들이 준비되어 있어, 콘서트뿐만 아니라 쇼핑과 먹거리로도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그 밖에 어린이들을 위한 손인형극, 석고방향제 만들기, 생약초뷰티테라피 체험, 뜨개질 체험과 같은 다채로운 체험 프로그램도 기대되는 부분 중 하나다. 김성 장흥군수는 이번 행사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며, "아름다운 탐진강 풍경 속에서 음악, 책, 마켓, 체험을 함께 즐기며 화합의 시간을 가져보자"는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이번 '탐진강 힐링 콘서트'는 모든 세대가 함께 어울려 즐길 수 있는 문화의 축제로, 아름다운 탐진강변에서 즐거운 추억을 만들기 위한 최적의 장소가 될 것이다.
17
[부평구] '인천탁주',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 선정
[부평구] '인천탁주',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 선정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부평구(구청장 차준택)가 17일 농림축산식품부의 2023년도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에 인천탁주제조 제1공장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인천탁주제조 제1공장 (사진=부평구)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은 지역의 우수 양조장을 선정해 전통주 시음 및 만들기 체험뿐만 아니라 지역관광, 문화공간으로의 고도화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전국 지자체에서 추천한 25개 양조장을 대상으로 전문가 평가를 거쳐 인천탁주를 포함해 전국 5곳의 양조장이 선정됐다. 인천탁주는 이번 공모사업에 선정돼 4천8백만 원을 지원받아 ▲막걸리빚기 체험 확대 운영 ▲다양한 관광 체험 사업을 추진할 예정으로 구에서는 인천탁주가 지역 대표 전통주로 공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지원한다. 구 관계자는 "이번 사업 선정을 통해 2년간 맞춤형 전문 컨설팅으로 인천탁주가 관광·체험까지 연계된 복합공간으로 발전하는 기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1938년부터 3대째 이어져 온 인천탁주제조 제1공장은 HACCP 인증을 받은 위생적인 공장형 막걸리 제조장이다. 2023년 대한민국주류대상 생막걸리 부문 대상을 수상했으며 ▲인천생소성주 ▲인천소성주플러스 ▲쌀은 원래 달다 등의 상품이 있다.
19
신안군, 힐링과 미식의 향연...천일염 바다에서 홍어 바다까지
신안군, 힐링과 미식의 향연...천일염 바다에서 홍어 바다까지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여러분, 이번 주말 어디로 떠나볼까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면, 지금 바로 신안군으로 힐링 여행을 계획해보세요! 신안군은 풍부한 특산물과 아름다운 자연이 어우러진 곳으로, 여러분의 마음까지 치유해 줄 수 있는 완벽한 여행지랍니다. 첫 번째로 방문할 곳은 천일염 체험장이에요. 여기서는 바다에서 채취한 해수를 햇볕에 말려 얻는 천일염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어요. 천일염은 미네랄이 풍부해서 건강에 좋고, 음식의 맛을 더욱 진하게 해준답니다. 체험 후에는 천일염으로 만든 다양한 제품들을 구입할 수 있는 시간도 가질 수 있어요. 태평염전 소금밭 염전체험(사진=신안군) 천일염 힐링캠프 주요내용 : 천일염의 생성과정을 눈으로 보고 직접 체험해보는 가족형 체험 프로그램 : 소금박물관 관람 → 염전체험 → 수차돌리기 → 염생식물원 포함상품 : 기념품(1kg소금) + 소금아이스크림 이용가격 : 대인 12,000원, 소인 10,500원 체험시간 : 4월~10월 / 11시, 15시 2회 체험(사전 예약) 우 천 시 : 소금비누만들기 체험 대체 문의전화 : 소금박물관 061) 275-0829 증도갯벌생태전시관 스탬프 인증 시 10%할인 소금박물관 문의전화 : 061-275-0829 운영시간 : 09:00~18:00 유료입장 : 성인 3,000원, 소인 2,000원 무료입장 : (증빙서류제출) 함초자연체험 문의전화 : 061-275-0829 운영시간 : 11월 ~ 3월, 09:00~18:00 체험비 : 성인 15,000원, 소인 14,000원 소금동굴힐링체험 문의전화 : 061-261-2266 운영시간 : 매시간 정시 시작, 45분간 이용 이용가격 : 성인 10,000원, 소인 5,000원 / 최대 40 천일염 부양욕체험 (4만원, 1인실 2개실) 천일염 찜질체험 (2만원, 1인실 2개실) 증도갯벌생태전시관 스탬프 인증 시 20%할인 다음으로는 흑산도로 떠나볼까요? 흑산도에서는 신선하고 특유의 맛이 있는 홍어를 맛볼 수 있어요. 홍어전문점에서는 이 홍어를 활용한 다양한 요리를 맛볼 수 있답니다. 특히 홍어회는 그 독특한 맛과 진한 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메뉴 중 하나에요. 흑산도 홍어 삼합(사진=흑산도 홍어 명품) 이어서 비금도에 위치한 섬초 체험장을 방문해볼까요? 섬초는 그 지역만의 특별한 풍미와 영양이 풍부해서 많은 사람들이 찾는 특산물이에요. 섬초무침은 그 신선함과 씁쓸한 맛이 인기랍니다. 그 다음 목적지는 신안 대파 농장이에요. 여기서는 특유의 단맛과 향이 뛰어난 신안 대파를 직접 수확해 볼 수 있어요. 대파는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곤 하는데, 특히 김치나 찌개, 무침 등에 사용하면 그 맛이 더욱 돋보인답니다. 뻘낙지 체험도 빼놓을 수 없죠. 신선하고 탱글탱글한 식감이 특징인 뻘낙지는 낙지볶음이나 낙지전 등 다양한 요리로 즐길 수 있어요. 신안뻘낙지 (사진=신안군) 마지막으로는 신안 곱창김과 민어 건정을 구입할 수 있는 시장을 방문해볼까요? 곱창김은 그 특유의 고소함과 바삭바삭한 식감으로, 민어 건정은 특유의 맛과 향이 있는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곤 해요. 신안 곱창김(사진=신안군) 이렇게 신안군에서는 힐링과 미식이 어우러진 완벽한 여행을 경험할 수 있어요. 여러분도 신안군에서 특별한 주말을 보내보세요!
20
광복절 명소...근현대사기념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백범 김구기념관
광복절 명소...근현대사기념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백범 김구기념관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2023년 8월 15일은 대한민국 78주년 광복절입니다. 대한민국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날로 꼽히는 이 날은 일본으로부터 광복되었고,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날이기도 하죠. 이러한 의미로 광복절에 가면 더욱 뜻깊은 장소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광복절 명소를 소개합니다. 근현대사기념관 (사진=홈페이지 갈무리) 가장 먼저 안내할 곳은 근현대사기념관입니다. 북한산 자락에 위치한 이 기념관은 동학농민운동부터 4·19혁명까지의 중요한 역사를 관람할 수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은 한국 근현대사의 현장이라는 의미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습니다. 헌법에 담긴 '자유', '평등', '민주'의 이념이 선열들이 피땀 흘려 체득하고 축적한 소중한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감동적인 서사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대한민국의 미래상에 대한 감동을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서대문 형무소역사관 (사진=픽사베이) 또한, 광복절에 방문할 수 있는 다른 장소들도 추천합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은 한국의 독립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 곳으로, 1908년 10월에 문을 열어 1987년 11월에 폐쇄될 때까지 80년 동안 감옥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옥사는 붉은 벽돌로 지어졌고 수감자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원형 감옥 형태인 패놉티콘 구조로 만들어졌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식민 지배에 맞섰던 많은 항일 독립운동가들이 갇혔으며, 해방 후에는 독재 정권과 군사 정권에 저항했던 민주화 운동가들이 갇혔던 역사의 현장입니다. 이후 서대문구에서 현장을 보존하고 역사의 교훈으로 삼고자 1998년 11월 5일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관하였습니다. 과거의 역사를 교훈으로 삼고 독립운동가와 민주화운동가의 자유와 평화를 향한 신념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박물관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천안 독립기념관은 유관순 열사를 비롯해 한국의 독립 운동에 큰 희생을 바친 분들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곳입니다. 백범 김구 기념관 (사진=홈페이지 갈무리) 백범 김구 기념관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무령을 지낸 백범 김구의 생애와 공헌을 기리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 공원 안에 있는 백범 김구 선생의 묘역과 그 옆에 백범 김구 선생의 삶을 고스란히 담아낸 백범김구기념관이 세워져 있습니다. 백범김구기념관 2층에 오르면 창밖으로 백범 김구 선생의 묘역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데, 유리창 앞에 의자가 설치돼 있어 누구나 걸음을 잠시 멈추고 백범 김구 선생과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전쟁기념관, 안중근 의사 기념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도산 안창호 기념관 등을 찾아가 보시기 바랍니다.
21
[충북] 청주 상당산성...호서지방 보루, 산성일주 코스 주변 풍광 일품
[충북] 청주 상당산성...호서지방 보루, 산성일주 코스 주변 풍광 일품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충청북도 청주 상당산성(사적)은 지금도 걷는 사람들이 많다. 천년고도의 위용을 드러내고 있는 이 산성은 조선 시대 군사적 요충지로, 재난이 일어날 때마다 호서 지방을 지켜준 소중한 보루이자 요새다. 상당산성은 청주의 랜드마크 같은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멀리서 보아도 상당산이 머리에 띠를 두른 듯 또렷하게 보이는 성벽은 위기 때마다 청주 사람들의 울타리가 되어준 파수꾼이다. 상당산 능선을 따라 이어진 성벽은 산을 돌아가며 둘레 4.2km, 높이 4~5m의 성곽이다. 임진왜란 때에 일부 고쳤으며 숙종 42년(1716)에 네모나게 다듬은 화강암으로 석성을 쌓았다. 성 안에는 5개의 연못과 3개의 사찰, 관청건물, 창고 등이 있었다. 현재 상당산성에는 공남문(남문)과 미호문(서문), 진동문(동문) 3개의 문과 2개의 암문, 치성 3곳과 수구 3개소가 있다. 조선군이 훈련하던 동장대는 1992년에 복원해 옛 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성을 한 바퀴 돌고 내려오면 성안에는 전통한옥마을이 조성되어 있는데 전통마을에서 맛보는 전통주와 빈대떡은 산성을 돌고 난 후의 고단함을 풀어준다. 대규모 포곡식 석축 산성인 만큼 산성에 오르면 상당산의 수려한 산세와 더불어 청주 일대의 아름다운 풍경을 만날 수 있다. 초여름의 싱그러운 햇살 아래 상당산성을 한 바퀴 걸어보자. ‘산성 일주 코스’는 약 4km정도이며, 저수지에서 출발해 남문을 지나 서남암문과 서문, 동북암문, 동문, 동장대를 거쳐 다시 저수지로 내려오는 원점 회귀 코스이다. 상당산 능선 성곽을 따라 걷는 동안 성문 3개와 암문 2개, 치성과 수구 3곳을 둘러볼 수 있다. 상당산성 일주의 백미는 정상부에 해당하는 남문-서문 성곽이 아닐까? 이 구간을 걷는 동안 눈에 들어오는 주변 풍광이 일품이다. 상당산성이 과거 이 지역에서 어떤 무게와 의미를 차지하는지 저절로 알 수 있다. 상당산성과 더불어 이 일대에 자리한 명소도 둘러보자. 청주에서 가장 큰 저수지를 품은 명암유원지, 청주의 감성 여행 1번지 수암골벽화마을, 건축가 고 김수근이 설계한 국립청주박물관은 청주가 과거부터 얼마나 중요한 입지를 차지한 땅이었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상당산성 옛길 번잡함을 피하려면 옛길을 추천한다. 상당산성 옛길코스는 명암약수터에서 시작해 상당산성으로 연결되는 힐링숲길이다. 몸과 마음의 치유를 위한 힐링길로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 회생길이기도 하다. 그리고 지역성의 회복, 흔적길을 예쁜 야생화를 보며 산책할 수 있다. 정상 출렁다리에서 상당산성 또는 상봉재 옛길, 봉수대, 활공장 등산로가 연결된다.
22
[인천] 부평구, '2023 4인4색 맞춤형 부평투어' 추진...매회 40명, 총 10회 진행
[인천] 부평구, '2023 4인4색 맞춤형 부평투어' 추진...매회 40명, 총 10회 진행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인천 부평구(구청장 차준택)가 25일 역사박물관을 시작으로 '2023 4인4색(4人4色) 맞춤형 부평투어'를 시작했다. 이번 투어는 지난해 군 장병 대상으로 진행했던 투어를 다문화가정, 청소년, 성인 등으로 대상을 확대해 지역의 특색있는 관광자원을 홍보하고 잠재적 관광수요자를 확보하겠다는 취지로 추진하고 있다. 투어는 매회 40여 명을 대상으로 총 10회에 걸쳐 진행된다. 먼저 군 장병 및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사전신청을 받아 5~7월 중 투어를 진행하며, 청소년 및 성인 투어는 오는 8~11월 예정돼 있다. 주요 방문지는 캠프마켓(B구역), 부평 역사박물관, 부평 아트센터, 부평숲 인천나비공원, 신촌로 공방거리, 부평 문화의거리, 부평지하상가 모두몰 등이다. 이외에도 풍물공연 관람 및 악기체험, 각종 공예품 만들기, 문화관광해설사를 동반한 역사코스 탐방 및 체험활동을 통해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또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콘서트 관람과 양조장 견학 및 막걸리 빚기 체험 등을 투어 코스에 신규로 추가해 지역 관광 사업자에게 참여 기회를 제공하며, 전통문화와 예술이 어우러지는 '문화도시 부평'을 홍보하고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일 계획이다. 구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변화된 관광트렌드를 반영하고 투여참여자의 관광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대상별 맞춤형 투어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며 "이를 통해 투어 만족도를 높이고 문화도시 부평의 지역명소와 문화 콘텐츠를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23
"푸른 하늘 아래 '맘껏 뛰어놀개': 금천구에서 반려견과 함께하는 특별한 하루!"
"푸른 하늘 아래 '맘껏 뛰어놀개': 금천구에서 반려견과 함께하는 특별한 하루!"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금천구에서 반려견과 그들의 사랑스러운 보호자들을 위한 특별한 이벤트가 펼쳐집니다! 구청장 유성훈이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9월 23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시흥동 금천녹색광장에서 열립니다. 이 특별한 날, 반려견과 반려인들이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이동식 놀이터 '맘껏 뛰어놀개'가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당일 현장에서 접수를 받으며, 놀이터는 안전한 울타리와 다양한 스포츠 장비가 갖춰져 있어, 반려견들이 목줄 없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습니다. 또한, 반려인들을 위한 휴식 공간도 마련되어 있어, 파라솔 아래에서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참여를 희망하는 반려견은 동물등록이 완료되고 광견병 예방접종을 받은 경우에만 가능하며, 안전을 위해 중·소형 견과 대형 견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단, 맹견의 출입은 허용되지 않으며, 각 공간에는 최대 20마리의 반려견만 동시에 입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유기 동물 입양 홍보와 반려동물 공공 예절에 대한 캠페인, 그리고 1:1 행동 교정 상담도 진행됩니다. 유성훈 구청장은 "반려인들의 놀이터 설치에 대한 꾸준한 요구를 반영해 내년 7월에는 상설 반려견 놀이터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동물복지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전했습니다. 이 특별한 행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금천구청 지역경제과(02-2627-2592)로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안내 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려견과 함께하는 즐거운 하루, '맘껏 뛰어놀개'에서 만나요!
24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에서 가을의 밤을 빛내다...노을부터 야경까지, 순천의 모든 것을 즐기자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에서 가을의 밤을 빛내다...노을부터 야경까지, 순천의 모든 것을 즐기자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순천에서는 2023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개최한다. 이 기간 동안, 선선한 가을 날씨와 순천만국가정원의 밤 풍경은 더없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순천만국가정원권역 관광지와 야경(사진=순천시) 행사장은 크게 순천만국가정원권역, 순천만습지권역, 도심권역으로 나뉜다. 순천만국가정원권역에서는 국가정원식물원과 시크릿가든이 방문객들에게 인기다. "국가정원식물원에서 구경을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시크릿가든으로 이어진다. 두 곳을 둘러보고 나오면, 순천호수정원 주변의 야경이 눈에 담긴다."고 조직위원회 홍보담당자가 설명한다. 도심권역에는 오천그린광장과 그린아일랜드, 물위의정원이 있는데, 이곳의 밤 풍경도 순천호수정원 못지않게 멋지다. "오천그린광장의 야경은 정말로 숨겨진 보석 같아요," 라고 여행자 김지현 씨가 말한다. 9월과 10월에는 순천만국가정원권역의 운영 시간이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다. 오후 5시부터 입장하는 야간권의 입장료는 어른 8000원, 청소년 6000원, 어린이 4000원이다. 그리고 순천에는 그림책 전문 도서관인 순천시립그림책도서관이 있다. 이곳은 순천시 행동 문화의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그림책 원화와 관련 전문자료 등을 전시하고 있다. 주변에는 옥천서원이라는 전남문화재자료도 있어 함께 구경할 만하다. 매주 금요일 오후 5시부터 10시까지는 순천시티 야경투어가 운행된다. 코스는 순천역부터 시작해 오천그린광장&출렁다리를 거쳐 순천만국가정원(정원드림호는 선택)을 방문한 뒤 다시 순천역으로 돌아온다. 박람회 조직위원회 위원장인 김영록 전남도지는 "가을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즐기기에 가장 좋은 계절입니다. 특히 늦은 오후부터 저녁에 걸쳐 펼쳐지는 노을과 야경은 정말로 아름답습니다." 라고 소개했다. 이번 추석에 가족과 함께 순천에 내려온 이민지 씨(서울 은평구)는 "순천역에서 도보로 10여 분 거리에 위치한 동천테라스나루터에서는 박람회 행사장 내 호수정원나루터까지 12인승 보트와 20인승 선박이 운항해요. 늦은 오후에 배를 타고 노을을 보는 건 정말로 감동적이었어요." 라고 말했다. 순천은 가을에 더욱 빛나는 도시다.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는 그 중심에서 더욱 화려한 빛을 발한다. 이 가을, 순천에서 노을과 야경, 그리고 다양한 문화와 자연을 만나보면 어떨까.
25
2023 강원세계산림엑스포, 푸른지구관 대형 미디어아트 영상 인기몰이
2023 강원세계산림엑스포, 푸른지구관 대형 미디어아트 영상 인기몰이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2023 강원세계산림엑스포의 푸른지구관에서 상영되는 대형 미디어아트 영상이 관람객들로부터 폭발적인 호응을 얻고 있다. 강원세계산림엑스포 푸른지구관에서 상영 중인 대형 미디어아트 (사진=산림엑스포 조직위원회) 강원세계산림엑스포 푸른지구관에서 상영 중인 대형 미디어아트 (사진=산림엑스포 조직위원회) 1일 산림엑스포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이 영상은 높이 6m, 길이 70m의 대형 스크린을 활용해 정면, 양옆, 바닥까지 아우르는 프로젝트 매핑기법을 적용했다. 주제 영상에서는 '탄소 1t=나무 360그루'라는 메시지를 강조하며, 서브 영상에서는 '대한민국은 경제성장과 산림복원을 동시에 이룬 유일한 국가'라고 알린다. 이러한 메시지는 화려하고 웅장한 영상과 음향이 결합되어 관람객에게 깊은 몰입감을 선사한다. 두 영상 사이를 이어주는 패턴 영상에서는 아름다운 숲과 꽃들을 이미지화해 대형 스크린 곳곳이 포토존으로 변한다. 이로 인해 푸른지구관의 관람객 수는 급증, 전날까지 3만6천354명을 기록했다. 지난달 22일 개막 이후 매일 3천명 안팎의 관람객이 찾았던 푸른지구관에는 29일 6천398명, 30일 8천821명으로 급증했다. 푸른지구관을 포함해 전체 누적 입장객 수는 이날 낮 12시 현재 28만4천754명이다. "이 영상은 단순한 미디어아트를 넘어, 사람들에게 환경과 산림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 교육적 요소도 갖추고 있다." 고 산림엑스포 조직위원회 관계자가 말했다. 산림엑스포는 '세계, 인류의 미래, 산림에서 찾는다'를 주제로 10월 22일까지 열린다.
2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멋진 프러포즈 장소 BEST 10...1. 노르웨이 송네피오르와 뤼세피오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멋진 프러포즈 장소 BEST 10...1. 노르웨이 송네피오르와 뤼세피오르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프러포즈. 평생 한 번 뿐인 프러포즈는 어디에서 하느냐가 중요합니다. 한 결혼정보회사에서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선호하는 프러포즈 장소를 묻자 여성들의 경우 51.6%가 둘만의 평생 잊지 못할 곳을 프러포즈 장소로 답했습니다. 그만큼 분위기 있고 특별하고 멋진 배경을 가진 장소가 프러포즈 하기 좋은 명소입니다. 사랑하는 여인을 위해 해외 명소를 배경으로 무릎을 꿇고 청혼하는 순간 평생 잊지 못할 둘만의 추억을 만들어 줄 것입니다. 이렇게 로맨틱한 프러포즈는 사랑에 빠진 모든 커플의 꿈입니다. 특히 해외 여행지에서의 프러포즈는 이색적인 장소가 주는 남다른 분위기로 인해 소중한 추억을 선물 할 것입니다. 사랑하는 연인을 위해 세상에서 가장 멋진 로맨틱한 프러포즈 장소 10곳을 소개합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특별한 분위기로 성공적인 프러포즈를 위해 완벽한 상황을 연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1. 노르웨이 피오르...세계 두 번째로 길고 높은 절벽 위에서 아찔한 고백 어떠세요? 노르웨이의 피오르 절벽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함께 짜릿하고 로맨틱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아주 특별한 장소입니다. 그 아름다운 피오르를 배경으로 특별한 서프라이즈를 준비해 볼까요. 노르웨이의 피오르는 수많은 이들의 눈과 마음을 사로잡을만큼 놀라운 아름다움으로 가득하며, 그 중에서도 송네피오르는 명성에 걸맞게 노르웨이에서 가장 길고 수심이 깊은 피오르입니다. 송네피오르 (사진=픽사베이) 그 곳에 도착한 순간 황홀한 아름다움에 멈춰서고 마는 놀라움이 있습니다. 송네피오르의 길이는 204km에 이르며 최대 수심은 1308m로, 전 세계에서도 두 번째로 긴 피오르입니다. 이런 크기의 피오르를 마주하면 누구라도 자연의 위대함과 아름다움에 감탄과 경외심을 느끼게 될 겁니다. 여기에 더해 송네피오르는 평균 1000m에 이르는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 놀라운 높이는 마치 63빌딩 4.7개를 수직으로 세운 것과도 같다고 하니 당신을 위한 프러포즈에 최적의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랑하는 연인과 함께 송네피오르 절벽 끝에서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멋지고 스릴 넘치는 고백을 해보세요. 사랑하는 사람에게 이 아름다운 자연 풍경 속에서 둘만의 약속을 깊이 심어주고, 영원한 사랑을 다짐하는 순간을 함께 한다면 평생 기억 속에 각인 될 것입니다. 두 사람의 미래를 함께할 송네피오르에서의 프러포즈는 사랑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마치 피오르의 깊이만큼이나 사랑도 깊이 있고, 피오르의 길이만큼이나 사랑도 오래 갈 것이기때문입니다. 송네피오르의 아름답고 짜릿한 프러포즈의 시간이 사랑의 시작을 알립니다. 송네피오르에서 연인과 함께하는 날,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풍경을 바라보며 사랑이 단단하기를 소원해 보세요. 최고의 프러포즈를 통해 영원한 사랑의 시작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뤼세피오르...제단 바위에서 감상하는 아찔하고 멋진 풍경 노르웨이에서 가장 핫한 곳으로 불리는 뤼세피오르 역시 해마다 수많은 해외 여행자들이 찾는 곳입니다. 총 길이 46㎞의 뤼세(Lyse) 피오르드는 노르웨이 남부 도시 스타방에르(Stavanger) 동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다른 피오르보다 규모는 작지만 아기자기한 매력 때문에 매년 약 3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합니다. 뤼세피오르 (사진=노르웨이 관광청) 뤼세피오르 (사진=노르웨이 관광청) 이곳에서 많은 여행객은 뤼세피오르의 명물인 프레이케스톨렌(Preikestolen) 하이킹을 합니다. 뤼세피오르의 상징인 프레이케스톨렌은 604m의 높이의 절벽으로 꼭대기에는 사람이 깎은 듯 8평 정도의 평평한 지형이 있습니다. 모양이 교회 설교단 같이 보인다고 해서 '제단바위(Pulpit Rock)'로도 불립니다. 이곳에 오르면 뤼세피오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것은 물론 간담을 서늘하게 하는 아찔함까지 느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연인들이 프러포즈를 하기 위해 이 곳을 방문 합니다.
27
"신안군, 갯벌의 숨은 보석들을 찾아서"
"신안군, 갯벌의 숨은 보석들을 찾아서"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전라남도 신안군은 갯벌의 보물창고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생태계와 함께 풍부한 해양 자원을 만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신안군의 몇몇 유명한 갯벌 여행지를 소개 합니다. 갯벌 풍경(사진=픽사베이) 먼저, 내양리 갯벌 A는 참도 선착장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나문재와 민챙이, 농게 등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농게와 칠게를 어획하는 유명한 곳이지만, 주 수입원은 아닙니다. 농경지와 밀접하게 위치해 있어, 비료 등의 영양염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지만, 해수는 상대적으로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내양리 갯벌 B는 내양염전 사이에 자리잡고 있으며, 자연성이 많이 훼손된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서는 계절에 따라 다양한 어종이 어획되지만, 낙지는 잡히지 않습니다. 봉리 갯벌은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자랑하며, 방조제와 논경지가 인접해 있어 담수가 갯벌로 유입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부류식 김양식어장이 갯벌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어획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감정리 갯벌은 염전과 소나무 군락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합니다. 갯잔디 군락이 발달된 일부 지역은 특히 방문객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솔섬 갯벌은 신규로 조성된 방조제가 특징이며, 어획 활동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룡 갯벌은 깨끗한 상태의 갯벌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게류와 갯지렁이류가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신안군에는 태천리 갯벌 A, 태천리 갯벌 B, 내동 갯벌 등 다양한 갯벌 지역이 있습니다. 이곳들은 각각의 특색과 다양한 생물상을 자랑하며, 방문객들에게 새로운 경험과 지식을 제공합니다. 신안군의 갯벌은 생태계의 보물창고이자, 생태 관광의 새로운 명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번 주말, 가족들과 함께 신안군의 갯벌을 찾아 특별한 경험을 만들어 보세요!
28
울산명소 '강동 사랑길'...산과 바다 모두 즐기면서 데이트 할 수 있는 녹색명품길
울산명소 '강동 사랑길'...산과 바다 모두 즐기면서 데이트 할 수 있는 녹색명품길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지금 사랑에 빠졌거나 곧 결혼 계획이 있거나 혹은 연인과 특별한 휴가 계획이 필요하다면 울산에 가보자. 울산 북구 강동사랑길을 걸으며 둘 만의 오붓한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강동 사랑길의 테마는 '사랑'이다. 구간마다 사랑이 깔려 있는 일곱 개의 하트모양의 구간은 산과 들, 바다를 모두 즐길 수 있어 연인이 함께 걸으면 더없이 좋은 코스이다. 정자해변을 중심으로 문화유적과 작은 포구를 잇는 둘레길을 연결해 총 27.7km에 이르는 강동사랑길 구간은 산과 들, 바다를 모두 만끽할 수 있는 녹색명품길이기도 하다. 정자항 ~ 제전항 ~ 우가항 ~ 당사항 ~ 옥녀봉 ~ 유포석보 등으로 이어지는 강동사랑길은 총 7개 구간이 서로 맞물려 '8자'처럼 이어져 있고, 경우에 따라 2개 구간 이상을 연결하여 가장자리를 돌 수도 있다. 강동사랑길 풍경(사진=울산시) 강동사랑길 코스에서 볼 수 있는 풍경 (사진=울산시) 강동사랑길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길마다 얽혀 있는 이야기이다. 구간 곳곳의 볼거리에는 문화와 역사가 어울리는 이야기들이 담겨 있어 부부나 연인이 함께 걷기 더없이 좋다. 아래에 있는 8개 구간의 8가지 이야기를 마음으로 되새기며 길을 걷다 보면 어느덧 마지막 코스에 도착해 있을 것이다. 제1코스 ㅣ 거리 3.0㎞ 소요시간 : 1시간 20분 믿음의 사랑길 : 정자항 귀신고래등대 ↔ 강동119안전센터 ↔ 정자교회 ↔ 울산인성교육센터 ↔ 유포석보 ↔ 벅제상발선처 ↔ 정자항 제2코스 ㅣ 거리 2.6㎞ 소요시간 : 1시간 20분 윤회의 사랑길 : 판지항 ↔ 3구간 합류점 ↔ 원오사 ↔ 3구간 갈림길 ↔ 깔비체험길 ↔ 다래길 ↔ 강동해수온천 ↔ 수로낭 ↔ 곽암 ↔ 큰끗, 장끗 ↔ 판지항 제3코스 ㅣ 거리 4.7㎞ 소요시간 : 2시간 10분 연인의 사랑길 : 제전항 ↔ 제전마을 입구 ↔ 강쇠길 ↔ 옥녀길 ↔ 4구간 갈림길 ↔ 일심전망대 ↔ 천이궁 ↔ 옥녀봉 ↔ 2구간 합류점 ↔ 원오사 ↔ 정자오피스텔(2구간 갈림길) ↔ 복성마을 ↔ 제전항 제4코스 ㅣ 거리 5.9㎞ 소요시간 : 2시간 30분 부부의 사랑길 : 제전항(3구간 갈림길) ↔ 초병의 길 ↔ 금실정 ↔ 정우와 할매집 ↔ 우가항 ↔ 해녀의 집 ↔ 5구간 합류점 ↔ 5구간 갈림길 ↔ 까치전망대 ↔ 3구간 합류점 ↔ 옹녀나무 ↔ 강쇠나무 ↔ 제전마을 입구 ↔ 제전항 제5코스 ㅣ 거리 2.9㎞ 소요시간 : 1시간 30분 배움의 사랑길 : 당사항 ↔ 500살 된 느티나무 ↔ 강동축구장 ↔ 4구간 합류점 ↔ 임도갈림길 ↔ 산해로 입구(4구간 갈림길) ↔ 산해로 ↔ 산해로 출구 ↔ 부대 입구 ↔ 당사항 제6코스 ㅣ 거리 2.5㎞ 소요시간 : 1시간 사색의 사랑길 : 당사항 ↔ 해양경찰 당사출장소 ↔ 당사해양낚시공원 ↔ 용바위 ↔ 추억의학교 ↔ 7구간 합류점 ↔ 까치골 ↔ 7구간 갈림길 ↔ 5구간 합류점 ↔ 당사항 제7코스 ㅣ 거리 3.4㎞ 소요시간 : 1시간 40분 소망의 사랑길 A코스 : 금천아름마을 ↔ 까치골 ↔ 복골 ↔ 대승사 ↔ 누운소나무(B구간 합류점) ↔ 금천아름마을 제8코스 ㅣ 거리 2.7㎞ 소요시간 : 1시간 20분 소망의 사랑길 B코스 : 금천교 ↔ 어물천벽화 ↔ 누운소나무 ↔ A구간 갈림점 ↔ 108번뇌계단 ↔ 어물동마애여래좌상 ↔ 금천교
29
서울의 특별한 역사교훈여행코스 3선...서대문코스, 청계천코스, 용산코스
서울의 특별한 역사교훈여행코스 3선...서대문코스, 청계천코스, 용산코스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서울관광재단(대표이사 길기연)은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서울의 특별한 역사여행코스를 선정해 소개했다. 용산공원 부분개방 부지 (사진=서울관광재단) 재단은 6월 중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등의 상흔이 남은 서울 역사교훈여행(다크투어리즘) 코스를 지정하며 호국보훈의 의미를 되살리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역사교훈여행(다크투어리즘)이란, 일반 여행과 다르게 재난이나 역사적으로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났던 곳을 찾아가 직접 체험함으로서 역사적 의미를 되짚어 보고 교훈을 얻는 여행을 말한다. 서울은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 조선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수도 역할을 해왔다. 특히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등을 거치며 서울에는 많은 역사의 상흔들이 남았다. 서대문과 청계천, 그리고 용산 일대의 역사교훈여행 코스를 소개한다. 서대문코스① – 서대문형무소역사관과 독립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역사교훈여행 장소로, 일제강점기 시절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어 고초를 겪었던 아픈 역사가 남아 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옥사 (사진=서울관광재단) 역사관 입구는 옛 감옥의 정문과 담장의 원형을 보존하고 있다. 붉은 벽돌로 이루어진 형무소 내부로 들어가면 감옥에서 고초를 겪은 독립운동가의 수형 기록표 5천여 장을 모아 놓은 전시실이 나온다. 수형 기록표에는 학생부터 노인까지 독립운동하며 순국한 수많은 열사를 만날 수 있다. 옥사에는 징벌방인 ‘먹방’도 볼 수 있다. 수형자에게 벌을 주기 위해 사용했던 먹방은 1평도 되지 않은 작은 공간에 빛을 차단하여 낮과 밤을 구분할 수 없게 만든 독방이다. 방 안이 ‘먹처럼 깜깜하다’고 하여 먹방이라 불렸다. 부채꼴 모양으로 이어진 원형 감옥은 3.1운동으로 잡혀 온 수감자가 늘어나면서 증축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앞에는 열강들의 한반도 침략이 본격화되던 1897년, 홀로 설 수 있는 주권 국가가 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세운 독립문이 있다. 독립협회는 청나라 사신을 영접하던 영은문을 허물고 유럽 개선문 양식의 독립문을 세웠다. 청나라와 조선의 관계를 재정립하자는 의미로 독립협회가 모금을 주도하여 1897년에 문을 완공하였다. 독립문의 독립은 열강들의 한반도 침략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식민지로부터 해방’이 아니라 ‘홀로 설 수 있는 주권 국가’라는 의미 담아 세웠다. 서대문코스② –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과 약현성당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은 지상의 서소문 공원에서 경사로를 따라 지하에 있는 박물관으로 연결되도록 설계했으며, 길을 따라 내려가면 과거의 기억이 묻혀 있는 땅속으로 여행을 떠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서소문 역사공원 지하에 ‘서소문 네거리’에서 일어난 천주교 박해의 역사성을 담고 있는 서소문 성지 역사박물관을 조성했다. 박물관은 곳곳에 경사로를 설치하고 빛과 그림자를 이용하여 공간을 구성했다. 어둠이 주는 무거움보다는 적절한 빛과 그림자를 통해 추모 공간의 중후한 분위기가 자연스레 묻어나도록 한 감각적인 공간 배치가 돋보인다. 종교인이 아니더라도 부담스럽지 않게 전시실을 관람할 수 있도록 했다.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을 둘러본 후에는 서소문 역사공원을 가볍게 산책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망나니가 사형을 집행한 후 칼을 씻었다는 뚜께우물, 얇은 담요를 덮고 잠을 청하는 노숙자의 모습을 동상으로 만들어 가장 낮은 곳부터 사랑을 실천했던 예수를 기리는 노숙자 예수, 서소문 밖 네거리에서 처형당한 천주교 순교자를 기리는 헌양탑까지 다양한 공간들을 만날 수 있다. 서소문 역사공원 옆에는 최초의 천주교 성당인 중림동 약현성당이 있다. 천주교는 조선 후기부터 박해받았으며 1886년이 돼서야 조불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면서 신앙의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서소문 성지가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순교자들의 넋을 기리고 그 정신을 본받기 위해 약현성당을 세웠다. 성당의 규모가 웅장하거나 화려한 편은 아니지만, 검소하고 정갈하게 꾸며져 있어 편안한 분위기가 난다. 청계천 코스 – 광통교, 전태일기념관, 청계천 판잣집 테마촌 청계천은 오래전부터 서울에 흘렀던 자연 상태의 하천으로, 조선시대에는 청계천을 생활 하천으로 규정하고 조선왕조 500년 동안 하수도로서 기능했다. 청계천 풍경(사진=서울관광재단) 청계광장 근처에 있는 광통교에는 태종 이방원에 대한 이야기가 남아 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막내아들인 이방석에게 넘겨주려고 하자 다섯째 아들이었던 이방원은 왕자의 난을 일으켜 이방석을 죽이고 정권을 잡았다. 이방원은 왕위에 올라 청계천을 보수하면서 광통교를 돌다리로 다시 지었다. 다리를 만들 때 사용했던 돌의 일부는 이방석의 어머니였던 계모 신덕왕후의 능을 파헤쳐서 가져왔다. 심지어 일부 돌은 거꾸로 꽂아 놓았으니, 신덕왕후에게 맺힌 이방원의 원한이 얼마나 깊은지 짐작게 한다. 이방원의 이야기가 남아 있는 광통교 (사진=서울관광재단)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이후의 청계천은 판자촌이 생기면서 식민지와 전쟁을 겪은 나라의 가난한 온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슬럼가였다. 청계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천에 덮개 구조물을 씌우는 복개 방식으로 정비하여 하천 위에 도로를 놓고, 판자촌은 헐어서 현대식 상가건물을 세웠다.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청계고가를 허물고 청계천을 복원하여 시민들에게 휴식과 여유의 공간이 되었다. 현재 청계천은 종로의 청계광장부터 시작하여 청계역사길, 청계활력길, 청계휴식길로 이어지는 코스를 따라 성동구까지 이어진다. 광통교에서 청계천을 따라 종로3가 쪽으로 걸어가다 보면 전태일 열사를 기리기 위해 지어진 전태일기념관이 나온다. 1960년대 노동자의 인권은 무시된 채 열악한 작업 환경과 밤샘 작업으로 많은 노동자가 질병에 시달렸다. 전태일은 이와 같은 노동 현실 개선을 위해 본격적으로 노동운동에 참여했으며, 1970년 노동 현실 개선을 외치며 분신하여 22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전태일의 희생 이후 노동자들의 열악한 현실이 조명되면서 노동조합이 생겨나고 노동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전태일기념관 (사진=서울관광재단) 전태일기념관에는 전태일의 어린시절, 전태일의 눈, 전태일의 실천, 전태일의 꿈이라는 주제로 전태일의 일생을 살펴볼 수 있는 상설 전시가 열린다. 청계천을 따라 성동구까지 오면 청계천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청계천 박물관과 청계천 판잣집 테마존이 나온다. 청계천 판잣집 테마존은 60~70년대 청계천의 생활사를 전시하는 공간이었다가 2022년에 자연생태 휴식 공간으로 새롭게 단장했다. 하얀 벽면에는 청계천에 서식하는 동물 100여 종을 삽화로 그려 넣었다. 건물 아래쪽으로 너른 창문 앞에 배치된 의자에 앉으면 발아래로 유유히 흐르는 청계천이 내려다보인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하천을 바라보며 여유를 즐길 수 있는 이른바 ‘물멍존’이다. 서울 판잣집 테마존(사진=서울관광재단) 청계천 판잣집 테마존 바로 앞에는 청계천 박물관이 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청계천의 역사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전시가 구성되어 있다. 용산 코스 -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와 전쟁기념관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 내 미군장교숙소는 빨간 벽돌로 이루어진 건물이 반듯하게 늘어서 있어 마치 미국 여행을 온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색다른 감성을 자극한다. 용산공원 (사진=서울관광재단) 전쟁기념관 (사진=서울관광재단)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는 한국전쟁 이후 현재까지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의 아픈 역사를 보여주는 공간이다. 용산기지가 2016년에 평택으로 이전되고 부지가 반환되면서 이 일대를 공원으로 조성하기 시작했다. 용산공원에 발을 내디디면 마치 미국으로 여행을 온 것 같은 착각이 든다. 빨간 벽돌로 이어지는 평화로운 주택단지와 건물 사이사이에 커다란 나무가 뿜어내는 싱그러운 초록빛이 부지를 가득 채우면서 서정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용산 전쟁기념관은 한국전쟁, 임진왜란 등 우리 역사 속 전쟁을 기념하고, 순국한 선조들의 호국정신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박물관이다. 전쟁기념관은 주요 전시실은 6.25 한국전쟁의 발발부터 휴전협정이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6.25 전쟁실이다. 6.25. 전쟁실은 총 3개의 전시실로 구성돼 있으며, 다양한 유물과 장비들을 전시장에 배치하여 전쟁의 참상을 느끼고 배울 수 있도록 꾸며져 있다.
30
[경기] 광양시, 7월 광양야경시티투어 주말(금~일) 상시 운행
[경기] 광양시, 7월 광양야경시티투어 주말(금~일) 상시 운행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낮과 밤이 빛나는 광양시티투어가 화려하게 반짝이는 야경으로 뜨거운 7월 주말에도 시원하게 달릴예정이다. 광양시가 7월 한 달간 주말(금∼일요일) 오후 3시, 순천만국가정원에서 예약 없이 탑승할 수 있는 특별한 광양야경시티투어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야경시티투어는 순천만국가정원(오후 3시), 광양읍 버스터미널(오후 3시 30분)에서 탑승해 시원한 광양와인동굴에서 낭만을 즐기고 광양불고기특화거리에서 저녁을 먹는다. 이어 구봉산전망대, 이순신대교, 해오름육교 등 은은한 광양만의 야경에 빠지고 광양읍 버스터미널(저녁 9시), 순천만국가정원(저녁 9시 30분)에서 일정을 마무리한다. 수요일에는 광양의 정신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역사코스를 마련해 선택권을 늘리고, 야경과 역사 중 예약현황 등 운영 요건을 먼저 충족한 테마로 운영할 계획이다. 역사코스는 순천역(10시 10분), 광양읍터미널(10시 45분)에서 탑승해 전남도립미술관, 광양예술창고, 인서리공원, 광양역사문화관, 광양장도박물관, 광양궁시전수교육관 등을 탐방하고 광양읍터미널(오후 5시 5분)을 경유해 순천역(오후 5시 40분)에 도착한다. 그 밖에 15인 이상 단체가 자유로운 코스로 단독 투어를 떠날 수 있는 월, 화, 목 단체코스도 지속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단체코스는 15명 이상의 단체가 관광지 4곳, 식사 1식 이상, 5시간 이상 일정 등을 두루 충족해야만 가능하다. 주말야경코스는 예약 없이 바로 탑승할 수 있으며, 그 밖의 투어는 3일 전까지 5명 이상 예약 시에만 운행한다. 단, 단체는 7일 전까지 예약해야 한다. 이용요금은 ▲일반 5천원 ▲군인, 경로, 학생 4천원 ▲장애인, 미취학아동 3천원이며, 입장료와 여행자보험, 식비 등은 별도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광양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관광안내'의 '시티투어' 코너를 참고하면 된다. 정구영 관광과장은 "7월 광양시티투어는 뜨거운 여름 태양을 피하고 광양만의 특별한 야경을 즐길 수 있도록 마련됐다"면서 "순천만국가정원에서 출발하는 주말야경코스는 예약 없이 바로 탑승할 수 있는 만큼 남도를 찾은 관광객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31
"강릉 거리가 무대다...'지금 여기, 강릉 버스킹'"
"강릉 거리가 무대다...'지금 여기, 강릉 버스킹'"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강릉시가 새로운 문화 트렌드를 선도하며 지역 곳곳의 관광 명소를 낭만적인 문화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지금 여기, 강릉 버스킹' 프로젝트를 통해 강릉만의 특색이 담긴 다양한 장소가 거리공연의 무대로 거듭나게 된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공연이 아니라, 관객과의 직접적인 소통과 음악을 즐기는 버스킹의 본연의 취지를 살리고 있다. 강릉시는 이를 통해 시민과 국내외 관광객 누구나 자유롭게 공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강릉의 문화적 풍요를 더욱 끌어올린다. 강릉월화거리, 강릉역, 강릉터미널, 안목커피거리, 경포중앙광장, 주문진 도깨비방파제 등 강릉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 6곳이 기본 무대로 선정되었으며, 이 외에도 협의를 통해 다양한 곳에서 공연이 가능하다.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예정되어 있으며, 모든 세대가 즐길 수 있는 공연이 기대된다. 단, 불쾌감을 주거나 지나친 소음이 발생하는 공연은 제한된다. 참가자들에게는 최소한의 공연 장비와 함께 드립커피와 텀블러로 구성된 소정의 기념품이 제공된다. 신청은 강릉시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며, 네이버폼 양식 작성이나 QR코드 스캔을 통해 손쉽게 참여할 수 있다. 이화정 문화예술과장은 "강릉의 평범한 장소가 버스킹의 선율로 채워져 특별한 무대로 바뀌는 경험을 할 수 있는 '지금 여기, 강릉 버스킹'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강릉의 거리가 한층 더 풍요로운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32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 베스트5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 베스트5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세계 어느 곳에 가더라도 그 곳에서 가장 높은 장소 혹은 건물이 있습니다. 하늘을 찌를듯이 높이 솟은 건물을 마천루라고 하는데요. 건물 최상층에서 보는 풍경은 올라가서 직접 보기 전에는 모릅니다. 지상에서 보던 풍경도 하늘에서 보는 느낌은 다를 것입니다. 비행기를 타지않더라도 건물이 150m 이상 되는 높이라면 충분히 도시의 전망을 즐길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죽기전에 가봐야 할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 5곳을 소개합니다. 놀라운 사실은 전세계 최고층 빌딩 1위와 5위를 대한민국에서 지었다는 것입니다. 1. 부르즈 칼리파 (Burj Khalifa) - 아랍 에미리트 두바이에 위치한 초고층 빌딩으로, 지상 163층이며 높이는 첨탑을 포함하면 829.8m입니다. 건설사는 대한민국 삼성물산. 부르즈 칼리파 (사진=픽사베이) 완공 이전 이름은 부르즈 두바이(Burj Dubai)로,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인 할리파 빈 자이드 알나하얀의 이름을 본따 부르즈 두바이에서 부르즈 할리파로 개칭되었습니다. 2009년 10월 1일에 완공되었으며, 2010년 1월 4일 개장하였습니다. 2021년 현재까지 완성된 마천루 중에서 가장 높아 지상층에서 최고층까지 초고속 엘리베이터로 약 1분이 걸리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인공 구조물입니다. 사무실, 주거, 호텔용으로 건설했으며 내부에 상업 시설, 거주 시설, 오락 시설 등을 포함한 대규모 복합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2. 상하이 타워 (Shanghai Tower) -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건물로, 632m의 높이와 128층으로 부르즈 칼리파 다음으로 높은 건물입니다. 상하이 타워(사진=픽사베이) 상하이 타워(중국어: 上海中心大厦, 병음: Shànghǎi Zhōngxīn Dàshà, 영어: Shanghai Tower) 혹은 상하이 센터 빌딩은 중국 상하이 푸둥 신구에 있는 초고층 마천루입니다. 2008년 11월 29일 착공하여 2014년에 완공하였습니다. 건설사는 미국 겐슬러 입니다. 상하이 타워는 9개의 원통형 공간을 겹겹이 쌓아둔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1층 로비에서부터 꼭대기 121층까지 약 360도 가까이 비틀어서 올라가는 건물 형태는 비상하는 '용'(龍)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지하 2층에서 지상 119층 전망대를 연결하는 전망대용 엘리베이터 3대가 설치되었습니다. 전망대용 엘리베이터 3대는 속도가 1080m/min(분속 1080m)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엘리베이터입니다. 3. 아브라즈 알 바이트(아랍어: ابراج البيت)-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위치한 마천루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넓은 건물이며 제일 높은 시계탑이기도 합니다. 아브라즈 알 바이트 높이는 시계탑을 포함할 경우 601m, 최상층의 높이는 494m로, 지상 120층의 건물입니다. 호텔 타워, 하자르, 잠잠, 마카, 사라 등의 총 7개 건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이 이슬람 성지 순례자들을 수용할 의무가 있다며, 호텔을 주목적으로 알베이트 타워를 건설했습니다. 별칭은 메카 클락 로얄 타워 호텔입니다. 4. 핑안 파이낸스 센터(중국어: 平安金融中心, 영어: Ping'an Finance Centre) 혹은 핑안 국제금융센터- 중화인민공화국 선전시 푸톈 구에 있는 마천루입니다. 핑안 파이낸스센터 (사진=핑안 파이낸스센터) 지상 115층, 599.1m짜리 1동과 66층, 320m짜리 2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동은 현재 선전 시에서 제일 높은 빌딩입니다. 핑안 국제생명보험의 사옥으로 건설된 이 빌딩에는 전망대와 오피스 등을 갖췄습니다. 약칭은 PAFC. 건설사는 중국건축공정총공사. 2017년에 완공 된 핑안 파이낸스 센터는 현재 심천에서 가장 높은 빌딩으로 중국에서 두 번째로 높으며, 세계에서 네 번째로 높습니다. 핑안 파이낸스 센터는 도심의 눈에 띄는 위치에서 솟아 있으며 인근 상업 및 주거용 건물과 주강 삼각주의 고속 철도 회랑과 원활하게 연결됩니다. 5위 롯데 월드타워 (Lotte World Tower) - 대한민국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건물로, 554.5m의 높이를 가지며 2022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최고층 건물이자 세계에서 5번째로 높은 건물입니다. 롯데월드타워 (사진=픽사베이) 2010년에 착공을 시작하여 2016년 12월 22일에 완공된 후 2017년 4월 3일에 개장하였습니다. 건설사는 대한민국 롯데건설.
33
[경남]하동군, 천년 하동의 재발견 생생문화재 운영...원정대 모집
[경남]하동군, 천년 하동의 재발견 생생문화재 운영...원정대 모집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경남 하동군은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으로 추진하는 2023 천년 하동의 재발견 생생문화재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문화재청이 주최하고 하동군이 주관하며 별별솔루션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하동 고유의 문화재와 명소를 활용해 특별한 여행상품으로 기획됐다. 하동생태해설사회를 비롯해 하동주민공정여행 놀루와, 하동요 등 지역단체와 함께 문화재의 가치와 의미를 널리 알리고 하동의 매력적인 문화·관광자원을 경험하도록 구성한 프로그램이다. 세부 프로그램으로는 ▲하동 솔숲의 생생이야기 '솔씨의 모험!'(6월) ▲고고학여행 in 하동 '성돌의 귀환'(7월) ▲길 위의 이야기 콘서트 '하동에서 온 편지'(10월)가 운영된다. 그 중 고고학여행 in 하동 '성돌의 귀환'은 '2023 천년 하동의 재발견'의 대표프로그램으로 1박 2일의 여정을 연극적 스토리텔링으로 엮어 하동의 역사와 문화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아웃도어형 역사체험 프로그램으로 현재 원정대를 모집 중이다. 대상 문화재인 '하동읍성'에서 다수 출토된 유물(막사발)과 인물(사기장)의 역사를 토대로 시간의 문을 통해 조선시대에서 현대로 빨려들어 온 사기장 구출작전이라는 미션을 통해 하동의 역사와 문화를 흥미롭게 만나볼 수 있도록 고고학여행 콘셉트로 구성했다. 전문연기자를 통해 극적 재미를 높이고 하동의 힐링 명소도 함께 만나보는 이 프로그램은 온기 가득한 악양면 매계마을에 조성된 마을호텔(호텔매계)과 연계해 숙박하고, 하동에서 기른 식재료로 마을주민이 직접 만든 시골밥상도 맛볼 수 있다. 그 외에도 하동에서 직접 만든 건강한 간식을 꾸러미로 만들어 제공하는 등 지역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양질의 프로그램을 기획해 참가자들의 만족도를 한층 더 높일 계획이다. 일정은 6월 30일∼7월 2일, 7월 7일∼7월 9일 총 4번이며, 초등학교 3~6학년을 둔 가족을 대상으로 네이버예약으로 신청하면 된다. 관련 문의는 별별솔루션을 통해 가능하다. 군 관계자는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을 통해 문화유산의 경직된 이미지를 개선함과 동시에 하동의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홍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인 만큼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34
무궁화 대표 명소는 어디?...무궁화 100리길, 무궁화동산 등 무궁화 성지
무궁화 대표 명소는 어디?...무궁화 100리길, 무궁화동산 등 무궁화 성지
[트래블아이=문소지 기자] 완주군의 국내 최장 무궁화 100리길(17번국도)을 비롯한 관내 가로변과 무궁화동산에 나라꽃 무궁화의 개화가 시작돼 지역주민과 완주를 찾은 관광객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무궁화는 여름에 피는 대표적인 꽃으로, 100일 동안 개화해 단심계를 비롯해 배달계, 아사달계 등 다양한 품종의 무궁화를 만나 볼 수 있다. 완주군은 최근 무궁화의 아름답고 건강한 생육을 위해 전지 및 고사목 제거, 비료주기, 잡목제거 등의 정비작업을 완료했다. 무궁화 품종은 꽃의 색깔로 구분한다. 중심부에 단심(붉은색)이 없는 순백색의 꽃은 배달계, 중심부에 단심이 있는 꽃은 단심계, 꽃잎 가장자리에 붉은색무늬가 있는 꽃은 아사달계이다. 무궁화는 7월부터 10월까지 새로 나온 가지의 잎겨드랑이 쪽에 꽃봉오리를 맺으며 꽃의 수명은 대개 12∼15시간 정도로 아침에 피고 저녁에 진다. 특히, 완주군은 무궁화 대표 명소로 손꼽힌다. 나라꽃 무궁화 조성·관리 평가에서 전국 나라꽃 무궁화명소 우수기관으로 3회, 나라꽃 무궁화선양 대표도시로 선정돼 대통령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나라꽃 무궁화선양을 위해 무궁화 전국축제를 13회 연속(2011∼2023) 유치·개최하고 있으며, 오는 8월 12일부터 고산문화공원 일원에서 제13회 나라꽃 무궁화 전국축제를 연다. 또한 무궁화동산은 공모선정으로 자치단체 중 최다 보유(3개소 2만8천본 식재)하고 있으며, 무궁화전시관 운영, 전국 최초·최대 무궁화 테마식물원 조성(183종 보유), 무궁화 100리길 조성(1만5천본), 해외(일본, 중국) 무궁화선양활동 및 보급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강신영 산림녹지과장은 "무궁화를 나라꽃의 위상에 맞게 관리하고 홍보해 국민들로부터 친근하고 아름다운 꽃으로 인식되고 일상에서 사랑받는 꽃이 될 수 있도록 관리와 보급에 적극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35
익산시 왕궁보석테마관광지, '보석·공룡' 테마로 전북의 새로운 관광 명소로 떠오르다"
익산시 왕궁보석테마관광지, '보석·공룡' 테마로 전북의 새로운 관광 명소로 떠오르다"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익산시의 왕궁보석테마관광지가 전북의 새로운 관광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곳은 '보석과 공룡'이라는 이색 테마로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으며, 올해만 16만 7천여 명이 찾았다. 특히 이들 중 87%가 타지에서 온 관광객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왕궁보석테마관광지는 국내 최대의 보석박물관과 주얼팰리스를 비롯해 다이노키즈월드와 익스트림슬라이드타워 등 다양한 놀이 체험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곳에서는 '보고, 즐기고, 쇼핑하는 오감만족 관광코스'를 제공하며, 특히 황금연휴와 계절별 여행 집중기에 맞춘 전략적 홍보가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달 1일부터 3일까지 개천절 연휴에는 '대체불가쇼' 공연이 열려 전년 대비 31% 증가한 5858명의 관광객이 찾았고, 한글날 연휴기간에도 전년 대비 53% 증가한 6172명의 관광객이 이곳을 찾았다. 또한, 다양한 이벤트와 프로모션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특히, '다이노키즈월드 1+1 행사'는 실내 체험시설 이용객에게 야외 체험시설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달 14일부터 29일까지는 가을 '가족소풍'과 18일부터 29일까지는 '보석축제'가 열릴 예정이다. 익산시 관계자는 "외지 관광객 수도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1+1 행사를 통해 가족 관광객에서 청소년과 연인들까지 이용객의 수요층이 늘어나고 있다"라며 "익산시 관광 활성화는 물론 보석산업을 알리고 지역 경기침체를 극복하는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처럼 왕궁보석테마관광지는 다양한 이벤트와 시설로 관광객을 매료시키며 전북 익산시의 새로운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36
[정선] '치유의 축제: 2023 한국 치유관광 페스타 10월7일~31일까지
[정선] '치유의 축제: 2023 한국 치유관광 페스타 10월7일~31일까지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 그리고 '올해의 웰니스관광 도시'로 선정된 정선군이 손잡고 준비한 '2023 한국 치유관광 페스타'가 10월 7일부터 31일까지 개최된다. 이 행사는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외 관광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페스타 개막식은 10월 7일 오후 2시, 정선군의 가리왕산 케이블카 숙암역 일대에서 열린다. 개막식에서는 가수 양희은과 방송인 박미선의 '힐링 토크콘서트', 명상 음악가 정수지의 '소리치유(사운드테라피)' 공연이 펼쳐진다. 강원도를 비롯한 5개 지자체가 홍보부스를 운영하며, 추천 치유관광지 특별 할인캠페인, 정선군 이색 1일 체험 강좌, 무료 체험강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특히, '여기 어때' 앱을 통해 전국 39개 추천 치유관광지의 130여 개 관광상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 문체부 용호성 관광산업정책관은 "코로나19 이후 몸과 마음의 건강을 추구하는 치유관광 활동에 대한 여행객들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새로운 관광 흐름을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해 행사를 준비한 만큼, 국내외 관광객들이 치유관광을 즐기고 치유 관광산업이 활성화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2023 한국 치유관광 페스타'는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몸과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 행사를 통해 치유관광 산업이 한 단계 더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38
궁중의 맛과 멋 '수라간 시식공감'으로 가을을 더 특별하게...10월 20일부터 28일
궁중의 맛과 멋 '수라간 시식공감'으로 가을을 더 특별하게...10월 20일부터 28일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경복궁에서 느끼는 궁중의 맛과 멋 '수라간 시식공감' 하반기 행사가 차원이 다른 체험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와 한국문화재재단이 10월 20일부터 28일까지 8일간 경복궁 소주방에서 '수라간 시식공감' 하반기 행사를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행사는 궁중음식과 전통공연, 놀이 등 다양한 체험을 경복궁의 부엌, 소주방에서 할 수 있는 궁중문화 복합 체험 프로그램입니다. 행사는 궁중음식 시식과 자유 체험 프로그램으로 나뉩니다. 궁중음식 시식 프로그램에서는 '밤의 생과방'과 '식도락'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밤의 생과방'에서는 전통 국악 공연을 감상하며 궁중다과를 즐길 수 있고, '식도락'에서는 '타락죽'에 관한 연극을 보며 궁중음식을 맛볼 수 있습니다. 하루에 120명이 참여할 수 있으며, 1일 4회 운영됩니다. 자유 체험 프로그램에서는 율란과 곶감오림 만들기, 국궁 쏘기 등의 전통체험을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주방골목'에서는 여섯 가지 다양한 골목 간식을 맛볼 수 있습니다. 이번 행사부터는 '우선예매권 추첨 방식'을 도입해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티켓은 10월 4일부터 9일까지 티켓링크에서 응모 가능하며, 당첨자 발표는 10월 10일에 이루어집니다. 참가비는 2만 5,000원이며, 만 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 예매도 가능합니다. 이번 '수라간 시식공감' 행사를 통해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관람객들이 궁궐에서 전통 음식과 문화를 즐기며 특별한 추억을 만들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행사는 단순한 관람을 넘어 실제로 궁중문화를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이번 가을, 경복궁에서 특별한 문화 여행을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요?
39
남해군, '미조 북항, 해질녘의 버스킹' 개최...매주 토요일 오후 7시, 북항 등대공원 일원
남해군, '미조 북항, 해질녘의 버스킹' 개최...매주 토요일 오후 7시, 북항 등대공원 일원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미조면주민자치회와 미조마을회가 주관하고 미조면행정복지센터가 후원하는 '해질녘의 버스킹'이 오는 24일부터 매주 토요일 오후 7시, 북항 등대공원 일원에서 열린다. 해질녘의 버스킹'은 관내 음악인들의 재능기부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특별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주민자치회는 미조 북항이 간직한 천혜의 자연경관과 버스킹이 어우러지게 함으로써 새로운 관광명소로 가꾸어 간다는 계획이다. 미조등대공원 일원에서는 지난달 '바다는 삶, 주민은 빛'이라는 주제로 플리마켓이 성황리에 열린 바 있으며 지역민과 학생들의 난타공연과 밴드공연 등이 펼쳐져 큰 인기를 모았다. 버스킹 공연이 펼쳐질 미조북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29호인 미조리 상록수림과 야간조명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으며 여기에 음악까지 곁들여지면서 미조항 특유의 해질녘 정취는 더욱 돋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미조면 관계자는 "6월 24일 첫 공연을 시작으로 7월 한 달간 매주 토요일 오후 7시부터 8시까지 버스킹을 계획하고 있다"며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어우러져 상권 활성화에서도 기여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40
[김포시] 분단과 전쟁의 상징 '철책'을 문화기념품으로 재탄생
[김포시] 분단과 전쟁의 상징 '철책'을 문화기념품으로 재탄생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김포시(시장 김병수)는 폐기될 위기에 처한 철책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철거 철책 활용 기념품 제작 사업'을 론칭했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한강 철책 제거사업 당시 생겨난 철책을 단순 폐기로 끝내지 않고, 그립톡, 무드등 등으로 재활용하는 사업이다. 흔한 물품에 담긴 무거운 역사 이 사업은 단순히 폐기될 물품을 활용하는 차원을 넘어, 한반도의 아픈 역사와 상징적 의미를 담아내는 것이 큰 목적이다. 김포시는 이러한 기념품의 디자인권과 상표권을 출원해, 상품의 가치와 상징성을 더욱 강화했다. 문화와 관광, 그리고 역사까지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상품 제작을 넘어, 지역 문화와 관광 홍보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이집트 잼버리 대원들에게 이 기념품이 증정되며 그 의미가 널리 알려졌고, 관광진흥과 관계자는 "다양한 관광 상품 개발 및 시정 홍보에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가격과 판매 정보 기념품은 김포시 공식 웹사이트 및 지역 명소에서 판매될 예정이다. 가격과 판매 일정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김포시의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재활용'을 넘어 '재해석'과 '재창조'로 이어지며, 물질적 가치 뿐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적 가치까지 높이고 있다. 철책 하나에서 시작된 이 작은 변화가 어떻게 지역사회와 더 나아가 전국적으로 퍼져나갈지 기대가 된다.
41
서울관광재단,  EXO 수호의 1박 2일 서울 지하철 여행 시리즈 '수호선' 소개
서울관광재단, EXO 수호의 1박 2일 서울 지하철 여행 시리즈 '수호선' 소개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대표이사 길기연)은 6월 22일 EXO 수호의 1박2일 서울 지하철 여행 시리즈 '수호선'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6.22.(목) 13시 비짓서울TV 유튜브에 공개예정인 수호선 1화 썸네일(사진=서울관광재단) '수호선' 시리즈는 그룹 엑소(EXO)의 리더인 수호의 이름을 따 ‘수호선(SUHO Line)’이라 지었으며. 수호가 직접 계획하고 추천하는 서울 여행 코스를 소개한다. '수호선'은 지난 6월 15일 공개된 예고편이 비짓서울TV 유튜브 채널에서조회수 35만 회를 기록하는 등 본편 공개 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예고편 영상에서 케이팝 팬들과 구독자들은 사진찍기와 패션에 관심이 많은 수호의 개성이 담긴 서울 여행은 어떨지 기대된다며 수천 건의 댓글과 기대 평을 남기며 환영했다. 특히 7월 10일 EXO의 새 정규앨범 'EXIST' 발매 및 컴백을 앞두고 활발한 활동을 기다리고 있던 글로벌 팬덤은 이번 <수호선> 캠페인에 열렬한 응원과 지지를 보내며 빨리 서울에 방문하고 싶다는 반응을 보였다. '수호선' 시리즈는 6월 22일 오후 1시부터 7월 13일까지 매주 목요일 총 4개 에피소드를 비짓서울TV 유튜브에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영상은 JTBC 협업으로 진행되며, 외국인뿐만 아니라 내국인들도 재미있게시청할 수 있도록 시민들과 소통하며 미션을 수행해 나가는 웹 예능형식으로기획하였다. 서울관광 공식 유튜브 채널인 VisitSeoulTV (www.youtube.com/visitseoul)와JTBC 디지털 콘텐츠 채널인 ‘스튜디오 훜’에서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글로벌 시청자들을 위해 영문 및 중국어 자막(웨이보 채널 首尔旅游局)도 제공된다. '수호선'은 개별외국인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교통수단인 지하철을 타고 즐기는 서울 여행 콘셉트로, 기존에 잘 알려진 관광명소뿐만 아니라 수호의 추천 맛집, 수호가 평소 체험해 보고 싶었던 놀거리, 요즘 핫한 즐길 거리등이 다양하게 담겨있다. '수호선' 코스는 수호의 소속사인 SM엔터테인먼트가 위치한 서울숲역에서 시작하여,뚝섬역 성수동 거리와 뚝섬한강공원, 압구정역 도산공원을 거쳐 잠실역 석촌호수, 롯데월드타워 전망대를 방문한 후, 송리단길 루프탑 와인바에서 끝나는 일정으로 구성되었다. 서울의 주요 여행지 외에도맨발체험 전시(섬세이 테라리움), 스케이트보드 강습(뚝섬 X 게임장), 압구정 호캉스(안다즈 서울 강남), 셀프 스튜디오 사진촬영(셀픽스),빈티지 샵및 패션 아이템 쇼핑(옴니피플갤러리, 젠틀몬스터 하우스도산), 베이커리 카페에서 즐기는 브런치(런던베이글뮤지엄) 등 MZ세대들에게 인기 있는 서울의 핫플레이스들이 담겨있다. 또한 길거리 시민 인터뷰를 통해 수호가 직접 ‘30초 안에 인생샷 찍어주기’ 미션을 수행하며 시민 그리고 팬들과 소통하는 모습 함께 만나볼 수 있다. '수호선' 캠페인은 유튜브 채널과 함께 비짓서울 4개 어권별(영/일/중간체/중번체)12개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해 송출하고, 온라인 참여형 이벤트를 통해콘텐츠를 재확산하고, 서울 여행의 매력을 전 세계에 홍보할 계획이다. '수호선' 캠페인 기간 중 소셜미디어 참여형 이벤트(7.7~7.16)는 비짓서울릴스 템플릿을 활용해 ‘나의 서울여행 릴스 만들기’를 인스타그램에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추첨을 통해 '수호선' 여행 중 수호가 사인한 특별한 선물들을 참여자 경품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관광재단 김은미 스마트관광팀장은 “ '수호선'캠페인은글로벌아티스트수호가 직접 계획하고 추천하는 여행콘텐츠인 만큼 MZ세대를 타깃으로 서울의 라이프 스타일을 생생하게 보여주기 위해 기획된 프로젝트”라며,“콘텐츠의 지속적인 확산을 위해 7월 말까지 유튜브와 소셜미디어에서연계 이벤트를 진행하고, '수호선 여행코스 안내'콘텐츠는 비짓서울 홈페이지(visitseoul.net)를 통해 소개하는 등 통합 브랜드 마케팅을 전개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42
[더헤븐] 대부도 바다의 풍경, 그린의 유혹: 더 헤븐 리조트에서 펼쳐지는 꿈같은 여행
[더헤븐] 대부도 바다의 풍경, 그린의 유혹: 더 헤븐 리조트에서 펼쳐지는 꿈같은 여행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살아가면서 우리는 천국을 꿈꿀 때가 있다. 세기의 역작을 마주했을 때, 오랫동안 바라던 꿈을 이루었을때, 숙명처럼 이상형을 만났을때, 꿈에 그리던 가족을 만났을때, 경이로운 풍경을 보았을때, 로또와 같이 천운을 얻었을때 등등 일상에서 체험하기 힘든 일을 경험한 경우 천국을 떠올린다. THE HEAVEN은 골프와 바다를 좋아하는 이들에게 천국같은 조건을 제공한다.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에 위치한 더 헤븐 리조트는 고급스러운 레지던스 시설과 함께 골프와 바다를 즐길 수 있는가족 여행의 최적지로 손꼽는다. 또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아름다운 기업이다. 더 헤븐 골프리조트 전경(사진=더 헤븐) 더 헤븐 복합리조트 더 헤븐 리조트는 만남, 가치, 럭셔리, 네이처 프라이빗이라는 네 가지 가치를 실천하며, 고객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한다. 프라이빗한 테라스에서 바라보는 푸른 잔디와 아름다운 서해바다는 어디에서도 느낄 수 없는 탁트인 해방감과 여유를 선사한다. 모든 객실에서는 서해바다의 조망이 가능하며, 노을이 질 때 빛나는 바다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다. 제부도 노을 (사진=픽사베이) 객실-스위트 (사진=더 헤븐) 더 헤븐 객실 - 수퍼펜트 (사진=더 헤븐) 풀 & 트윈 (실내수영장) 더 헤븐 리조트는 서울에서 1시간 거리에 위치해 접근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레저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골프코스, 에스더하우스, 스크린골프, 사우나, 네일, 헤어, 수영장, 피트니스, 키즈존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더 헤븐 리조트는 가족 여행의 베이스캠프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으며, 내년 봄에는 어린이를 위한 키즈 프로그램과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는 실내 테니스장을 마련할 계획이다. 카페 조식(사진=더 헤븐 웰니스 (사진=더 헤븐) 김민정 총괄기획이사는 "더 헤븐 리조트는 고객의 행복한 추억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가치 위에 머무르다'라는 슬로건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이사는 또한 "내년 봄에는 가족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시설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더 헤븐 리조트는 서울에서 단 1시간 거리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다. 이곳은 중년층에게 특별한 휴식과 골프의 즐거움을 제공하며, 가족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완벽한 여행지다. 더 헤븐 리조트에서는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여유와 휴식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43
"2023 군산 짬뽕 페스티벌, 매출 4배 증가로 성황"
"2023 군산 짬뽕 페스티벌, 매출 4배 증가로 성황"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10월 7일부터 8일까지 이틀 동안 군산짬뽕특화거리에서 열린 '2023년 제3회 군산 짬뽕 페스티벌'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행사는 홍등 거리 조성을 통해 뉴트로 감성을 불어넣어 시민과 관광객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했다. 전국 짬뽕 마니아들은 세계 이색 짬뽕부터 다양한 짬뽕의 맛과 멋을 느끼며 흥과 힐링의 여행을 즐겼다. 가족 단위의 관광객들은 짬뽕 쿠킹 클래스, 수타면 놀이 체험, 네일아트 및 페이스페인팅 아트체험 등을 통해 새로운 체험을 가졌다. 개그맨 이봉원과 짬뽕의 대가 여운방의 재치 있는 입담은 축제의 분위기를 한층 더 끌어올렸다. 음식특화거리 행사로서, 군산지역 내 짬뽕 맛집 5개소를 포함한 총 9개의 입점업소가 참여해 더욱 풍성한 먹거리를 선사했다. 이들 업소는 음식 할인 이벤트와 위생 수준 향상 활동을 통해 거리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결과적으로, 특화 거리 내 업소들의 매출은 종전보다 4배 이상 증가했다. 축제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뿐만 아니라, 짬뽕푸드마켓에서는 군산지역 특산품인 울외장아찌, 짬뽕빵, 김, 생선 밀키트, 누룽지 등도 판매됐다. 이로써 지역 골목상권이 활성화되고, 신규 상점들의 입점 및 짬뽕특화거리 관광 연계 추진 등으로 군산이 관광명소로 떠오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지역민들의 적극 참여로 더욱 풍성한 페스티벌이 되어 앞으로의 군산짬뽕이 더욱 유명세를 탈 것으로 보인다.
44
[고흥군] 추석 명절, 고흥 녹동항에서 펼쳐지는 드론쇼와 전통 민속놀이의 환상적 조화
[고흥군] 추석 명절, 고흥 녹동항에서 펼쳐지는 드론쇼와 전통 민속놀이의 환상적 조화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추석 명절을 앞두고 전남 고흥군이 준비한 특별한 선물이 있습니다. 고흥군(군수 공영민)은 전남 최초로 매주 토요일에 상설 공연으로 진행 중인 '2023 고흥 녹동항 드론쇼'를 명절을 맞이해 토요일과 일요일에 특별 정기공연으로 선보인다고 밝혔습니다. 9월 30일 토요일 저녁 9시에는 500대의 드론을 활용해 '제기차기, 그네타기, 강강술래' 등의 3D 콘텐츠와 불꽃을 결합, 녹동항 밤하늘을 아름답게 수놓을 예정입니다. 이어서 10월 1일 일요일 저녁 8시에는 지난 공연에서 관람객들의 열렬한 환호와 사랑을 받았던 베스트 컷을 500대의 드론으로 다시 한번 연출합니다. 이외에도 드론쇼를 기다리는 동안, 관람객들은 도양읍 인공섬 녹동 바다정원 중앙에서 흥겨운 버스킹 공연과 전통 민속놀이 체험 공간에서 제기차기, 투호 던지기, 딱지치기 등을 즐길 수 있습니다. 이는 고흥군이 추석 명절의 특별한 분위기를 더욱 높이기 위해 마련한 프로그램입니다. 군 관계자는 "녹동항 드론쇼에 지속적으로 보여주신 뜨거운 관심과 큰 사랑에 감사드린다. 추석 명절을 맞이해 많은 관람객의 방문이 예상되는 만큼, 안전관리에 철저히 준비하여 추억에 남을 멋진 공연을 선보이겠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특별 정기공연은 고흥 녹동항 드론쇼가 지역 문화와 예술, 그리고 과학기술이 어우러져 새로운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며, 추석 명절을 더욱 특별하게 보내고 싶은 분들에게 강력히 추천됩니다.
45
"합천읍 핫들생태공원, 맨발황토길로 건강과 행복을 찾다!"
"합천읍 핫들생태공원, 맨발황토길로 건강과 행복을 찾다!"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합천읍이 군민들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특별한 선물을 준비했다. 핫들생태공원에 새롭게 조성된 맨발황토길이 13일에 문을 열었다. 이곳에서는 자연과 함께 건강을 찾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맨발황토길 (사진=합천군) 지난 5월부터 준비해온 이 프로젝트는 현대인들이 건강을 중요시하는 만큼, 군민들이 산책로를 통해 건강을 증진하고 일상의 활력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 2개월여의 공사기간을 거쳐 이제 군민들에게 개방되었으며, 맨발로 황토길을 걷는 것이 소화기능 개선, 두통 해소, 피로 회복, 혈액순환 개선 등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오미화 합천읍장은 "황토는 몸의 독성을 제거하고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으며, 이와 맨발걷기의 효과가 결합되어 군민들의 건강과 생활활력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군민들의 건강 증진과 정주여건 개선에 큰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군 관계자는 "산책로를 이용하는 군민들의 반응을 살펴보며, 앞으로도 군민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설을 계속 조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합천읍 핫들생태공원의 맨발황토길에서 건강과 행복을 찾는 새로운 여행을 시작해보자. 자연과 함께하는 특별한 시간이 될 것이다.
47
"경기옛길 봉화길 개통!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쉬는 138km의 여행로"
"경기옛길 봉화길 개통!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쉬는 138km의 여행로"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 경기옛길센터가 다가오는 11월 11일, 광주시 청석공원에서 '경기옛길 봉화길'의 개통식을 열 예정이다. 이 길은 조선시대 김정호가 편찬한 '대동지지'를 기반으로, 하남에서 이천까지 이어지는 역사와 문화가 물씬 풍기는 탐방로다. 이 길은 조선시대에 한양에서 광주, 이천, 충주를 지나 태백산 사고가 있던 경상도 봉화 지방까지 이어졌던 봉화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노선은 하남, 광주, 여주, 이천을 지나며 총 길이는 138km에 달한다. 광주향교, 남한산성, 이천 의병전적비, 설봉공원, 영릉, 설성산성 등 다양한 명소를 경유한다. '경기옛길 봉화길 개통식 및 걷기 축제' 참가 접수는 11월 1일부터 6일까지 경기옛길 누리집(ggcr.kr)에서 진행된다. 이로써 경기도 전역에는 총 687.4㎞의 대형 탐방로가 조성되게 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봉화길에는 문화유산 이야기와 민담, 설화 등을 조사하여 탐방객 중심의 재미 요소를 구현하려 했다"며 "이 길을 통해 도민들이 역사와 문화를 더 깊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처럼 '경기옛길 봉화길'은 역사와 문화, 그리고 아름다운 풍경까지 한 번에 느낄 수 있는 길로, 다가오는 개통식을 통해 더 많은 이들이 이 길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길을 걸으며 경기도의 아름다움과 역사를 체험해보는 것은 어떨까?
48
"샘고을 정읍, 샘나는 여행" - 농뚜레일로 느끼는 정읍의 가을
"샘고을 정읍, 샘나는 여행" - 농뚜레일로 느끼는 정읍의 가을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정읍시 농업기술센터가 주최한 농촌체험여행 농뚜레일 '샘고을 정읍, 샘나는 여행'이 지난 9일에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한국철도공사의 온라인 플랫폼 '렛츠코레일'을 통해 모집된 25명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코스인 '알로에사랑' 농촌체험농장에서는 참가자들이 알로에로 만든 웰컴티를 즐기고, 알로에 보습제를 직접 만드는 체험을 했다. 이어서 구절초 꽃축제장을 방문해 꽃길을 거닐며 가을의 정취를 만끽했다. 다양한 전시부스와 농특산물 구매의 기회도 있었다. 마지막 코스로는 정읍9경 중 하나인 쌍화차 거리에서 참가자들이 쌍화차를 맛보며 오감을 만족시키는 여행을 마무리했다. 한 참가자는 "여행코스가 당일코스로 알차게 구성돼 있어 정읍의 새로운 매력을 알게 됐다"고 호평했다. 전정기 소장은 "농뚜레일 상품을 지속적으로 홍보해 농촌자원 소득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농뚜레일은 농촌진흥청, 한국철도공사,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농촌과 철도의 연결을 의미하는 단어의 조합이다. 이번 행사를 통해 정읍시는 농촌과 철도, 그리고 관광이 어우러진 새로운 형태의 지역 활성화 모델을 선보였다. 다가오는 가을, '샘고을 정읍, 샘나는 여행'은 당신의 가을 여행지로서 빼놓을 수 없는 명소가 될 것이다.
50
옛 장흥교도소, 예술의 자유를 품다: '프리즈날레와 프리즈놀래
옛 장흥교도소, 예술의 자유를 품다: '프리즈날레와 프리즈놀래
[트래블아이=김보라 기자] 장흥의 옛 교도소가 예술과 문화의 새로운 무대로 변신을 꾀한다. 장흥군은 40년의 교정 역사를 품은 이곳을 문화예술의 온기로 채우는 시범사업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교도소 톺아보기: 프리즈날레 그리고 프리즈놀래'라는 가을 한정 이벤트를 통해, 이색적인 공간을 활용한 현대미술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프리즈놀래'는 참여자들이 수감자가 되어 교도소 곳곳을 탐험하며 퀴즈를 풀고, 이야기를 따라가는 상황극이다. '프리즈날레'는 이수빈, 김규민, 최인호 작가가 협업하여 교도소의 어두운 공간을 예술적으로 재해석한 현대미술 전시로, 교도소의 역사적 특성을 보존하며 새로운 미학적 색채를 더한다. 체험 프로그램은 14일부터 18일까지 총 4회에 걸쳐 운영되며, 전시는 22일부터 12월 3일까지 관람 가능하다. 참여를 원하는 이들은 사전 예약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장흥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영현 사업단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장흥군의 문화자원과 지역 예술가들이 연결되는 과정을 기록하고, 지역문화 생태계 조성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이곳을 '갱생문화발신지'로서 사색하고 치유받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군민과의 고민을 약속했다. 옛 장흥교도소는 국내 유일의 교도소 실물 촬영지로서, 문화체육관광부의 '유휴공간 문화재생사업'에 선정되어 내년 개장을 목표로 새로운 변화를 준비 중이다.
51
"워킹메이트 통해 제주올레길을 걷다! 전 세계 도보 여행자들이 모이는 이유는?"
"워킹메이트 통해 제주올레길을 걷다! 전 세계 도보 여행자들이 모이는 이유는?"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제주올레길은 유럽부터 미주, 아시아까지 전 세계 도보 여행자들의 발걸음을 계속해서 이끌고 있다. 이는 제주도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단법인 제주올레는 올해 4월부터 '워킹메이트'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외국어에 능통한 자원봉사자들이 외국인과 무료로 함께 제주올레길을 걷는다. 현재까지 총 109명의 외국인이 이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호주 홈 컴포츠 하이킹팀, 제주올레 길 기념사진 [사진=제주올레] 워킹메이트 프로그램에 참여한 외국인들은 영국, 스페인, 멕시코 등 다양한 19개 국가에서 왔다. 호주의 트레킹 전문 여행사 홈 컴포츠 하이킹의 대표 마커스 루드릭스는 최근 13명의 트레킹 애호가와 함께 제주를 찾았다. 이들은 '길동무'라는 유료 프로그램을 통해 제주올레길의 여러 코스를 걸으며 제주의 자연과 해녀 문화를 체험했다. 안은주 제주올레 대표는 "제주올레가 수출한 규슈올레, 미야기올레, 몽골올레 등 '자매의 길'과 해외 트레일 등이 협력해 공동 홍보하는 '우정의 길'을 통해 제주올레길이 널리 알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제주올레는 11월 2일부터 4일까지 제13회 제주올레 걷기 축제를 개최할 예정이다. 축제 전날에는 '글로벌 패밀리 나이트'라는 행사를 통해 다양한 국가의 도보 여행자들과 교류할 계획이다. 제주올레는 2007년에 설립된 사단법인으로,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를 주최하고 있다. 제주올레길은 총 26개의 메인 코스와 5개의 연결 코스, 그리고 1개의 알파 코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길들은 제주의 다양한 지형과 문화를 경험할 수 있게 해주며, 많은 도보 여행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이렇게 제주올레길은 전 세계 도보 여행자들에게 다양한 매력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매력은 제주도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제 제주올레길은 단순히 제주도민들의 산책로가 아니라, 전 세계 여행자들이 꼭 경험해보고 싶은 '머스트 비짓' 명소로 자리 잡았다.
52
국립세종수목원, 가을의 향연 '꽃길만 걷게 해줄게' 축제로 초대
국립세종수목원, 가을의 향연 '꽃길만 걷게 해줄게' 축제로 초대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가을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10월, 국립세종수목원에서는 10월 21일부터 11월 5일까지 가을꽃 축제 '꽃길만 걷게 해줄게'를 개최한다. 이 축제는 다양한 가을 대표 식물들과 함께 탄소중립 실천을 통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제안한다. 이번 축제는 지역농가와 협력하여 지역상생을 실현하고, 국화, 아스터, 참억새 등 가을의 대표 식물들로 정원을 빛내 줄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문화행사, 특별전시, 교육·체험 프로그램, 정원장터 등 다양한 행사가 함께 진행된다. 주목할 만한 행사로는 수목원 개원 3주년을 기리는 '가을 음악회', 국민 참여형 문화행사 'ESG(Earth, Song, Garden) 페스타', 청년예술가들의 풍류대결 '청춘마이크', 그리고 반려식물 동호회와 함께하는 '반려식물 문화페스타' 등이 있다. 국립세종수목원장 신창호는 "이번 축제를 통해 탄소중립과 지역상생을 실천하면서 아름다운 가을꽃과 함께 소중한 추억을 만들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가을, 국립세종수목원의 '꽃길만 걷게 해줄게' 축제에서는 자연과 문화, 그리고 지역사회가 하나되는 아름다운 순간을 경험할 수 있다. 가을의 풍경을 느끼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어보자.
53
[장성군] 세계 무대로! 서울국제음식영화제와 협약 체결로 미래 먹거리 확보
[장성군] 세계 무대로! 서울국제음식영화제와 협약 체결로 미래 먹거리 확보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장성군이 음식문화 개발을 통한 지역발전을 위해 서울국제음식영화제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장성군의 미식관광을 국제적으로 알릴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11일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서울국제음식영화제 정우정 집행위원장과 장성먹거리통합지원센터 이사장 김명신 장성부군수, 이강노 센터장 등 1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 협약은 장성군과 서울국제음식영화제가 지난 봄부터 맺어진 인연을 더욱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장성군 지역 먹거리(로컬푸드)의 소비 촉진과 남도미식관광 홍보자원 발굴이다. 장성먹거리통합지원센터는 서울국제음식영화제 활성화를 위해 다각도로 협력할 계획이다. 김한종 장성군수는 "이번 협약이 장성 고유의 음식과 문화자원을 널리 알리고, 세계인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장성군은 '1000만 관광시대'를 목표로,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백양사 정관스님의 사찰음식과 백종원 대표의 더본코리아와의 업무협약, 그리고 '5대 맛거리 조성사업' 등을 통해 지역 소득을 높이고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고 있다. 장성군은 이미 영화와도 깊은 인연이 있다. 한국영화의 거장 임권택 감독의 출생지로, 장성호 관광지에 임권택시네마테크가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영화'와 '음식'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장성군의 미래가 더욱 밝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54
[울산시] 남구, 꽃과 푸름의 도시화...정원 도시로의 화려한 변신
[울산시] 남구, 꽃과 푸름의 도시화...정원 도시로의 화려한 변신
[트래블아이=최치선 기자] 울산시 남구가 도심 곳곳에 꽃동산과 특이한 녹지공간을 조성하며 '정원도시'로의 멋진 변신을 꾀하고 있다. 장생포 수국 동산, 태화강 그라스 정원과 맨발 황톳길, 그리고 독특한 디자인의 어린이공원 등이 이 변화의 중심에 있다. 장생포 근린공원 수국(사진=울산시) 2015년부터 시작된 장생포 근린공원의 수국 조성은 이제 울산의 대표 정원 관광지로 자리매김했다. 엔드리스 썸머 등 35개 품종의 수국이 만개하는 이 공원은 제1회 수국 페스티벌을 개최하며 관광객들의 발길을 끌었다. 올해 제2회 축제에는 무려 4만 명이 방문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남구는 장생포 근린공원을 사계절 꽃 관광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겹벚꽃, 서부해당화, 국화 등을 추가로 심을 계획이다. 또한, 태화강 남쪽 둔치에는 길게 조성된 그라스 정원과 맨발 황톳길이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 이 그라스 정원은 최신 정원 트렌드를 반영한 바람결에 흔들리는 얇고 긴 풀로 조성되었다. 남구는 맨발 황톳길을 주민 건강증진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 길은 주말과 휴일에 하루 2천여 명이 찾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최근에는 이 길을 더 편안하고 안전하게 걸을 수 있도록 개선 작업을 진행했다. 울산시 남구 맨발 황톳길(사진=울산시 남구) 어린이공원 리모델링 사업도 주목할 만하다. 남구는 79곳의 어린이공원을 색다른 디자인으로 변모시키고 있으며, 이는 지역 상권 활성화와 실제 주민과 어린이들의 휴식 공간으로의 역할 강화를 목표로 한다. 서동욱 남구청장은 "꽃과 푸른 식물이 넘치는 정원 도시 남구를 만들고 있다"며, "도시가 자연의 색깔로 바뀌면 주민들의 삶의 질과 품위도 더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현했다. 이러한 변화는 울산 남구를 도심 속 자연의 오아시스로 만들어가고 있다.